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5.02.07. (금) by 유진투자증권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미국의 관세 전쟁은 트럼프 1기에 벌어진 관세 분쟁과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차이를 보여요.
📃 트럼프 1기와 다른 관세정책
- 협상 도구로서의 성격: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는 발효 하루 전 한 달간 유예되며 협상 수단임을 분명히 했어요. 실제 부과됐다면 미국 경제가 타격을 받고, 캐나다와 멕시코는 침체에 빠졌을 가능성이 높아요.
- 대중 관세와 중국 대응: 이번 대중 관세는 10%로, 트럼프 1기 때보다 인상 폭이 작고, 속도도 완만해요. 중국도 보복 관세로 대응했지만, 특정 품목에 한정하며 전면 충돌을 피하는 모습이에요.
- 전략적 방향: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은 감세와 리쇼어링(생산시설 국내이전)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전망이에요.
🤨 금융시장에 영향은?
트럼프 1기 때보다는 금융시장에 미치는 위험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지만, 대중 관세 분쟁이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닌데요. 트럼프 정부는 4월 1일까지 미중 1단계 협상 이행 여부, 중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섹션 301 조사, *PNTR 지위 검토 등을 진행할 예정이며, 결과에 따라 관세 분쟁이 재점화될 수 있어요.
*섹션 301 조사: 미국이 자국 기업에 대한 불공정 무역 관행을 조사하고, 필요하면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
*PNTR(영구 정상 무역 관계) 지위 검토: 미국이 중국에 부여한 특별 무역 지위를 계속 유지할지 재검토하는 과정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어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요.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자산으로 위험을 분산할 필요가 있겠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36.75pt ▲27.48
KOSDAQ 740.32pt ▲9.34 |
|
|
미국 10년물 채권 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로 투자 심리가 개선된 가운데, 삼양식품(+14.91%)과 SK바이오팜(+17.16%)이 호실적을 기록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어요. 업종별로는 의료·정밀기기(+3.54%), 건설(+3.34%), 음식료·담배(+3.22%) 등이 상승했고, 증권(-0.88%), 운송·창고(-0.63%), 통신(-0.57%) 등이 하락했어요. |
|
|
✔ KOSPI
개인(-6,044) / 외국인(+3,558) / 기관(+1,594)
✔ KOSDAQ
개인(-644) / 외국인(+87) / 기관(+701)
|
|
|
눈에 띄는 특징 섹터 👁️
From Yesterday: 유리기판(+12.76%) / 모듈러주택(+5.15%) / HBM(고대역폭메모리)(+3.95%)
From 5 days ago: 인터넷대표주(+20.22%) / AI챗봇(+16.80%) / 의료AI(+12.72%)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증시는 급반등 후 숨 고르기에 들어가며 혼조세로 마감했어요. 뚜렷한 변동 요인이 없는 가운데, 기술주는 매수세가 유입되고 우량주는 매도세가 이어지는 흐름을 보였어요. |
|
|
✔ NEW YORK
Dow 44,747.63(-0.28%)
S&P500 6,083.57(+0.36%)
Nasdaq 19,791.99(+0.51%)
Russell2000 2,307.12(-0.39%)
필라델피아 반도체 5,092.59(+0.02%)
VIX 15.43(-2.17%)
✔ KEY INDICATES
WTI $70.61(-0.59%)
금 선물 $2,880.60(-0.43%)
EUR/USD 1.0386(-0.18%)
10-Yr Bond 4.4400(+0.41%)
US Dollar Index 107.67(+0.08%)
원달러 환율 1,447.7원(+3.4원)
✔ S&P500
Basic Materials +0.80% Communication Services +0.41% Consumer Cyclical +0.41% Consumer Defensive +0.79% Energy -1.30% Financial +0.85% Healthcare -0.85% Industrials +0.17% Real Estate +0.36% Technology +0.52% Utilities +0.04%
|
|
|
🗽 오늘의 특징주
- Qualcomm(-3.72%) 중국 화웨이와의 계약 만료로 매출 성장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면서 주가가 급락했어요.
