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9.21. (목)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SK오션플랜트가 우리나라 최초의 대규모 해상풍력단지에 들어서는 하부구조물 제작·공급에 나선다고 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SK오션플랜트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주요국 통화정책 회의를 앞두고 유가가 말썽이에요.
📈 골칫덩이 유가
보통 '지속적인' 유가의 고공행진은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자극해요. 더군다나 유가 상승은 미국과 국내 주식시장을 2~3개월 선행하면서 PER를 하락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인데요. 1970년대 이후 나타난 경기 침체 직전에는 늘 유가가 급등하면서 인플레와 함께 실질 소비 여력을 고갈시켰어요. 또한, 유가 상승은 원유 수입국인 국내 주식시장에 PER 외에도 교역조건과 이익마진에도 부정적이에요.
🙌 당장은 아냐...
하지만 유가가 경기를 망가트리고, 인플레이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까지는 대략 1분기 이상의 시간이 소요돼요. 뿐만 아니라, 유가의 고공행진이 상당 기간 지속되어야 해요. 과거 경기 침체를 일으켰던 유가 상승은 대체로 전년 대비 50~100% 이상의 급등세였는데요. 즉, 전년 대비 기준이므로 적어도 6~12개월 정도 유가 상승이 지속되었을 때 부정적인 영향이 커진다고 볼 수 있어요. 현재 유가가 바닥 대비 27% 올랐는데 이를 바탕으로 추정하면, 브렌트유 기준 약 120달러 정도까지 오를 경우, 내년 5~6월 이후쯤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될 것으로 보여요.
유가 상승의 부정적 영향이 커지기 전에, 유가가 마지노선 수준에 접근하게 되면 위험자산을 팔고, 안전자산을 사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59.74pt ▲0.53
KOSDAQ 882.72pt ▼1.17 |
|
|
KOSPI는 FOMC를 앞두고 보합권에서 등락하며 관망세를 보였어요. 한편, 외국인이 현물과 선물 시장에서 모두 매도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장 후반 KOSPI 2차전지주가 반등하면서 지수 낙폭을 일부 만회했어요. 더불어 장 막판인 오후 3시 영국의 물가 지표가 인플레이션 둔화를 나타내면서 약세를 보이던 KOSPI가 강보합 전환했어요. 업종별로는 엇갈렸는데요. 운수창고(+1.94%), 운수장비(+1.66%), 종이목재(+1.15%), 전기가스업(+1.07%) 등은 올랐고, 의료정밀(-1.77%), 의약품(-1.33%), 기계(-1.09%) 등은 하락했어요. 반면, KOSDAQ은 880선을 벗어나지 못한 채 등락을 거듭하다 하락 마감했어요. |
|
|
From Yesterday: 해운(+8.96%) / 핵융합에너지(+5.93%) / 키오스크(+5.35%) / 초전도체(+3.68%)
From 5 days ago: 핵융합에너지(+18.76%) / 초전도체(+13.48%) / 손해보험(+12.26%)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9월 FOMC 회의가 예상보다 매파적으로 나오면서 기술주 중심으로 낙폭이 확대됐는데요. 연준은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했으나, 연내 1회 더 0.25%p 금리 인상을 예상해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어요. 연준 위원들은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에서 올해 말 기준금리가 5.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어요.
😐 핀터레스트는 내년부터 매출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3.09% 강세를 보였고, 스틸케이스는 예상을 웃도는 강력한 실적 예상 전망치에 힘입어 +19% 이상 급등했어요. 한편 전날 나스닥에 입성한 인스타카트의 주가는 -10% 이상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EZA(+1.8%), VNM(+1.4%), GDX(+1.1%)
- Losers: GREK(-3.6%), UNG(-2.3%), XBI(-2.2%)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GDX(+3.5%), PPLT(+3.0%), URA(+2.7%)
- Losers: ARKK(-6.1%), XBI(-5.0%), SMH(-4.6%)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MLP, DIVIDEND, GOLD, JAPAN, SILVER
- 하락 ETF 키워드: BIOTECH, SEMI, METALS, TECHNOLOGY, ENERGY
🌐 [SA] Nasdaq slides ~1.5%, S&P slumps, Dow ends in the red after Fed signals 'higher for longer'
-
미국증시는 Nasdaq가 1.5%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하락 마감했어요.
