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5.01.23. (목) by 유진투자증권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트럼프의 재등장으로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졌고,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내수 활성화를 목표한 경기부양정책으로 소비 회복과 경제 성장을 추진할 계획이에요.
🛍️ 중국 소비재 회복과 투자 전략
중국 소비재 시장은 저가와 온라인 중심으로 회복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국내 화장품과 의류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요. 다만, 기대감과 실적 반영 간 시차를 주의해야 하며, 중국의 국가 리스크를 감안할 필요가 있어요.
🎵 K-Pop 엔터 산업에 호재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 경기 부양의 직접적 수혜를 받을 전망인데요. 특히 MD 분야가 주목되며, 지난 11월부터 시행된 무비자 입국 정책으로 K-Pop 아티스트들의 팝업 스토어도 활성화될 것으로 보여요. 굿즈 시장 확대와 더불어 앨범 공동구매, 콘서트 재개에 따른 성장세가 가속화될 것 같아요.
중국의 내수 강화 정책으로 소비재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주목돼요. 산업별 수혜 기업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47.06pt ▲29.03
KOSDAQ 732.31pt ▲6.24 |
|
|
KOSPI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로 1%대 상승 마감했어요.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며, 특히 AI, 원자력, 우주항공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어요. 업종별로는 기계·장비(+6.46%), 운수·창고(+1.01%), 건설(+3.05%) 등이 상승했고, 보험(-1.69%), 종이·목재(-0.93%), 통신(-0.87%) 등이 하락했어요.
|
|
|
✔ KOSPI
개인(-8,255) / 외국인(+3,560) / 기관(+4,099)
✔ KOSDAQ
개인(-943) / 외국인(+215) / 기관(+664)
|
|
|
눈에 띄는 특징 섹터 👁️
From Yesterday: 양자암호·양자컴퓨팅(+6.50%) / 건설기계(+4.10%) / 유리기판(+3.52%)
From 5 days ago: 유리기판(+14.67%) / HBM(고대역폭메모리)(+12.44%) / 피팅·밸브(+10.98%)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트럼프 대통령이 AI 인프라 투자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하며 주요 빅테크 주가가 강세를 보였어요. 특히 오픈AI, 오라클, 소프트뱅크가 합작한 '스타게이트' 설립 계획을 공개해 화제가 됐어요. |
|
|
✔ NEW YORK
Dow 44,156.73(+0.30%)
S&P500 6,086.37(+0.61%)
Nasdaq 20,009.34(+1.28%)
Russell2000 2,304.02(-0.60%)
필라델피아 반도체 5,469.29(+1.69%)
VIX 15.20(+0.93%)
✔ KEY INDICATES
WTI $75.44(-0.51%)
금 선물 $2,766.50(+0.26%)
EUR/USD 1.0416(-0.17%)
10-Yr Bond 4.5990(+0.55%)
US Dollar Index 108.25(+0.18%)
원달러 환율 1,437.6원(-1.9원)
✔ S&P500
Basic Materials -0.82% Communication Services +0.87% Consumer Cyclical -0.16% Consumer Defensive -0.40% Energy -1.43% Financial -0.46% Healthcare -0.14% Industrials -0.17% Real Estate -1.67% Technology +2.21% Utilities -1.76%
|
|
|
🗽 오늘의 특징주
- Oracle(+6.72%) 트럼프 행정부가 지원하는 AI인프라 '스타게이트' 구축을 주도한다는 소식에 강세를 보였어요.
- Netflix(+9.69%) 유료 회원 3억 명 첫 돌파 소식과 함께 4분기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강세를 보였어요.
|
|
|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NG(+7.4%), URA(+4.0%), PALL(+3.1%)
- Losers: TAN(-3.2%), OIH(-2.9%), COPX(-2.8%)
🌕 최근 5일 상위/하위
- Gainers: URA(+9.8%), SMH(+6.4%), BOTZ(+6.1%)
- Losers: UGA(-5.4%), TAN(-5.2%), USO(-4.6%)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TECHNOLOGY, SEMI, GROWTH, ROBOTICS, INTERNET
- 하락 ETF 키워드: ENERGY, CLEAN ENERGY, OIL, SOLAR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동국생명과학, 조영제 1위 기업의 상장 도전🤚 |
|
|
*조영제 제조 전문기업인 '동국생명과학'이 코스닥 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어요.
*조영제: 의료 영상 촬영 시 장기의 구조와 상태를 선명하게 보이게 하는 약물
🏢 국내 조영제 시장 1위
2017년 설립된 동국생명과학은 엑스레이 조영제 ‘파미레이’와 MRI 조영제 ‘유니레이’를 주력 제품으로 국내 조영제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어요. 국내 최초로 제너릭 조영제 출시 후, 38종의 완제품과 5종의 원료를 개발했으며, 전 세계 25개국 17개 파트너사를 보유하고 있어요. 조영제 사업을 기반으로 MEMD(진단장비 및 의료기기 유통) 사업도 함께 운영 중이죠.
💫 주목할 점
- 안정적 성장 기대: 국내 병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강한 시장지배력을 확보했고, 국내 유일의 조영제 밸류체인 내재화로 최대 규모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어요. 또한, *인벤트라와 협력해 2028년까지 34개국으로 시장을 확장할 계획이며, 원료와 완제의약품 생산 능력도 확대 중이죠.
- MEMD 사업 확대: 기존 영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의료장비 및 의료기기 사업도 확장 중인데요. *Siemens Healthineers, *루닛, *Hologic Sales and Service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진단부터 치료까지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로 토탈 케어 솔루션 제공을 목표하고 있어요.
*인벤트라: 독일의 전문 제약회사로, 글로벌 조영제 시장에서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기업
*Siemens Healthineers: 독일의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으로, 의료기기 시장 Top 3에 드는 선도 기업
*루닛: 대한민국의 의료 AI 기업으로, 암 진단 및 치료 지원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
*Hologic Sales and Service: 미국의 유방암 진단 및 치료 장비 분야 글로벌 리더 기업
공모희망가 범위는 12,600 ~14,300원이며, 오는 2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 예정이에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리포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어요.
|
|
|
E-mail: jongsun.park@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美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日 무역수지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중국의 내수 활성화 정책에 따른 국내 영향을 살펴봤는데요. 이에 따른 투자 전략 수립 시 중국의 국가 리스크에 유의해야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리스크가 있는지 확인해 볼게요. |
|
|
- 정책 변화 대응: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를 주시하고 빠르게 대응 필요
- 분산 투자: 특정 산업이나 기업에 집중하지 말고 리스크 분산
- 매출 다변화: 중국 외 글로벌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 주목
- 현지 이해: 중국 소비 트렌드와 온라인 중심 문화 고려
- 환율 리스크 관리: 위안화 변동성을 감안해 투자 전략 필요
- ESG 검토: 환경 규제를 충족하는 지속가능한 기업에 투자
- 장기적 관점: 단기 불확실성보다 장기 성장 가능성 확인
- 전문가 활용: 현지 정보와 전문가 분석을 적극 참고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Greenhouse (1939)
Walter Kurt Wiemken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2~6도이며 미세먼지가 차츰 해소돼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