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8.21. (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쿠콘이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신규 서비스 론칭에 따라 실적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돼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쿠콘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지난주, 중국 경제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이 동반 악화한 것으로 발표되면서 시장에서는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졌어요.
💦 7월에도 경기는 부진
지난 7월, 중국 실물경제지표는 모두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는데요. 산업생산은 3.7% 증가에 그쳤고, 소매판매도 2.5% 증가하면서 컨센서스와 전월치를 모두 하회했어요. 또한, 1~7월 고정자산투자도 3.4%로 둔화세가 이어졌어요. 특히, 7월에는 중국 당국이 경기 부양을 위한 정책들을 발표했지만,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은 모습이에요. 한편, 7월 전국 실업률은 5.3%로 전월 대비 0.1%P 상승했는데요. 주목할 점으로 중국 당국이 시장에서 주목하는 중국의 16~24세 청년실업률 지표의 발표를 중단했다는 점인데요. 청년 9,600만 명 가운데 6,500만 명이 졸업 전 일자리를 찾는 학생들이기 때문에 통계 범위에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 중단의 이유예요. 하지만 전국 실업률이 높아진 데다 졸업 시즌이 도래하여 청년실업률은 지난 6월의 21.3%보다 높아졌을 가능성이 커요.
😮 깜짝 금리 인하!
경기지표보다 앞서 발표된 지난 7월 중국의 금융 지표도 시장 예상을 일제히 크게 밑돌았는데요. 7월 위안화 신규대출은 3,459억 위안, M2 증가율은 10.7%, 사회융자총량은 5,282억 위안 증가에 그쳤어요. 특히, 가계 중장기 대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로 전환된 점은 시장 심리가 여전히 약하고, 부동산 시장이 부진하다는 것을 보여줘요. 이렇듯 중국의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비구이위엔의 디폴트 위험과 중룽신탁의 지급 불능 사태 등 악재들이 겹치면서 인민은행은 금리 인하를 결정했어요. 7월 MLF 금리는 2.65%에서 2.5%로 15bp 인하했고, 역RP 금리는 1.9%에서 1.8%로 10bp 인하했어요. 이에 따라 MLF 금리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LPR 금리도 인하될 것으로 전망돼요.
중국 정부가 경기 회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회복 전망은 어두워지면서 산 넘어 산이에요. 힘든 나날이 당분간 이어질 듯하네요. |
|
|
by Baek EunBi
E-mail: ebbaek@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04.50pt ▼15.35
KOSDAQ 877.32pt ▼8.72 |
|
|
KOSPI, KOSDAQ 모두 하락했어요. 부진한 중국의 경제지표와 미국 국채금리 상승 부담으로 하락세를 보인 건데요. 특히 중국의 증시 하락과 부동산 디폴트 우려가 확산되면서 외국인의 매도세가 지속됐어요. 업종별로는 기계(+1.10%), 음식료품(+0.16%), 의약품(+0.51%), 비금속광물(+0.21%), 통신업(+0.20%) 등이 상승했고, 반면 서비스업(-1.45%), 유통업(-1.94%), 화학(-1.22%), 섬유의복(-0.96%), 전기전자(-0.65%)를 비롯한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맥신(+29.97%) / 페라이트(+6.36%) / 희귀금속(+4.57%)
From 5 days ago: 맥신(+37.30%) / 초전도체(+16.21%) / 로봇(+3.46%) / 면세점(+2.84%)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중국 헝다그룹이 미국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하면서 중국판 리먼사태 우려가 확대되며 혼조세 마감했어요. 그래도 이번주 예정된 엔비디아 실적 발표와 연준의 잭슨홀 심포지엄을 앞두고 관망세를 보여, 증시 변동폭은 크지 않았어요.
