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4.03.05. (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2월 게임시장이 어땠는지 돌아보고, 3월 시장은 어떨지 전망해 볼게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삼일절 연휴 동안 엔비디아를 비롯해 AI 반도체주들이 일제히 상승하며 미국 증시가 새로운 역사를 썼어요.
👀 FOMO 현상?
다만, 긍정적인 소식만 있었던 것은 아니에요. 1월 미국 PCE(개인소비지출) 물가 상승률은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실질 소비지출은 5개월 만에 (-)를 기록했고, 2월 미국 ISM 제조업지수도 47.8pt를 기록하며, 16개월 연속 기준선인 50선을 밑돌았죠. 하지만 주식시장은 AI 반도체주가 과열 또는 일부 매도 신호에 가까워졌음에도 질주를 멈출 줄 모르는 모습인데요. 주식시장 낙관/비관론을 보여주는 Bull Bear Ratio가 3.5를 기록했고, 보통 3.5 이상은 매도 신호로 인식돼요. 즉, 현재 주식시장에서 FOMO*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어요.
🙌 주의가 필요
FOMO의 끝은 좋지 않을 수도 있어요. 현재 강세를 보이는 AI 반도체 수요가 장기적으로 유망하지만, 반도체 특성상 사이클을 탈 수밖에 없어요. 1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반도체 수출 호조에도 반도체 서버용 수요(비중 37%)와 모바일 수요(비중 38%)는 올해 1분기가 가장 높고, 이후 둔화하는 형태로 보고 있어요. 이에 따라 AI 반도체와 관련 장비가 시장을 주도하는 상황은 점차 부담으로 다가와 투자자들이 선제적으로 시장에서 철수하는 리스크도 고려해야 해요. 또한, 금리 인하 시기가 지연되더라도 인하에 대한 기대가 여전히 유효한 상황이라면 더욱 그렇죠.
FOMO의 흐름을 따르더라도, 시장이 과열 국면에 점점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은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아요.
*FOMO(Fear of missing out): 모두 투자로 돈을 버는 상황에서 나만 소외된다는 불안감으로 매수세에 합류하는 심리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674.27pt ▲31.91
KOSDAQ 872.97pt ▲10.01 |
|
|
미국에서 시작된 AI 반도체 훈풍 영향으로 KOSPI, KOSDAQ이 모처럼 1%대 동반 상승세를 보였어요. 특히 외국인이 유가증권시장에서만 6,000억 원 가까이 집중 매수하면서 반도체주를 중심으로 상승 폭이 확대됐어요. 업종별로는 건축제품(+8.48%), 생명보험(+6.44%), 전기장비(+5.85%), 사무용전자제품(+5.07%), 철강(+3.88%), 은행(+3.47%), 카드(+3.33%), 반도체·반도체장비(+2.97%) 등 대부분 종목이 강세를 보였어요.
|
|
|
From Yesterday: HBM(+4.67%) / 온디바이스AI(+4.64%) / 네트워크통합(+4.54%) / CXL(+4.32%)
From 5 days ago: HBM(+8.75%) / 3D낸드(+5.00%) / 창투사(+4.87%) / LED장비(+4.61%)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지난주 고공 행진에 따른 부담감 속에 하락세를 보이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어요. 한편, AI 반도체 수요 증가와 PC 시장의 회복 기대감이 커지면서 반도체 관련 주식들은 일제히 강세를 보였어요.
