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5.15. (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더블유게임즈가 1분기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더블유게임즈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올해 초 마이크로소프트의 ChatGPT가 엄청난 화제를 몰고 왔죠. 이후 약 3개월 만에 구글이 반격에 나섰어요.
👊 구글 진격!
지난 10일 구글이 개발자 컨퍼런스를 통해 생성 AI(ChatGPT)를 이용한 서비스를 검색엔진, 안드로이드, 클라우드 등에 접목하는 서비스를 공개했어요. 구글은 수익의 상당 부분이 검색시장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가 ChatGPT를 검색엔진에 탑재함으로써 시장의 변화를 초래해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었는데요. 드디어 구글이 반격한 거죠. 해당 소식이 전해지면서 알파벳 주가는 이틀째 4%가량 올라 연초 이후 주가 상승률이 무려 30%를 넘어서면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 상승률을 따라잡았어요.
😬 시장에서는...
그런데 최근 미국과 국내 증시에서 공통적으로 상승하는 종목 수는 늘지 않고 있고, 경기민감 섹터는 부진한 모습이에요. 이는 기업이익이 하반기에 회복할 것이란 전망에 자신감이 크지 않다는 방증이기도 해요. 최근 AI 테마가 각광을 받는 것도 성장보다는 방어적 성격으로 볼 수 있죠. 다만, 지난해 주춤했던 테크 섹터 내 경쟁이 심해진다는 것은 서버 수요 입장에서는 긍정적일 순 있고, 또한 ChatGPT는 개인화된 서비스이므로 기존 SNS 서비스보다 현금화가 쉬울 수 있어요.
삼성전자의 감산만으로는 살짝 부족했던 모멘텀이 이번 두 빅테크 거인의 경쟁으로 가속화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475.42pt ▼15.58
KOSDAQ 822.43pt ▼2.11 |
|
|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 불확실성과 지역은행 위기감 고조, 그리고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감 등으로 투심이 위축된 모습을 보였어요. 업종별로는 종이·목재(-4.22%), 보험(-2.61%), 건설업(-1.68%) 등의 하락폭이 두드졌어요. 한편 대규모 자구책을 발표한 한국전력이 포함된 전기가스(+0.77%) 업종은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고, 1분기 호실적을 달성한 증권(+0.41%) 업종도 상승했어요. |
|
|
From Yesterday: 구제역(+2.94%) / 수산(+2.31%) / 육계(+1.75%) / 자동차부품(+1.58%)
From 5 days ago: 구제역(+8.18%) / 육계(+6.02%) / 수산(+4.38%) / 로봇(+3.52%)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예상 밖으로 높은 기대인플레이션 지표가 나오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만큼 빠르게 완화되고 있지 않다는 우려를 키웠어요. 연방정부의 부채 한도 협상 리스크 역시 증시에 부담이 되었어요.
🙂 지역 은행주들은 주말을 앞두고 반등을 모색했지만 대체로 소폭 하락했어요. 팩웨스트 은행의 주가는 -3%가량 하락했고, 자이언스와 코메리카 은행은 각각 -1%, -2% 이상 하락했어요. 한편 태양광 패널 제조사 퍼스트솔라는 에볼라AB를 인수한 이후 주가가 +26.48% 폭등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NG(+5.1%), ICLN(+3.1%), TAN(+3.1%)
- Losers: PPLT(-3.2%), TUR(-3.1%), ARKK(-3.0%)
🌕 최근 5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TUR(+9.8%), UNG(+7.9%), VNM(+4.1%)
- Losers: EZA(-7.6%), COPX(-7.4%), SLV(-6.6%)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JAPAN, SOLAR, NATURAL GAS, VIETNAM, OIL
- 하락 ETF 키워드: CHINA, CHINA TECHNOLOGY, CHINA FINANCIAL, CORN, DIVIDEND
-
작년 법안 통과된 IRA는 태양광, 풍력 사업에 투자금의 30% 세액공제 제공중이며, 미국산 제품 사용 조건(40%)를 충족하는 프로젝트에 10% 보너스 세액 공제 제공. 단, 해상 풍력에는 미국산 제품 사용 조건 20%를 적용
-
태양광, 풍력 사업자들에 따르면 재무부 가이던스 발표 전까지 40% 조건 계산 방식이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아 사업 추진에 불확실성이 존재했고, 최종적으로 40% Rule을 충족하려면, 비용(cost) 기준으로 제조품에 들어가는 부품들의 합계 금액 중 40% 이상 미국산이어야 함
- 패널을 만드는 셀(Cell)이 수입산이어도, 다른 부품 비용 합이 40%가 넘으면 요건 충족할 수 있다는 의미. 셀 비용은 태양광 발전 제품의 통상 30%가량 차지. 미국 내 생산 Capa가 거의 없음
- 미국 태양광 발전협회 SEIA는 셀이 수입산이어도 패널 조립이 미국에서 이뤄진다면 보조금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해 왔음. 제조사들은 반면 더 엄격한 중국산 배제를 요구
- 재무부는 IRA에 포함된 '미국산' 포함 조건이 미국 내 산업 발전을 위한 것이지만, 동시에 Workable해야 한다고 언급. 현실적인 방안 선택
- 중국산 웨이퍼를 사용해 미국에서 생산된 셀도 보조금 지급 가능. 중국은 세계 웨이퍼 생산에 98% 차지
|
|
|
by Kang SongCheol
Telegram: https://t.me/buykkang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더블유게임즈 #1분기 #아이게이밍 #스킬게임 |
|
|
더블유게임즈가 1분기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어요. 1분기 실적과 전망 살펴볼게요.