-
Dow 지수는 IBM의 상승에 힘입어 일시적으로 +0.7% 상승했지만, 결과적으로 -0.22% 하락하여 마감했어요.
-
11개의 주요 섹터 중 7개가 하락했으며, 특히 테크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가 큰 폭으로 하락했어요.
-
미국의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5.14%로, 2006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으며, 10년 만기 국채금리도 4.41%로 상승했어요.
-
연준의 최근 Dot Plot 업데이트에 따르면, 올해 추가로 한 번의 금리 인상이 예상되며, 2024년의 금리 인상 횟수는 줄어들 것으로 보여요.
-
연준 관료 중 7명은 올해 금리를 동결할 것을 지지하는 반면, 12명은 추가 인상을 지지하고 있어요.
-
연준 의장 Powell은 최근의 경제 지표들이 긍정적이었음을 인정했지만, 경제활동이 예상보다 강력하다고 평가했어요.
-
그는 연착륙 시나리오가 기본 예상이 아니라고도 언급했고, Mohamed El-Erian은 최근의 FOMC 기자회견에서 발표된 경제 및 정책에 대한 신호가 혼란스러울 수 있다고 지적했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SK오션플랜트가 국내 최초의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에 설치될 하부구조물을 제작해요.
👏 안마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공급
최근, 국내의 첫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인 '안마 해상풍력'이 하부구조물 업체로 SK오션플랜트를 선정했어요. 안마 해상풍력은 14MW 터빈 38기(총 발전 용량 532MW)로 구성되어 있고, 개발업체는 해외 국부펀드로부터 자금을 조달해 아시아 지역의 재생에너지 사업을 주로 하는 에퀴스 디벨롭먼트(Equis Development)이죠. "안마 단지"는 연내에 전력 공급 계약이 체결되면 내년부터 설계와 건설에 착공할 예정인데요. SK오션플랜트는 이번 사업에 필요한 고정식 하부구조물인 쟈켓 38기를 공급 예정이며, 관련 수주 규모는 약 4~5천억 원 수준으로 추정돼요.
🌟 전망도 밝다
SK오션플랜트가 하부구조물과 해상변전소 공급을 논의 중인 프로젝트에는 현재 확정된 "안마 단지" 외에도 신한우이, 동남해안 등의 고정식 단지와 귀신고래, 해울이, 문무바람 등 부유식 단지가 있어요. 이에 따라 내년에도 지속해서 국내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수주 기회가 있을 것으로 기대돼요. 만일 이 단지들이 모두 확정되면, 약 8조 원의 수주를 받을 것으로 추정돼요. 그동안 국내 해상풍력은 '해상풍력 촉진법'의 통과를 기다려 왔지만, 최근 기류가 바뀌어 기존에 추진하던 단지들은 법 통과와 상관없이 현 제도를 기반으로 건설하는 것이 대세가 되고 있어요.
내년부터 국내 해상풍력 시장에도 수주와 발주 싸이클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와 베트남에 신야드 확보 후 대만에 이어 한국, 일본, 베트남, 호주 등 시장 확대도 계획 중이에요. 앞으로의 실적 성장도 기대가 되네요! |
|
|
by Han ByungHwa
E-mail: bhh1026@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8월 기존주택판매 및 경기선행지수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에 대한 언급이 있었는데요. ChatGPT에 각각 자산에 대해 물어봤어요. |
|
|
위험자산은 시장 변동성에 따라 가격이 크게 변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따라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손실의 위험도 높습니다. 주식, 부동산, 원자재, 선물, 옵션 등이 위험자산에 속합니다.
안전자산은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적게 받는 자산입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현금, 예금, 채권, 금 등이 안전자산에 속합니다.
- 유가 상승은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유가가 상승하면 기업들의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수익성이 악화되고, 이는 투자와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경기 침체는 위험자산의 가격을 하락시킵니다. 경기 침체가 발생하면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되어 주식의 주가가 하락하고, 부동산의 가격도 하락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투자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으며, 투자자의 투자 목표와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 위험자산 비중을 줄이고 안전자산 비중을 늘리는 포트폴리오 재조정
- 위험자산을 안전자산으로 환매하는 매도
- 위험자산을 안전자산으로 교환하는 스왑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구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시장 상황과 투자자의 투자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를 결정할 때는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신중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Still Life with Teapot and Fruit (1896)
Paul Gauguin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은 19~24도로 하늘이 흐려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