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4.05.28. (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미국과 유럽에서 전기차 성장은 부진한 반면,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약진은 계속되고 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 내용 살펴볼게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이후, AI에 대한 관심이 전력과 관련 원자재에 집중되고 있어요.
📈 구리 가격 상승세
지난주 구리 가격은 톤당 1.1만 달러를 넘어서며 올해 약 20% 상승했어요. 이는 중국의 부동산 경기 부양책뿐만 아니라 AI 데이터센터 확산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 태양광 및 풍력 에너지, 그리고 전기차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 덕분인데요. 하지만 구리 공급 증가에는 한계가 있어요. 새로운 구리 광산을 개발하는 데에는 무려 15년이 걸리기 때문이죠.
🙌 AI와 원자재 수요
과거에는 달러 약세 시기에 원자재 가격이 올랐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요. AI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으로 자금이 유입되면서 데이터센터가 많이 건설될수록(미국 달러 강세), 구리와 알루미늄 등 원자재 수요도 함께 증가하는 구조로 변화했어요.
경기와 금리에 대한 기대는 경제 지표 하나하나에 따라 변동이 크지만, 전력과 원자재 수요는 그렇지 않아요. AI 투자가 이제 유틸리티 등 다른 섹터와 원자재로도 확산하는 것 같네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722.99pt ▲35.39
KOSDAQ 847.99pt ▲8.58 |
|
|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주 불발 소식으로 부진했던 삼성전자 주가가 장 마감을 앞두고 상승 전환에 성공하면서 KOSPI를 크게 끌어올렸어요. 외국인은 매도했지만, 기관의 매수가 집중된 영향으로 볼 수 있어요. 업종별로는 기계(+6.03%), 건설업(+2.35%), 전기전자(+1.91%), 화학(+1.89%) 등이 상승 마감한 반면 비금속광물(-0.36%), 종이목재(-0.18%), 보험(-0.18%) 등은 하락 마감했어요.
|
|
|
From Yesterday: 중국기업(+6.26%) / 원자력발전(+4.94%) / 전력저장장치(+4.22%)
From 5 days ago: 고체산화물연료전지(+18.91%) / 원자력발전(+6.93%) / 전력저장장치(ESS)(+6.72%)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매년 5월 마지막 월요일은 미국 남북전쟁에서 사망한 군인들을 추모하기 위해 제정된 '메모리얼 데이'로, 미국 증시도 쉬어갑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미국과 유럽에서 전기차 성장은 부진한 반면,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약진은 계속되고 있어요.
😮 하이브리드의 약진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미국과 유럽에서 BEV(Battery Electric Vehicle, 배터리 전기차) 판매 증가는 전년 대비 6%에 그쳤지만,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는 각각 37%와 22% 증가했어요.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하이브리드에 대한 강한 수요에 맞춰 신규 모델 도입을 늘리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당분간 전기차 대비 높은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요. 전기차에 대한 뜨거웠던 미국과 유럽의 반응이 식어버린 이유는 충전 인프라 부족과 관리 부실, 중고 전기차의 높은 감가율, 그리고 전기차 관련 신규 세금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어요.
👀 추세 전환은 어려울 전망
이러한 추세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하이브리드에 대한 정책 규제와 대중화 전기차 모델의 출시 확대가 필요한데요. 그러나 EU의 *'유로7' 도입 연기와 미국 바이든 정부의 하이브리드차 비중 확대 정책에서 보듯, 당분간 하이브리드의 기세를 저지할 정책적 모멘텀은 보이지 않죠. 하반기에는 신규 전기차 모델 출시하지만, 하이브리드의 약진이 계속되고 있어 전기차 성장 속도가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 유로 7(Euro 7): EU가 제정한 최신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기준. 주요 목표는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PM), 일산화탄소(CO) 등의 배출량을 더욱 엄격하게 제한하는 것.
11월 대선 결과에 따라 미국 전기차 시장은 크게 달라질 것 같은데요. 그렇기에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대선 결과가 중요해요. 보수적인 시장 전망을 고려하여 밸류에이션이 낮은 종목 위주로 중장기 투자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
|
by Han ByungHwa
E-mail: bhh1026@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5월 CB 소비자신뢰지수 공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AI와 구리'에 대한 내용을 살펴봤는데요. 신규 구리 광산 개발에 15년이 소요된다면, 수급 문제를 극복할 방안이 어떤게 있는지 확인해봤어요. |
|
|
단기적으로 구리 수급 문제를 해결할 대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활용 확대: 기존 구리 제품을 재활용하여 수급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습니다. 구리는 재활용 효율이 높은 금속으로, 재활용된 구리는 신규 채굴된 구리와 거의 동일한 품질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구리 재활용 산업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합니다.
-
기술 혁신: 구리 채굴 및 정제 기술의 혁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더 효율적인 추출 방법이나 정제 기술을 개발하여 기존 광산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대체 소재 개발: 구리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거나 기존 소재의 사용 비중을 높이는 것도 하나의 해결책입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은 여러 응용 분야에서 구리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대안들로 구리 공급 문제를 단기적으로 완화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광산 개발과 같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Souvenir (1907-08)
Marianne von Werefkin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16~27도로 일교차가 커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