🖤 흑자전환 성공
더블유게임즈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1,453억 원, 영업이익 461억 원으로 3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어요. 지난해 3분기 신규 콘텐츠 업데이트 이후 반등한 유저 트래픽이 1분기까지 이어지며 매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고, 영업비용에서 전년도와 비교해 DDI 인수상각비용이 제거된 효과로 마진율도 개선된 것으로 추정돼요.
🎮 아이게이밍과 스킬게임
또한 올해 3분기에는 더블유게임즈가 연초 인수했던 스웨덴 아이게이밍 기업 '슈퍼네이션'이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인데요. 이에 따라 매출 기여도가 발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더불어 더블유게임즈는 소셜카지노 게임 서비스를 통해 확보한 슬롯 게임 및 모바일 APP 개발 능력과 슈퍼네이션의 아이게이밍 운영 노하우와 접목해 아이게이밍 시장 내 점유율 확대와 함께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돼요.
기존 사업의 안정적인 실적에 아이게이밍, 스킬게임 등을 통한 외형 확장까지 더해져 앞으로의 실적 성장세가 더욱 기대되네요!
** W Games는 2012년 3월 28일에 설립된 한국의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회사입니다. 2019년 10월 16일에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W Games는 모바일 게임을 전문으로 하며, 대표작으로는 "소울워커 모바일", "원더 테마파크" 등이 있습니다. "소울워커 모바일"이 출시된 후, 꾸준히 매출과 수익을 성장시키고 있습니다. 2021년 매출은 1,357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202억 원, 당기순이익은 186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W Games는 "소울워커 모바일"의 글로벌 출시를 통해 해외 시장 공략에도 나설 계획입니다. 2023년에도 꾸준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W Games는 "소울워커 모바일"의 신규 콘텐츠 업데이트와 글로벌 출시를 통해 매출과 수익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신작 게임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여, 게임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계획입니다. [Google Bard] |
|
|
by Jeong UiHoon
E-mail: uihoon060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EU 재무장관회의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챗GPT / 데일리아트 |
|
|
💰 가상자산Top30 / 한국가상자산 / NFT / DeFi 중 랜덤으로 최근 1개월 간의 인덱스를 보여드려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테크 기업들의 경쟁 및 ChatGPT 등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내용이 나왔는데요. 이로 인해 서버 수요가 증가되어 수혜를 보는 업종과 대표적인 회사가 있을 것 같아서 물어보았어요.
" 서버 수요의 증가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하드웨어 제조업: 서버 자체를 만드는 회사들은 서버 수요가 증가하면 직접적인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회사로는 Dell, Hewlett Packard Enterprise (HPE), IBM, Lenovo, Cisco 등이 있습니다.
-
반도체 제조업: 서버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 중 하나인 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의 반도체 제조업체들도 수혜를 보게 됩니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Intel, AMD, Nvidia, Samsung Electronics, Micron Technology 등이 있습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 서버 수요의 증가는 대개 데이터 센터의 확장이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대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Amazon (AWS), Microsoft (Azure), Google (Google Cloud), Alibaba (Alibaba Cloud)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센터 운영 및 관리업: 서버 수요가 증가하면 그에 따라 데이터 센터의 운영 및 관리가 필요해지므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도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Equinix, Digital Realty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 서버 수요의 증가는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를 의미하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의 수요도 함께 증가합니다. Cisco, Juniper Networks, Huawei 등의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들이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업종과 기업들은 단지 예시이며, 실제로는 그 외에도 다양한 업종과 기업들이 서버 수요 증가로 인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Over the Bank, Exmoor (ca. 1895)ㅣ "Robert Polhill Bevan"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14~27도로 기온이 높아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