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4.05.13. (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셀트리온이 유럽 시장에서 성장세와 미국 진출 본격화로 1분기 긍정적인 성과를 달성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셀트리온을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전주 대비 22,000명 증가한 23.1만 건으로 집계되었어요. 이는 2023년 8월 이후 최고 수치인데요. 특히, 뉴욕주의 운송 및 물류 창고 부문에서 실업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 경기 침체 우려 심화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증가는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높이는데요. 실업급여 청구는 기업의 고용 수준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이 지표가 증가하는 것은 기업들이 고용을 줄이고 있다는 뜻이죠. 실제로 S&P500 기업들의 예상 EPS(주당순이익) 추세와 민간 일자리 수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실업수당 청구 건수와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여요. 즉,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증가하면 기업 실적은 악화하는 경향이 있어요.
🚀 금리 인하 기대감 부활
현재 미국 경제는 여전히 강력한 고용 시장을 유지하고 있어요. 실업률은 3.6%로 낮은 수준이며, 평균 임금 상승률도 5% 이상으로 높은 수준이죠. 하지만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증가는 최근 경기 둔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기에 금리 인하 기대감도 부활하고 있어요.
당분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추이를 주의 깊게 살펴보더라도, 현재 단계에서 과도한 반응은 피하는 것이 좋아요. S&P500 기업들의 EPS는 여전히 양호하고, 실업률도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죠.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727.63pt ▲15.49
KOSDAQ 864.16pt ▼5.99 |
|
|
KOSPI는 외국인과 기관이 매수세를 보이며 상승을 이끌었어요. 윤 대통령이 기업 밸류업 정책과 관련해 강도를 높이겠다는 발언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요. 업종별로는 증권(3.34%), 보험(2.92%), 운수창고(2.35%) 등은 강세였으나, 의료정밀(-3.94%), 전기가스업(-3.88%), 기계(-0.56%) 등은 약세였어요. 반면, KOSDAQ은 외국인과 기관이 매도세를 보이며 전일 대비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해운(+4.58%) / 전선(+4.43%) / 중국기업(+3.40%) / 화장품(+2.60%)
From 5 days ago: 전선(+13.92%) / 해운(+12.20%) / 전력설비(+11.19%) / 피팅·밸브(+7.80%)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과 당국자들의 매파 발언 속에 증시가 혼조세 마감했어요. 시장은 이번 주 발표 예정인 4월 CPI(소비자물가지수)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CPI가 기대 이상으로 상승하면 최근 부각된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 역시 상당 부분 희석될 듯해요.
😬 TSMC는 4월 매출이 60% 급등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4.53%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노바백스는 사노피와 12억 달러 규모의 백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98.66% 폭등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WEAT(+3.0%), EWH(+2.0%), CORN(+2.0%)
- Losers: UNG(-3.8%), PBW(-3.6%), LIT(-3.3%)
🌕 최근 5일 하위
- Gainers: SLV(+6.4%), GDX(+5.4%), WEAT(+5.1%)
- Losers: ARKK(-5.6%), PBW(-3.1%), BLOK(-2.6%)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EUROPE, DIVIDEND, CHINA, PLATINUM, PALLADIUM
- 하락 ETF 키워드: CLEAN ENERGY, LITHIUM, CHINA TECHNOLOGY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셀트리온이 유럽 시장에서 성장세와 미국 진출 본격화로 1분기 긍정적인 성과를 달성했어요.
✅ 1분기 실적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7,370억 원과 영업이익 154억 원을 기록하며 유진투자증권 예상치를 대체로 달성했어요. 특히 유럽 시장에서의 주력 바이오시밀러 제품 매출 증가와 미국 시장 진출 본격화는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되는데요. 한편, 영업이익은 무형자산 상각액 반영과 원가율 정상화 과정으로 감소했으나, 하반기에는 개선 가능성이 크죠.
🙌 유럽 시장의 성장과 미국 시장 진출
유럽 시장에서 주력 바이오시밀러 제품인 램시마, 트룩시마, 램시마SC의 매출이 각각 26%, 36%, 74% 증가하며 성장을 지속했는데요. 이에 따라 셀트리온은 유럽에서 제1 바이오시밀러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었어요. 한편, 셀트리온은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3분기부터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베그젤마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해요. 특히, 짐펜트라의 3분기 매출액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해요. 또한, 2~3분기 초 PBM* 추가 등재가 예정되어 있어 미국 시장에서 셀트리온 제품의 접근성을 높여 매출 증대에 이바지할 것으로 보여요.
* PBM(Pharmacy Benefit Manager): 의약품의 처방과 가격을 관리하는 중간 관리자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보험사, 약국, 제약사와 협력하여 약품 목록을 관리하고 약품 가격을 협상
비록 1분기 영업이익은 감소했지만, 상반기 무형자산 상각과 원가율 정상화 과정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어요. 하반기에는 이러한 요인들이 개선될 가능성이 크므로 성장세가 본격화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겠어요. |
|
|
by Kwon HaeSoon
E-mail: hskwon@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FOMC 위원 메스터의 연설이 예정되어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투자Story에서 '셀트리온'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셀트리온이 유럽 시장에서 강세를 보인 구체적인 요인을 물어봤어요.
|
|
|
-
제품 경쟁력: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인 램시마, 트룩시마, 램시마SC는 높은 품질과 효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제품들은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과 비교해 비용 효율성이 뛰어나 많은 의료기관과 환자들에게 매력적인 대안이 되고 있습니다.
-
확대된 시장 접근성: 유럽 내 주요 국가들에서 시장 접근성을 꾸준히 확대해 왔습니다. 이를 위해 현지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유럽 의약품청(EMA)으로부터 지속적인 승인을 받으면서 유럽 전역에서의 판매를 늘려왔습니다.
-
성공적인 마케팅 및 유통 전략: 유럽에서의 마케팅 및 유통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해 왔습니다. 현지 규제와 시장 특성에 맞춘 전략을 통해 주요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높이고, 병원 및 약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판매를 증대시켰습니다.
-
의료 비용 절감 압력: 유럽 각국 정부와 보험사들은 의료 비용 절감을 위해 바이오시밀러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습니다. 이는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보다 저렴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채택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
제품 라인업의 다양성: 셀트리온은 다양한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어, 여러 치료 영역에서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 다양성은 여러 시장 세그먼트를 공략할 수 있게 해줍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Great Heights (2023)
Woman the Creator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13~25도이며 맑은 날씨예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