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4.03.15. (목)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비즈니스온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며 지난해 최대 실적을 달성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비즈니스온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주식 투자에서 필요한 요소 중 하나는 '역발상'으로, 상승세에 다들 흥분해 있을 때 시장을 잘 빠져나올 용기도 필요해요.
😍 강해진 증시 낙관론
문제는 시장의 흥분이 가라앉기까지 시간이 꽤 걸린다는 점인데요. 미국 증시에서 투자심리를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되는 *Bull Bear Ratio는 현재 4.2로, 2017년 12월 이후 가장 높아요. 즉, 6년여 만에 증시에 대한 낙관론이 가장 강하다는 의미로, 서서히 투자를 조심할 때가 다가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요.
*Bull Bear Ratio: 미국 개인투자자들에게 강세/약세장 전망을 묻고 그 비율을 산출하는 투자심리지표로, 약세장보다 강세장을 예측하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1 이상으로 높아짐
🙌 증시 낙관론과 증시 비관론
다만, 증시 비관론이 주가의 저점에 금방 도달하는 것에 비해 증시 낙관론은 주가를 정점(Peak)으로 만드는 데까지 예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어요. 또한, 1999~2000년 사례를 살펴보면, 이미 높아진 낙관론이 꽤 오래 유지되며 주가의 버블을 형성했었던 사례도 있죠.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비중을 더 늘리기보다는 중립적인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어요. 단, 지난 한 달간 미국에서 에너지/소재 섹터가 강했기에 Rotation 가능성은 열어둬야겠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718.26pt ▲25.19
KOSDAQ 887.52pt ▼2.41 |
|
|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을 맞이한 가운데 밸류업 프로그램 정책 수혜주로 꼽히는 종목이 KOSPI 지수 상승을 이끌며 상승 마감했어요. 대부분 업종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특히 보험(+3.45%), 금융업(+3.18%), 전기가스업(+3.05%), 운수장비(+2.99%), 운수창고(+2.70%) 등의 순으로 상승 폭이 컸어요. 반면, KOSDAQ은 미국 반도체주 하락 영향으로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하락 마감했어요.
|
|
|
From Yesterday: 조선(+7.42%) / 조선기자재(+5.58%) / 손해보험(+5.29%) / 피팅·밸브(+5.14%)
From 5 days ago: 유리기판(+12.87%) / 조선(+9.80%) / 엔터테인먼트(+8.61%) / 전선(+8.42%)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CPI(소비자물가지수)에 이어 PPI(생산자물가지수)도 예상보다 둔화가 덜한 모습을 보이자,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의구심이 확대되며 증시가 하락했어요. 이날 발표된 2월 PPI는 전월 대비 +0.6%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밝혀졌어요. 반도체 관련주가 약세를 보인 점도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어요.
😥 전기차 스타트업 피스커는 파산 위기를 맞으며 주가가 -51.9% 폭락했고, 바이든 대통령이 일본제철의 US 스틸의 인수를 공개적으로 반대하면서 US 스틸의 주가가 -6.36%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NG(+4.3%), KRBN(+3.5%), USO(+1.6%)
- Losers: QCLN(-3.6%), ARKK(-3.2%), ITB(-3.2%)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COPX(+6.7%), KWEB(+6.1%), ECH(+5.7%)
- Losers: XSD(-7.7%), QCLN(-7.6%), SOXX(-7.3%)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CHINA, OIL, CHINA TECHNOLOGY
- 하락 ETF 키워드: CLEAN ENERGY, SEMI, CHINA, BIOTECH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비즈니스온이 2023년에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며 최대 실적을 달성했어요.
😎 최대 실적 달성
2023년 연간 실적(연결 기준)은 매출액 511억 원, 영업이익은 164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6.3%, +35.8% 증가하며 최대 실적을 달성했어요. 호실적의 배경은 인사 부문과 데이터 부문의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82.5%, 24.3% 증가했기 때문이죠. 이와 더불어 수익성이 개선된 것도 긍정적인데요. 이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사업의 장점인 반복 매출(Recurring Revenue)의 비중을 지속해서 확대한 덕분이죠.
🤗 안정적 성장 지속
2024년 1분기에도 실적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해요. 인사 부문에서 시프티 솔루션의 성공적인 엔터프라이즈 시장 공략과 대만 시장 진출, 그리고 PC Off 솔루션 런칭 등의 영향으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어요. 또한, 데이터 부문의 핵심고객이 대기업/중견기업에서 그룹 계열사로 확대되고 있으며, 데이터 시각화, 가상화 사업 등도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어요.
비즈니스온이 최대 실적을 달성한 가운데, 앞으로도 지속적인 M&A 통해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니 관심 가져봐야겠어요. |
|
|
by Park JongSun
E-mail: jongsun.park@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2월 산업생산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Insight에서 주식시장 낙관론을 살펴봤는데요. 특히 지난 한 달간 미국에서 에너지/소재 섹터가 강했기에 Rotation 가능성이 나왔어요. 그렇다면 어떤 ChatGPT는 어떤 섹터로 Rotation을 예상하는지 물어봤어요.
|
|
|
현재 시장 상황에서 고려할 수 있는 유망한 섹터로는 정부 채권, 기술, 소재 등이 있습니다. 특히, 경제의 둔화와 금리 추세를 고려하면, 안전 자산으로 간주되는 정부 채권이나 고품질 기업 채권에 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기술 섹터는 변동성이 있긴 하지만,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어 주목할 만합니다. 소재 섹터는 글로벌 경제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기술 혁신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 결정을 내릴 때는 항상 현재의 경제 환경, 특정 섹터의 기업 실적, 그리고 시장 전반의 투자 심리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투자 전략은 개인의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그리고 시장에 대한 전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중한 분석과 고려가 필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Head of Buddha (1943)
Reijer Stolk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주말에도 화창한 봄 날씨가 계속돼요
우리 다음주에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