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6.23. (금)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세계적인 탈탄소 움직임에도 석탄 발전과 석탄에 대한 투자는 증가하고 있다고 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석탄 산업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지난 21일 파월 연준 의장이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출석해 통화정책에 대해 입을 열었어요.
🤔 매파적 발언, 그러나 미동도 없는 시장
파월 연준 의장은 매파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이는 지난주 FOMC 회의 때의 발언과 크게 다르지 않아요. 반면 재퍼슨 부의장 지명자는 "미국 경제가 여러 도전에 직면했다"라며,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기 시작했다는 점에 초점을 맞췄어요. 이는 파월 연준 의장과 비교했을 때 덜 매파적인 입장이죠. 또한, 보스틱 애틀란트 연은 총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올해 연말까지 금리 동결이 적절하다"고까지 발언했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연준이 지난주보다 더 매파적이라고 볼 만한 근거는 부족해요. 만약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 진심을 담고 있었다면, 금리나 환율이 더욱 크게 움직였어야 했어요. 하지만, 10년 국채금리는 +0.2bp가량 상승했을 뿐이고, 달러는 약세를 보였으며, 주식시장에서는 주로 빅테크 주가만 하락했어요.
🤧 증시 피로감 누적
최근 주가 하락은 피로감 누적 때문일 가능성이 커요. 미국 주가는 10월 저점 대비 20% 이상 상승했고, 최근 5주 동안 랠리를 진행했죠. 국내 증시도 마찬가지였는데요. 투자심리를 가늠하는 지표 중 하나인 Bull/Bear Ratio를 살펴보면, 2021년 말 이후 최고 수준인 2.7을 보였어요. 이 지표는 보통 3.0 이상이 되면 매도 신호로 해석되고 있어요.
현재 시점에서는 금리나 PMI 지표가 크게 상승하기 어렵다면, 기존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던 주식들이 잠시 쉬어가는 시기가 올 수 있다는 점은 고려가 필요할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93.70pt ▲11.07
KOSDAQ 876.38pt ▲0.68 |
|
|
최근 6거래일 동안 지속되었던 기관의 순매도세가 멈추고 매수세로 전환되었고, 이에 따라 주가 지수가 반등했는데요. 이는 최근 지수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로 해석할 수 있어요. 업종별로는 철강및금속(+1.74%), 보험(+1.37%) 등은 상승했고, 기계(-1.66%), 운수장비(-0.51%), 전기가스업(-0.31%) 등은 하락했어요.
KOSDAQ 지수도 KOSPI와 같은 흐름을 보이며 상승했어요. 특히 오후에는 외국인과 기관이 순매수세로 전환하면서 강보합세를 유지하였고, 이런 흐름을 유지하며 마감했어요. |
|
|
From Yesterday: 그래핀(+7.75%) / 타이어(+3.29%) / 교육(+1.94%) / 비철금속(+1.45%)
From 5 days ago: 해운(+11.08%) / 교육(+8.76%) / 조선(+8.49%) / 자동차부품(+6.89%)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연준 의장이 상원에 출석하여 긴축 정책을 계속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지만, 주식시장은 혼조세를 보였어요. 주요 국가들이 긴축 정책을 펼치는 가운데, 기술주에 대한 매수세가 유입되어 나스닥 지수는 상승으로 마감했어요.
😮 전자상거래 기업인 오버스톡닷컴은 베드배스앤드비욘드의 지적재산권 경매에서 공식 낙찰자로 선정되었는데, 이 소식에 주가가 +17% 이상 상승했어요. 반면에, 보잉의 여객기 기체 생산 업체인 스피리트 에어로시스템스는 캔자스 공장에서 파업이 발생하여 생산이 일시 중단되었다는 소식에 주가가 +9% 이상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VNM(+1.6%), XLY(+1.3%), FDN(+1.2%)
- Losers: PALL(-4.6%), USO(-3.8%), PPLT(-2.5%)
🌕 최근 5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WEAT(+10.2%), CORN(+7.0%), BLOK(+6.3%)
- Losers: KWEB(-7.7%), PALL(-7.7%), PBW(-6.5%)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CONSUMER DISCRETIONARY, JAPAN, VIETNAM, GROWTH
- 하락 ETF 키워드: CHINA, OIL, PLATINUM, PALLADIUM
-
일반적으로 높은 이자율은 주택 건설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현재의 주택 부족 문제는 새집이 더욱 잘 팔리게 만들고 있어요.
-
코로나 이전부터 미국 주택시장은 공급 부족 상태였는데,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주택 공급이 축소된 영향이죠. 팬데믹으로 주택 수요가 급증하고 저금리 환경이 추가되면서 기존 주택 재고를 더욱 줄였어요.
-
미국의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2021년 초, 최저 2.7%에서 현재 6.7%로 상승하면서, 새로운 모기지를 받아 새집으로 이사 가기 어려워졌어요. 이에 따라 기존 주택의 공급이 감소하였고, 5월 기준 미국의 기존 주택 재고는 108만 채로, 2019년 5월의 191만 채에 비해 크게 줄었어요.
