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4.05.09. (목)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한섬이 1분기에 다소 아쉬운 실적을 거뒀지만, 기대되는 모멘텀이 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한섬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성장률은 높아지고 물가 둔화 추세는 멈추면서 미국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약해지고 있어요.
👀 유로존, 금리 인하 기대 유효
각국의 통화정책이 각기 다른 상황에 직면하면서 통화정책의 탈동조화가 시작될 것으로 보여요. 주요국들의 경제 성장률이 상승하는 반면, 일본과 유럽은 전년 대비 각각 1.3%, 0%대의 성장에 그치고 있는데요. 또한, 주요국들의 물가 둔화 추세가 멈춘 데 반해 유로존의 물가 상승률은 계속 둔화하고 있죠. 이에 따라 침체에 접어든 유럽은 6월에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여요.
🤔 일본의 엔저
특이한 경우는 일본인데요. 일본은 한미일 통화 공조를 통해 급격한 엔저 압력에 대응하려 하면서도, 동시에 엔저를 통해 인플레이션과 성장률을 견인하려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요. 그러나 일본의 제조업 경기 모멘텀이 약화되었고, 1분기 동안 이어진 일본 주식시장의 상대적 강세도 4월 중순 이후 둔화하는 등 엔저 효과가 강화되기는 어려울 전망인데요. 이에 따라 일본 통화정책도 점차 한계에 부딪혀 여름 정도 금리 인상 논의가 재차 시작될 것으로 예상해요.
앞으로도 각국 중앙은행의 각자도생이 더욱 강화될 듯해요. 이러한 상황에서 주식시장은 일본보다 유럽 증시 매력이 더 높아 보여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745.05pt ▲10.69
KOSDAQ 872.42pt ▲1.16 |
|
|
매파적인 미국 연준 총재의 발언에도 KOSPI는 외국인 매수세가 지속하며 상승 마감했어요. KOSDAQ은 데브시스터즈가 7개 분기 연속 적자 이후 올해 1분기 흑자 전환하면서 게임 업종에 대한 투자심리가 회복되며 상승했어요. 업종별로는 조선(+6.50%), 복합유틸리티(+4.54%), 해운사(+3.53%), 은행(+2.78%) 등 상승했고, 출판(-1.32%), 담배(-1.08%), 양방향미디어·서비스(-1.00%), 생물공학(-0.98%) 등은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전선(+11.80%) / 전력설비(+8.82%) / 지하도로(+7.17%) / 유리기판(+3.77%)
From 5 days ago: 전력설비(+27.94%) / 전선(+21.14%) / 스마트카(+12.21%) / 유리기판(+10.82%)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속에 국채 수익률이 오르며 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어요. 일부 기업의 실망스러운 실적 발표도 증시에 부정적이었어요.
😣 미국 정부가 인텔의 일부 대중국 수출 라이선스를 철회하면서 매출 타격이 예상되자 인텔 주가가 -2.22% 하락했고, 우버 테크놀로지스는 예상 밖의 분기 손실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5.68% 하락했어요. 트립어드바이저는 회사 매각 가능성을 배제하면서 주가가 -28.73% 폭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XLU(+1.1%), CUT(+0.9%), IYZ(+0.9%)
- Losers: ARKK(-2.5%), URA(-2.4%), CQQQ(-1.8%)
🌕 최근 5일 하위
- Gainers: UNG(+13.6%), QCLN(+6.6%), FAN(+6.5%)
- Losers: EIDO(-1.8%), UGA(-1.5%), INDA(-0.7%)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UTIL, SEMI, WIND, TECHNOLOGY, EUROPE
- 하락 ETF 키워드: CHINA, GOLD, CHINA TECHNOLOGY, BIOTECH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한섬이 1분기에 다소 아쉬운 실적을 거뒀지만, 향후 기대되는 모멘텀이 있어요.
😯 아쉬운 1분기
1분기 실적은 매출액 3,936억 원, 영업이익 325억 원으로, 매출액은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영업이익은 예상치를 큰 폭 밑돌았어요. 이는 경기에 둔감한 고가 의류 비중이 높음에도 소비 위축의 여파가 있었는데요. 고가 여성 캐릭터 브랜드는 선방했지만, 매스 브랜드는 부진했어요. 한편, 백화점보다 아울렛 이월 매출 비중이 증가하면서 매출 원가는 하락했고, 비용은 파리 패션위크 참가로 소폭 증가했어요. 다만, 신규 런칭 브랜드(아워레거시, 가브리엘라허스트, 토템)가 선방하며 연내 손익분기점 달성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해요.
👏 키스 독점 계약
한섬은 키스(KITH)와 독점 계약을 완료했는데요. 키스는 뉴욕에 위치한 스니커즈 편집샵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 제품 발매하며 대부분 완판 행렬 일으키는 영향력 가지고 있죠. 올해 5월 말 아시아에서는 일본에 이어 2번째로 성수에 키스 플래그십 스토어를 오픈할 예정이죠. 한섬의 자체 주력 브랜드의 타겟 연령층이 높기 때문에 키스는 EQL과 더불어 젊은 연령층 유인할 것으로 보여요.
의류 소비 위축과 더불어 투자 비용이 늘어나면서 1분기 성적은 부진했는데요. 힙한 편집샵 키스를 통해 트렌디한 브랜드를 캐치할 수 있고, 향후 시너지도 기대해 볼 만하니 앞으로도 지켜봐야겠어요. |
|
|
by Lee HaeNi
E-mail: hnlee@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공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각국의 통화정책'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내용 중 일본보다 유럽 주식시장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는데, 그 이유를 자세히 물어봤어요.
|
|
|
- 통화정책: 유럽은 6월에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금리 인하는 기업의 차입 비용을 줄이고 소비를 촉진하여 경제 성장을 도모하며, 이는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물가 동향: 주요국들의 물가 둔화 추세가 멈춘 반면, 유로존의 물가 상승률은 계속 둔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로존 내 인플레이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투자자들에게 더 안정적인 투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일본의 경제 상황: 일본은 엔저를 통한 인플레이션과 성장률을 견인하려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지만, 제조업 경기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으며, 일본 주식시장의 상대적 강세도 4월 중순 이후 둔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 증시의 성장 잠재력이 제한적일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
정책의 불확실성: 일본의 통화정책은 한계에 부딪혀 여름 정도에 금리 인상 논의가 재차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시장에 불확실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반면, 유럽의 금리 인하는 더 확실한 경기 부양책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Carnation, Lily, Lily, Rose (1885)
John Singer Sargent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13~24도로 일교차가 커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