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8.23. (수)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세계적 수요 확대로 정유 재고가 줄어들고 있어 국내 정유사의 수혜도 기대가 된다고 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정유화학 산업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중국 경제 위기론까지 나오고 있죠. 이런 상황에서 인민은행이 중국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예상보다 작은 폭으로 인하하며 시장에 실망감을 줬어요.
👀 부동산 부양은 신중하게...
중국 당국은 이 상황에서 무슨 생각을 하는 것인지 의문이 생기지만, 그래도 패닉에 빠지지 않았다는 점은 분명해요. 중국 당국은 부동산 가격 상승과 신용 버블을 막고, 단기 성장에 목을 매지 않는 것이 장기적인 안정에 도움이 된다고 믿고 있어요. 지난 7월 말에는 주요 1선 도시들 부동산의 계약금(Down Payment) 비율을 낮추는 등 부양책을 고려하기도 했지만, 행여나 부동산 시장이 또 불붙는 것을 우려해 시행하지는 않았어요. 중국 정책 당국이 유동성 공급은 꾀하면서도 부동산 시장 부양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 아닐까 싶어요.
✋ 중국의 반부패
한편, 아직도 중국에서는 잘 나가는 기업들을 옥죄고, 부동산을 보유한 중산층을 힘들게 하는 것이 대중의 인기를 얻는 방법인 듯해요. 예컨대 중국의 반부패 캠페인은 이제 의료계까지 이르렀는데요. 올해 들어 작년 대비 2배 이상 수준인 170개의 주요 병원에 대한 감사가 진행되었어요. 크게 벌어진 소득 격차 때문인지 부패 척결에 대한 인민들의 지지가 식지 않는 모습이에요. 그렇다고 중국 정부가 경기 방어를 포기한 것은 아니에요. 아직 중국 통화 증가율(M2)과 기업 대출 증가율은 두 자릿수대를 기록 중이에요. 문제는 중국 정부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고 있을 뿐이라는 점이죠.
이제 위안화 등 중국자산에 대한 기대와 비중을 낮출 필요가 있어요. 다만, 중국으로서는 현재 상황이 지속되면 2024년 경기 하락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4분기는 지금보다 부양 강도가 강해질 것으로 예상돼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15.74pt ▲6.94
KOSDAQ 893.33pt ▲4.62 |
|
|
KOSPI, KOSDAQ 모두 상승했어요. KOSPI는 전날에 이어서 이날도 거래대금이 7~8조 원대 수준으로 부진한 상황 속에서 소폭 상승했는데요. 이번주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짙은 관망심리 유입과 미국 국채 금리 상승 부담으로 지수 상단이 제한됐어요. 업종별로는 철강및금속(+1.23%), 증권(+0.97%), 전기전자(+0.67%), 전기가스업(+0.52%) 등이 상승했고, 비금속광물(-1.37%), 운수창고(-1.13%), 보험(-0.93%), 의약품(-0.83%) 등은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초전도체(+6.97%) / 수산(+4.95%) / 육계(+3.99%) / 日불매운동(+2.87%)
From 5 days ago: 맥신(+27.42%) / 육계(+6.05%) / 수산(+3.92%) / 2차전지(LFP)(+1.85%)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일부 지역은행 신용등급 강등 소식 등으로 혼조세 마감했어요. 국제신용평가사 S&P글로벌은 지난 21일 미국 은행 5곳의 신용등급을 낮췄고, 일부 은행의 등급 전망도 하향 조정했어요. 한편, 최근 시장의 압력으로 작용했던 미국 장기 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였어요.
😐 전날 실적 기대감으로 +8% 이상 올랐던 엔비디아는 이날 -3% 가까이 하락했어요. 반면, 베트남 전기차 스타트업 빈패스트는 특별한 호재가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 +100% 넘게 폭등했고, 노바백스는 새로운 코로나 변이 소식에 주가가 +13.51% 급등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EWZ(+2.2%), KRBN(+1.4%), IGN(+1.2%)
- Losers: XRT(-2.8%), UNG(-2.3%), BLOK(-1.8%)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URA(+5.5%), SLV(+3.8%), PPLT(+3.2%)
- Losers: BLOK(-8.6%), TAN(-6.4%), ITB(-5.7%)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GOLD, METALS, PLATINUM, URANIUM, VALUE
- 하락 ETF 키워드: CHINA, CLEAN ENERGY, FINANCIAL, PREFERRED, OIL
-
Vinfast Auto Ltd.의 주식이 화요일에 130% 폭등했어요.