-
그러나 높은 금리에도 불구하고 주택 수요는 여전히 존재해요. 일부는 현금으로 집을 구매할 수 있는 사람들이고, 일부는 이미 모기지를 다 갚고 더 좋은 환경으로 이사하길 원하는 노년층인데요. 이러한 공급 축소와 여전한 주택 수요는 주택 건설업자들에게는 나쁜 소식이 아니죠. 이는 최근 신규 주택 판매가 증가하고, 5월 미국의 신규 주택 착공이 전월 대비 많이 증가한 이유예요.
-
미국 주택 건설업체들의 주가는 올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전체 경제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요. GDP의 주택 건설 투자 항목이 2021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증가 반전할 가능성이 생겼어요. 주택 건설업자들이 고금리를 견뎌낼 수 있다면, 경제 전체도 그럴 수 있을 것 같아요.
|
|
|
by Kang SongCheo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세계적으로 석탄 사용을 줄이는 움직임이 있긴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석탄 발전과 석탄 투자가 다시 증가하고 있어요.
🔥 더워질수록 뜨거워지는 석탄 재생에너지의 확대는 탄소 에너지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는데요. 특히 현재 더운 여름 날씨 때문에 중국과 베트남의 화력 발전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요. 이에 따라 중국은 2022년에 106GW의 신규 석탄 발전을 허가했고, 베트남도 2030년까지 석탄 발전을 3MW까지 늘리는 계획을 수립했어요. 에너지 위기에 큰 타격을 입은 유럽도 이산화탄소 배출 제한(CO2 550g/kWh)을 줄여 석탄 발전소 지원을 연장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어요.
💰 다시 시작된 석탄 투자 세계 석탄 수요는 작년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뿐만 아니라 약 40GW의 신규 석탄 발전소가 승인됐고, 주요 에너지 기업도 석탄에 다시 투자를 시작하고 있어요.
이에 따라, 이번 달에는 글렌코어(Glencore)는 텍 리소스(Teck Resource)의 석탄 사업 부문(ESG 때문에 분사하려던)을 인수하기 위해 82억 달러(약 10.5조 원)를 제안했어요. 글렌코어의 석탄 채굴량은 이미 1.1억 톤에 이르는 상황이었고, 탈탄소 규제로 "이를 1.5억 톤으로 제한하겠다"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인수를 추진하고 있는 거죠. 물론 글렌코어는 합병 후 석탄 부문을 분사할 계획을 하고 있어요.
더불어 피바디 에너지(Peabody Energy)와 화이트헤븐콜(Whitehaven Coal)도 각각 연료탄 광산 수명 연장 프로젝트와 Vickery 탄광 개발에 투자하고 있어요.
결국, 석탄이 전 세계 발전량의 35%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석탄과의 이별은 아직은 멀어 보여요. 석탄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주목은 필요해 보이네요. |
|
|
by Lee YuJin
E-mail: eugenelee@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한국-베트남 정상회담이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챗GPT / 데일리아트 |
|
|
💰 가상자산Top30 / 한국가상자산 / NFT / DeFi 중 랜덤으로 최근 일주일 간의 인덱스를 보여드려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의 투자 Story에 나온 석탄 관련 산업에서 주목할 기업을 물어봤어요! |
|
|
" 석탄 관련 산업에서 주목해야 할 기업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글렌코어(Glencore): 이번 달에 텍 리소스(Teck Resource)의 석탄 사업부문을 인수하기 위해 82억 달러를 제안했습니다. 글렌코어는 합병 후 석탄 부문을 분사하려는 계획이 있습니다.
-
피바디 에너지(Peabody Energy): 연료탄 광산들의 수명 연장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
화이트헤븐콜(Whitehaven Coal): 1.5억 달러를 투자해 Vickery 탄광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
넥스트BT, 케이피에프, 백광산업, GS글로벌, 한국테크놀로지, 삼지전자, 엔케이물산, 엘컴텍, 포스코인터내셔널, LX인터내셔널: 이들은 석탄 관련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
AngloAmerican: 석탄 생산을 모체로 하고 있지만 석탄산업이 사양산업화되자 다른 천연자원에도 눈을 돌려 현재는 다이아몬드와 니켈, 구리, 백금의 주요 생산 기업이 되었습니다.
-
Conoco Phillips: 미국 기업으로 전 세계 17개 국가에서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최소 9개 국가에서는 아직까지 석탄을 채굴하고 있습니다.
-
Vale: 브라질 기업으로 1942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참고로, 석탄 산업은 글로벌 경제상황과 연관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흐름도 주기적으로 체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The Large Plane Trees (Road Menders at Saint-Rémy) (1889) ㅣ "Vincent van Gogh"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19~29도로 맑고 화창해요.
우리 다음주에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