- Eli Lilly and Company(+3.35%)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주가가 강세를 보였어요.
|
|
|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NG(+3.7%), PBW(+2.5%), CQQQ(+2.5%)
- Losers: EIDO(-3.2%), OIH(-2.9%), XSD(-2.7%)
🌕 최근 5일 상위/하위
- Gainers: UNG(+12.0%), GDX(+4.3%), WEAT(+3.6%)
- Losers: MOO(-4.2%), EIDO(-4.0%), ITB(-3.7%)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MOMENTUM, EAFE, CHINA, COPPER, NATURAL GAS
- 하락 ETF 키워드: OIL, INDONESIA, ENERGY, BIOTECH, SEMI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4분기 호실적,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로 수익성 확대
삼성중공업의 4분기 매출은 2조 7,004억 원, 영업이익은 1,743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전년 대비 11%, 121% 급증했어요. 이는 조업일수 증가와 고수익성 해양 FLNG 기자재의 조기 입고 덕분이죠. 단, 영업 외에서는 러시아 프로젝트 관련 회계 처리 변경으로 약 7,400억 원의 파생상품 평가손실이 발생했으며, 향후 환율 변동에 따라 매 분기 20억 달러 규모의 손익이 반영될 예정이에요.
🚢 해양이 이끄는 2025년 실적 전망
2025년 매출은 전년 대비 6%, 영업이익은 25% 성장할 전망이에요. 상선 매출은 감소하지만, 해양 부문이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보여요. 특히 미국 *LNGC 수요가 견조하며, 친환경 선박 도입도 지속되고 있죠. 주목할 점은 FLNG 부문에서 *ZLNG Hull 진수, *Cedar 스틸 커팅 및 기공식, 코랄 FLNG 2 선 공사 진행 등 대형 프로젝트가 예정되어 있다는 점인데요. 3기 동시 건조로 인한 부담 우려는 있으나, 충분히 대응할 수 있으며 해양 매출 1조 원 증가와 높은 마진이 기대돼요.
*LNGC(LNG Carrier): 액화천연가스(LNG)를 운반하는 특수 선박
*ZLNG Hull: 해양 LNG 생산·저장·출하를 위한 핵심 구조물
*Cedar 스틸 커팅: FLNG 프로젝트 ‘Cedar’의 본격적인 건조 시작을 의미하는 첫 철강 절단 단계
올해 FLNG 건조가 본격화하면서 매출과 수익성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니 주목해 보면 좋을 것 같아요.
|
|
|
E-mail: syyang090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美 비농업 고용수, 실업률
- 美 미시건대 소비자 심리지수 잠정치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트럼프 1기와 트럼프 2기의 관세 정책의 차이점을 살펴봤어요. 트럼프 2기에서는 감세와 리쇼어링을 지원하는 차이점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점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볼게요. |
|
|
✅ 긍정적 영향
- 제조업 활성화 및 고용 증가: 해외 생산 부담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짐
- 기업 투자 확대: 감세 효과로 생산시설 확충 및 R&D 투자 여력 증가
- 공급망 안정성 강화: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리스크 대응력 향상
⚠️ 부정적 영향
- 소비자 부담 증가: 생산 비용 상승으로 물가 인상 가능성
- 기업 비용 증가·경쟁력 저하: 높은 인건비·운영비로 수익성 악화 및 글로벌 시장 경쟁력 저하
- 무역 갈등 심화: 중국·EU 등 주요 교역국의 보복 조치 가능성
미국 내 제조업과 공급망 안정에는 긍정적이지만, 생산 비용 상승과 무역 갈등이 변수. 자동화·생산 효율화 없이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음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Seashore under a full moon (~1890)
Albert Nikolaevich Benois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주말에도 영하권 추위가 계속돼요😖
우리 다음주에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