😐 테슬라는 세계 최대 신차 시장(내연기관·전기차) 중국이 부동산 위기 속에 금융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는 우려에 주가가 -1.7% 하락했고, 알리바바(-2.89%), 제이디닷컴(-4.75%)을 비롯한 중국 종목 대부분이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RNJ(+4.4%), WEAT(+3.5%), PALL(+3.2%)
- Losers: MAXI(-6.6%), VNM(-6.2%), EVXX(-4.1%)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RATE(+5.6%), FLBL(+0.3%), UYLD(+0.2%)
- Losers: BKCH(-18.4%), TSLY(-10.7%), BLCN(-8.9%)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Uranium, Palladium, Nigeria, Soybean, Oil & Gas
- 하락 ETF 키워드: Bitcoin, Vietnam, Electric Vehicle, China, Kpop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쿠콘이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신규 서비스 출시에 따라 실적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돼요. 내용 살펴볼게요.
😃 쿠콘의 2분기 실적
쿠콘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172억 원, 영업이익 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6.5%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7.8% 감소했어요. 실적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이 하락한 원인으로는 데이터 부문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오픈 예정인 신규 서비스를 위한 개발 비용이 증가했고, 페이먼트 부문의 수익성이 많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어요.
🌈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다만, 2분기 실적에서 긍정적인 점은 여전히 데이터 부문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1.2% 성장률을 보인다는 점인데요. 이는 2분기에 대환대출 비교 플랫폼 및 예적금/보험 비교 서비스를 오픈했기 때문이에요. 2분기에 이어 3분기에서도 신규 서비스 출시에 따라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이에요. 특히, 2분기에 오픈한 신규 서비스의 매출 확대는 물론이고, 3분기에는 빅데이터 결합·가공 서비스 및 공공데이터 플러그인 서비스 등을 오픈할 예정이라 이에 따른 실적 증가가 예상돼요.
3분기에도 신규서비스 출시로 데이터 부문의 매출 성장세가 기대돼요. 이러한 성장세가 주가에도 반영이 될 수 있을지 관심 두고 지켜봐야겠어요.
*** 쿠콘은 2006년 12월에 설립된 핀테크 API 플랫폼 및 비즈니스 정보 제공 기업으로, 2021년 4월에 코스닥에 상장하였습니다. 웹케시그룹의 관계사로, 주 사업은 마이데이터, 간편결제 서비스 등에 필요한 API 제공입니다. 40여개 국가의 2,500여개 기관의 정보를 바탕으로 API 상품을 개발하고 쿠콘닷넷에서 판매하며, 이 상품은 개인정보, 기업정보, 전자금융, 간편결제, 글로벌 API 등으로 구분됩니다. 주요 고객은 은행, 증권사, 핀테크 기업, 결제 서비스 기업 등입니다. |
|
|
by Park JongSun
E-mail: jongsun.park@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中 대출우대금리(LPR)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중국 경제에 대해 다뤘는데요. ChatGPT에게 중국 경제가 흔들릴 때 영향을 받는 주요 국가들에 대해 물어봤어요! |
|
|
중국 경제가 흔들릴 때 주목해야 할 국가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중국 경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가나 중국의 경제 변동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국가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중국과 미국은 세계 최대의 두 경제 대국으로, 둘 사이의 경제 관계는 전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중국 경제가 불안할 경우 미국의 수출 및 수입, 그리고 미국 기업들의 중국 시장에서의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호주: 호주는 철광석, 석탄 등의 원자재를 중국에 큰 규모로 수출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경제의 변동이 호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한국: 중국은 한국의 주요 수출 시장 중 하나이며, 중국 경제의 불안이 한국의 수출 및 경제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일본: 중국과 일본은 경제, 무역, 투자 등 여러 분야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의 변동이 일본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동남아시아 국가들: 중국과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무역 및 투자 분야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의 불안이 이 지역의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중국과 밀접한 경제 관계를 맺고 있는 많은 국가들이 있습니다. 중국 경제의 변동이 전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국 경제의 동향을 주시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Still Life, Basket of Apples (1887) l Vincent van Gogh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무더위 속에 소나기 소식이 있어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