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4.03.11. (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모션 제어기 시스템 전문 제조업체 '삼현'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 예정이에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삼현'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지난해 10월 말 이후 시작된 주식시장 상승은 저점 대비 23% 이상 오르며 랠리를 보이고 있어요. 이번 강세장은 직전 강세장이었던 2021년과 비슷한 측면도 있지만, 차이점에 주목해야 해요.
📌 2021년과의 차이점
- 주가 상승 범위: 2021년, 1년여간 지속되었던 랠리는 2022년 1월 이후 급격하게 약세장으로 반전되었어요. 2021년 당시의 주가 상승 범위는 넓다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였다면, 현재는 주가 상승 범위가 좁은 편에서 지난주부터 조금 넓어지고 있어요.
- 상승 섹터: 2021년 랠리에서는 FAANG 주식들이 동반 상승했지만, 이번엔 애플과 테슬라는 약하고, 나머지 섹터들은 그렇게 약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 유동성: 2021년까지는 저금리로 인해 유동성이 풍부했지만, 현재의 랠리는 유동성에 의한 랠리라고 보기는 어려워요.
- 실적 기대: 2021년 랠리는 높은 실적 기대로 시작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기대가 낮아졌는데요. 현재는 그렇게 높은 실적 기대로 시작하지 않았고, 오히려 올해 중반 이후 금리 인하 기대가 높아지고 있어요.
2021년 랠리와 비교하면 현재의 랠리가 좀 더 뿌리가 깊은 듯한 모습이에요. 하지만 점점 랠리를 경계하는 시각이 줄어들고 있고, 투자심리가 낙관적일 때 주가 고점은 예상보다 천천히 오는 경향이 있어요. 따라서 과열에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680.35pt ▲32.73
KOSDAQ 873.18pt ▲9.81 |
|
|
KOSPI, KOSDAQ 모두 상승했어요. 이날 KOSPI는 시총 상위 종목 위주의 상승세가 나타났는데요. 미국의 반도체 신고가 랠리에 발맞춰 SK하이닉스가 신고가를 경신했고, 삼성바이오로직스를 포함해 헬스케어 업종도 상승 폭을 확대했어요. 또한, '2024 인터배터리' 모멘텀이 지속되며 삼성SDI를 비롯한 2차전지주들도 강세를 보였어요. 업종별로는 제약과 자동차는 전일 대비 각각 +5.09%, +1.47% 올랐고, 생명보험과 화장품은 전일 대비 각각 -0.88%, -0.19%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바이오시밀러(+5.07%) / 초전도체(+4.59%) / 줄기세포(+3.87%) / mRNA(+3.69%)
From 5 days ago: 2차전지(전고체)(+8.45%) / 중국기업(+8.42%) / 제대혈(+7.43%) / CXL(+7.31%)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엔비디아 등 반도체 주식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주가가 급락했어요. 최근 시장의 상승세를 이끌던 엔비디아는 이날 -5.55% 하락했고, 인텔(-4.66%), 브로드컴(-6.99%), AMD(-1.89%), 마이크론 테크놀로지(-1.37%), ARM홀딩스(-6.65%) 등 최근 급등했던 반도체 주식도 일제히 하락했어요.
🤧 일라이릴리는 미국 FDA가 알츠하이머 치료제 승인을 미루면서 주가가 -2.31% 하락했고, 코스트코 홀세일은 전분기 매출이 추정치보다 낮게 보고되면서 주가가 -7.64% 급락했어요. 뉴욕 커뮤니티 뱅코프는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신용등급 상향 대상'이라고 밝혔음에도 주가가 -6% 이상 급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BLOK(+2.1%), WEAT(+2.0%), TAN(+1.8%)
- Losers: URA(-4.4%), SOXX(-4.0%), SMH(-3.9%)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GDX(+8.5%), PALL(+7.3%), SLV(+5.0%)
- Losers: REMX(-6.4%), LIT(-6.3%), CHIQ(-4.5%)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GOLD, REAL ESTATE, SOLAR, BOND, DIVIDEND
- 하락 ETF 키워드: CHINA, SEMI, BRAZIL, CHINA CONSUMER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모션 제어기 시스템 전문 제조업체 '삼현'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 예정이에요.
💬 기업 소개
모터, 제어기, 감속기 제품과 이를 모듈화 및 통합화한 3-in-1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자동차 전장부품, 무인화 방산, 지능형 로봇 등의 관절 모터, 구동 시스템 등에 공급하고 있어요. 2014년에는 국내 최초로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 모터'를, 2019년에는 세계 최초로 'CVVD(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제품의 개발과 양산에 성공했어요. 또한, 2020년 자율주행을 위한 전자식 변속 시스템 'SBW(Shift-By-Wire)', 2021년 전기자동차 전용 플랫폼에 적용되는 Disconnect Motor, 2023년 전자식 현가장치인 MR Damper 등의 수주가 지속되고 있어요. 작년 기준 매출 비중은 자동차 92.7%, 스마트 방산 6.9%, 지능형 로봇 0.1%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 주목할 점
- 안정적 실적 성장 전망: 자동차 전장 산업 중심으로 안정적인 실적 성장이 전망돼요. 연비의 효율, 친환경 자동차, 자율주행차 전환 등으로 DCT, CVVD, SBW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수혜가 기대돼요. 현재 수주 잔액은 8,000억 원이며, 올해 신규 수주 8,000억 원 이상으로 예상돼요.
- 신사업 성장 기대감: 스마트 방산 및 지능형 로봇 등 신사업의 성장세가 기대돼요. 3-in-1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주가 확대 중이에요. 스마트 방산 및 지능형 로봇 수주 잔액은 각각 1,610억 원, 663억 원 수준이며, 올해도 수주 잔액 이상의 신규 수주가 예상돼요.
오는 21일 기술성장기업 상장 요건에 따라 코스닥 시장에 신규상장 예정이며, 공모희망가 범위는 20,000 ~ 25,000원이에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실 수 있어요! |
|
|
by Park JongSun
E-mail: jongsun.park@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2월 소비자 인플레이션 기대치 공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Insight에서 2021년과 현재 랠리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과거 대표적인 랠리에 대해 물어봤어요.
|
|
|
1982년 미국 불황 이후 상승장 (1982-1987)
- 배경: 1980년대 초 미국 경제 불황 극복 후 시작
- 특징: 5년간 연 30% 이상 상승
- 주요 요인: 금리 인하, 기술 혁신, 경제 성장
1990년대 인터넷 붐 (1995-2000)
- 배경: 인터넷 기술 발전과 기업 성장
- 특징: IT 기업 주가 급격 상승, 나스닥 지수 3배 이상 상승
- 주요 요인: 투자자들의 과도한 투자 심리, 인터넷 기업 성장 기대
2003년 이후 미국 주식 시장 상승 (2003-2007)
- 배경: 2001년 닷컴 버블 붕괴 이후 경제 회복
- 특징: 4년간 연 10% 이상 상승
- 주요 요인: 저금리 정책, 주택 시장 호황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상승장 (2009-2017)
- 배경: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제 회복
- 특징: 8년간 미국 주식 시장 3배 이상 상승
- 주요 요인: 정부 경기 부양 정책, 저금리 정책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Boats at Rest (~1895)
Arthur Wesley Dow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비 소식이 있어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