😬 AI 서버업체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18일부터 S&P500에 편입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18% 넘게 폭등했어요. 한편, 테슬라는 지난달 중국산 차량 출하가 2022년 12월 이후 가장 저조한 것으로 전해지며 -7.16% 급락했고, 애플은 EU 집행위원회가 18억 유로의 과징금을 부과했다는 소식에 -2.54%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EGPT(+6.9%), UNG(+5.4%), SGDJ(+5.3%)
- Losers: TSLY(-6.0%), TSLP(-5.7%), LITP(-4.8%)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BDRY(+18.2%), MVPA(+11.6%), NUKZ(+8.5%)
- Losers: SETH(-11.4%), EQLS(-3.3%), TOKE(-2.6%)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Egypt, Gas, Gold, Silver, Tanker Shipping, Bank
- 하락 ETF 키워드: Tesla, Lithium, China, Chile, Hang Seng Tech, Battery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2월 게임 시장을 돌아보고, 3월 시장은 어떨지 전망해 볼게요.
💬 2월 게임 시장 Review
- 국내 모바일 게임: 캐주얼 장르를 비롯한 비MMO 게임들의 매출 상위권 진입 현상이 지속됐어요. 특히 방치형 RPG ‘버섯커 키우기’는 월간 매출 1위를 달성했는데, 2020년 1월 이후 비MMO 게임이 월간 매출 1위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는 캐주얼 게임 매출 규모가 급격히 상승했음을 시사해요.
- 인도로 넘어가는 시선: 데브시스터즈와 크래프톤이 ‘쿠키런’ 인도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어요. 쿠키런은 캐주얼하고 가벼운 게임으로, 저사양 기기에서 잘 구동되기 때문에 인도 시장에 적합하죠. 또한, 크래프톤은 인도 내 영향력을 확대해 오면서 성과를 거두고 있으므로 쿠키런 퍼블리싱을 통한 신규 매출도 기대할 수 있어요.
👀 3월 게임 시장 Preview
- 국내 모바일 게임: 3월은 MMO와 캐주얼 게임의 치열한 매출 상위권 쟁탈전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요. 신작으로는 위메이드의 MMORPG ‘나이트 크로우’ 글로벌 출시, 데브시스터즈의 퍼즐게임 ‘쿠키런 마녀의 성’ 등이 출시 예정인데요. 나이트 크로우는 레퍼럴 시스템* 중단 이후 매출이 급격히 하락하며, 글로벌 성과가 절실한 상황이며, 데브시스터즈도 지속된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올해 출시 예정인 신작의 흥행이 필요해요.
- 콘솔/PC 시장: 대형 신작이 부재하며, 특별한 이슈가 없을 것으로 보여요.
2월과 3월 게임 시장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레퍼럴 시스템: 기존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를 소개하면 보상을 받는 추천 프로그램 |
|
|
by Jung UiHoon
E-mail: uihoon060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2월 ISM 비제조업지수 공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Insight에서 FOMO 현상에 대한 내용이 나왔는데요. 대표적인 사례들을 물어봤어요.
|
|
|
FOMO(놓치고 싶지 않은 두려움) 현상은 투자 시장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현상으로, 대중의 큰 수익을 보고, 놓치고 싶지 않다는 두려움에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닷컴 버블 (1999-2000년): 인터넷 관련 기업들의 주식이 급등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기술주에 대한 놓칠 수 없는 기회라고 느끼며 투자했습니다. 이러한 FOMO 현상은 결국 버블이 붕괴되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랠리 (2017, 2020-2021년): 비트코인을 비롯한 여러 암호화폐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놓치고 싶지 않다는 두려움에 많은 신규 투자자들이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특히 2020년 말부터 2021년에 걸친 대규모 랠리는 FOMO 현상의 전형적인 예로 꼽힙니다.
-
게임스탑 주식 거래 사건 (2021년): SNS와 투자자 커뮤니티의 조정 하에 게임스탑과 같은 일부 주식이 급등했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높은 수익을 놓칠까 봐 급하게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
부동산 시장의 열풍: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는 시기에 FOMO 현상이 나타나곤 합니다. 사람들은 가격이 더 오르기 전에 부동산을 구매하려고 서두르며, 이는 가격 상승을 더욱 부추기는 결과를 낳습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Pallas Athene (1898)
Gustav Klimt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2~10도이며 하늘이 흐려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