-
8월 15일 상장 이후로는 총 280% 상승했는데요.
-
현재 시가총액은 930억 달러로, 이는 BYD의 시가총액보다 크며 GM과 Ford의 시가총액을 합친 것과 거의 비슷한 규모에요.
-
최근에 1,200만주 이상의 주식이 거래되었지만, 유통 가능한 주식의 수는 130만주에 불과하므로 큰 변동성이 예상돼요.
-
VinFast는 SPAC 합병을 통해 상장되었는데, SPAC로 상장된 다른 회사들은 주가가 랠리 이후 소셜 미디어의 관심이 줄면서 주가 상승이 소멸하는 경향을 보였어요.
-
Bloomberg에 따르면, 올해 SPAC 합병을 통해 상장한 회사들의 주가는 평균 45% 하락했으며, 그 중 14개 기업은 시총이 80% 감소했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세계적인 수요 증가로 정유 재고가 줄어들고 있어요. 정유화학 산업에서 최근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짚어볼게요.
💸 주간 주요 제품 가격변화
- 정유: WTI(-2.2%), 납사(-2.4%), 휘발유(+1.0%), 경유(-0.8%), 고유황중유(-1.1%)
- 화학: 에탄(-3.7%), 프로판(-5.6%), 에틸렌(-2.5%), 부타디엔(+4.4%), PX(-2.4%)
- 태양광: 메탈실리콘(+1.1%), 폴리실리콘(+3.2%), 웨이퍼(+7.9%), 모듈(-0.5%)
💡 제품 시황 Highlights
- 부타디엔: 국제 유가가 계속 상승하면서, 특정 지역에서 납사크래커(부타디엔을 생산하는 기계)가 멈추면서, 생산량이 줄어 부타디엔 제품이 부족해졌어요. 이와 더불어, 최근 유럽에서의 가격 상승도 영향을 줬어요.
*무색의 가스로 자연적으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아, 석유 정제 과정에서 추출되며, 고무, 플라스틱 등의 제조에 사용
- 스티렌 모노머: 중국의 경제 부양 정책으로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중국에서 스티렌 모노머 관련 제품의 수입을 줄였고, 다른 국가들도 상황을 관망하며 거래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어요.
*주로 폴리스티렌, ABS 수지, 고무, 플라스틱 등의 원료로 사용 (플라스틱 용기, 포장재, 장난감 등)
💫 정유 처리량과 재고의 디커플링 2분기에 부진했던 중국의 정유 처리량이 국영 정유 플랜트들의 정기보수 종료 이후 빠르게 증가했어요. 이에 따라 3개월 만에 역사적 고점 수준을 회복했어요. 반면, 중국의 석유제품 재고는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 또한 긍정적이에요. 정유의 처리량과 재고 간 디커플링은 단기 수요의 급증을 의미하며, 이는 국제유가 상승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듯해요.
실적을 가르는 핵심 지표인 정제마진이 우상향하게 되면서 국내 정유사들에도 수혜가 있을 것으로 기대돼요.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들에 관심 가져보면 좋을 것 같네요. |
|
|
by Hwang SungHyun
E-mail: tjdgus2009@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8월 기업경기실사지수 및 경제심리지수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투자Story에서 국내 정유사들의 긍정적인 전망이 나왔는데요. ChatGPT는 국내 정유사 중 어떤 곳을 가장 유망하게 보는지 물어봤어요! |
|
|
정유사 중에서 가장 유망한 곳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주요한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제마진: 정유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정제마진이 높은 회사는 원유 가격 변동에도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재무 건전성: 부채 비율, 유동비율 등의 재무 지표를 통해 회사의 재무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시장 점유율: 한국 내외에서의 시장 점유율이 높은 회사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투자 및 연구개발: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와 연구개발에 적극적인 회사는 경쟁력을 유지하고 시장에서 선두를 지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
최근의 뉴스 및 이슈: 회사에 대한 최근의 뉴스나 이슈를 통해 현재의 시장 상황과 향후 전망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주요 정유사로는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유망한 회사를 선택하기 위해 최근의 뉴스나 금융 데이터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이 중 SK이노베이션은 국내에서 가장 큰 시가총액을 가진 정유사로,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서의 성장 가능성, 해외 사업 확장,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 등을 고려할 때 SK이노베이션을 가장 유망한 회사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 결정을 내리실 때는 개별적인 상황, 투자 목표, 위험 허용 범위 등을 고려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구하거나 깊은 분석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Avenue of Plane Trees l Santiago Rusiñol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26~27도이며 종일 비가 내려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