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5.01.10. (금) by 유진투자증권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연초 국내 증시에서 변화의 조짐이 감지돼요. 다만, Non-US 시장의 비중 확대는 2분기가 더 적절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 이유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어요.
👀 Non-US 시장 접근, 2분기를 기다리자
- 중국 경기 사이클: 수출과 경기 민감도가 높은 유럽과 한국은 기업 이익이 중국의 경기 사이클에 크게 영향을 받아요. 특히 중국의 주요 정책은 3월 전인대 이후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아요.
- 과도한 실적 기대치: 중국을 제외한 미국 외 선진국의 경제성장률은 대부분 1%대로 전망되지만, 유럽(78%), 일본(89%), 한국(18~19%)의 예상 EPS 증가율은 이를 크게 웃돌죠. 따라서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실적 추정치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아요.
- 금리 인하 효과·달러 강세: 상반기에는 미국 외 국가들의 금리 인하 폭이 더 클 전망이지만, 달러 강세가 완전히 끝났다고 보긴 어려워요. 상반기에는 미국의 금리 인하 모멘텀이 지속되고, 하반기에는 다른 지역의 금리 인하 효과가 기대돼요.
올해도 미국 중심의 흐름은 이어지겠지만, 포트폴리오를 지나치게 미국에 치우치지 않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어요. 특히 금리 대비 높은 배당수익률과 자사주 매입 확대 측면에서 일본이 유럽보다 매력적일 수 있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21.90pt ▲0.85
KOSDAQ 723.52pt ▲3.89 |
|
|
KOSPI가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어요. 12월 FOMC 의사록 공개로 1월 FOMC에서 금리 동결 가능성이 커졌지만, 트럼프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로 시장의 경계감이 높아졌어요. 이 가운데 SK하이닉스, 기아, SK이노베이션 등이 지수 상승을 견인했어요. 업종별로 화학(+0.97%), 운송장비·부품(+0.71%), 일반서비스(+0.64%) 등 상승률이 비교적 컸고, 오락·문화(-1.12%), 건설(-1.04%), IT서비스(-0.71%) 등은 약세를 보였어요.
|
|
|
✔ KOSPI
개인(-3,298) / 외국인(+7,517) / 기관(-5,031)
✔ KOSDAQ
개인(+124) / 외국인(-221) / 기관(+41)
|
|
|
눈에 띄는 특징 섹터 👁️
From Yesterday: 유리기판(+8.12%) / 전선(+4.16%) / 정유(+3.16%)
From 5 days ago: 유리기판(+20.96%) / HBM(고대역폭메모리)(+17.16%) / 엠폭스(+14.26%)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국가 장례식이 치러지는 날이 '국가 애도의 날'로 지정됨에 따라 증시도 쉬어갔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미국 휴장으로 글로벌 ETF도 오늘 쉬어갈게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4분기도 꽁꽁
4분기 잠정 실적은 매출 75조 원, 영업이익 6.5조 원으로 부진했는데요. 부문별 영업이익(괄호 3분기)은 DS(디바이스솔루션) 2.6조 원(3.9조 원), SDC(삼성디스플레이) 1.2조 원(1.5조 원), MX(모바일경험)·NW(네트워크) 2.2조 원(2.8조 원), VD(영상디스플레이)·CE(소비자가전)·하만 0.6조 원(0.9조 원) 수준으로 추정돼요. 특히 DS 부문은 비용 증가와 낮은 가동률로 기대치를 크게 밑돌았으며, 비메모리의 4분기 적자는 2조 원 이상, 최근 2년간 적자 규모는 약 8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보여요.
💪 멀지 않은 바닥
실적은 부진했지만, 바닥이 가까워 보여요. 1분기 실적은 매출 76.3조 원, 영업이익 6.4조 원 수준이 예상되며, 상반기 재고조정 이후 하반기부터 점진적 회복이 기대돼요. 역사적 저점을 기록한 밸류에이션을 고려하면, 악재는 상당 부분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데요. 과거의 강한 모습을 되찾기 위해 전 임직원이 단결하고,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에요.
막대한 투자에도 성과가 부족했어요. 결국 메모리 경쟁력 회복이 최우선 과제이며, 앞으로의 핵심은 메모리 분야에서 선두와의 격차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좁히느냐에 달려 있어요.
|
|
|
E-mail: swlee659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Non-US 시장의 비중 확대 내용을 살펴봤는데요. 2분기부터 Non-US 시장의 비중을 늘려나간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전략이 좋을지 확인해 볼게요. |
|
|
기술 및 반도체
- 한국·일본: 글로벌 반도체 수요 회복으로 제조업체와 장비 업체 주목
- 5G·IT 장비: 유럽·아시아의 5G 인프라 구축 지속으로 관련 기술 기업 성장 가능
에너지·친환경 섹터
- 재생에너지: 유럽 중심의 풍력·태양광·수소 관련 기업 유망
- 전통 에너지: 에너지 가격 안정으로 석유·가스 기업의 배당 매력 지속
헬스케어·바이오
- 유럽·일본: 고령화에 따른 의료 수요 증가와 신약 개발 기업 주목
배당주·자사주 매입 기업
- 일본: 높은 배당수익률과 자사주 매입 확대가 안정적인 투자처로 매력
소비재
- 고급 소비재: 유럽 고급 소비재는 글로벌 소비 회복 시 수혜 가능
- 필수 소비재: 유럽·일본의 필수 소비재 섹터는 안정적 투자처로 주목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Fireworks
Sergey Chekhonin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주말에는 날씨가 조금씩 풀린다고 해요
우리 다음주에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