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5.06.25. (수) by 유진투자증권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중동 긴장 완화, 신흥국에 더 유리한 이유
이란-이스라엘, 미국-이란 간 무력 충돌이 신속히 진정되며 ‘힘에 의한 평화’가 다시 확인됐어요.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국가들에겐 내수 회복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인데요. 중동 지역의 긴장 완화는 글로벌 위험자산 전반에 우호적이지만, 관세와 이민 문제 등 구조적 리스크를 안고 있는 미국보다 신흥국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이에요.
🤓 미국 소비 둔화 조짐 속 올드테크의 선방
최근 미국 증시에선 이민자 의존도가 높은 건설, 호텔·레저, 음식료 업종의 주가가 부진해요. *레나와 *톨 브라더스는 고점 대비 25% 가까이 하락했고, 맥도날드와 스타벅스 역시 예전만 못한 흐름을 보이고 있죠. 반면, 마이크로소프트·IBM·오라클 등 전통 테크 기업들은 AI 수혜로 고점을 경신하며 선방 중이에요. 주가 흐름을 감안할 때, 올여름 미국의 소비와 서비스 지표는 둔화될 가능성이 제기돼요.
-
레나(Lennar): 미국 최대 주택 건설업체 중 하나로, 중저가 주택 개발에 특화
-
톨 브라더스(Toll Brothers): 고급 단독주택과 커뮤니티 개발에 특화된 미국의 대표적인 프리미엄 주택 건설업체
중동 긴장 완화는 글로벌 위험자산에 긍정적이지만, 구조적 리스크를 안고 있는 미국보다는 당분간 신흥국에 더 많은 기회가 열릴 가능성이 클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3,103.64pt ▲89.17
KOSDAQ 800.93pt ▲16.14 |
|
|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 합의 소식에 KOSPI는 급등세로 출발했으며,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에 힘입어 상승 폭을 키운 끝에 3년 9개월 만에 종가 기준 3,100선을 돌파했어요. 업종별로 보면 전기·가스(+16.43%), 증권(+4.97%), 전기·전자(+4.68%) 등 대다수 업종이 강세를 보였고, 반면 금속(-1.07%)은 하락했어요. |
|
|
✔ KOSPI
개인(-6,382) / 외국인(+4,371) / 기관(+2,593)
✔ KOSDAQ
개인(-2,077) / 외국인(+1,741) / 기관(+646)
|
|
|
눈에 띄는 특징 섹터 👁️
From Yesterday: 2차전지(나트륨이온)(+6.75%) / 은행(+6.14%) / 스테이블코인(+5.10%)
From 5 days ago: 인터넷대표주(+38.29%) / 스테이블코인(+30.87%) / 원자력발전소 해체(+16.27%)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이란과 이스라엘의 휴전으로 위험 선호 심리가 확산되며 증시는 이틀 연속 상승했어요.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가 줄면서 국제유가는 6% 넘게 급락해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어요. |
|
|
✔ NEW YORK
Dow 43,089.02(+1.19%)
S&P500 6,092.18(+1.11%)
Nasdaq 19,912.53(+1.43%)
Russell2000 2,162.21(+1.34%)
필라델피아 반도체 5,441.87(+3.77%)
VIX 17.48(-11.85%)
✔ KEY INDICATES
WTI $64.37(-6.0%)
금 선물 $3,337.60(-1.69%)
EUR/USD 1.16(+0.32%)
10-Yr Bond 4.29(-0.62%)
US Dollar Index 97.96(-0.47%)
원달러환율 1,360.2원(-24.1원)
✔ S&P500
Basic Materials +0.26% Communication Services +1.50% Consumer Cyclical +1.05% Consumer Defensive -0.07% Energy -1.08% Financial +1.58% Healthcare +1.30% Industrials +0.77% Real Estate +0.33% Technology +1.99% Utilities +0.60%
|
|
|
🗽 오늘의 특징주
- Tesla(-2.35%) 지난 22일부터 운영 중인 로보택시에 오작동이 많다는 소식에 하락했어요.
- Circle Internet Group(-15.49%) 상장 이후 연일 폭등했던 주가가 폭락했는데요. 국제결제은행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경쟁이 너무 심화하고 있다고 경고한 영향으로 해석돼요.
- United Airlines(+2.66%), Delta Air Lines(+2.72%), Frontier Group(+7.56%) 유가 하락으로 항공주는 강세를 보였어요.
|
|
|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EWY(+4.7%), TAN(+4.2%), BLOK(+4.2%)
- Losers: UGA(-4.5%), USO(-4.4%), UNG(-3.8%)
🌕 최근 5일 상위/하위
- Gainers: ARKK(+10.0%), EWY(+9.0%), ITB(+6.3%)
- Losers: USO(-11.2%), UGA(-7.6%), UNG(-7.4%)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SEMI, KOREA, GROWTH, CHINA TECHNOLOGY
- 하락 ETF 키워드: OIL, ENERGY, GOLD, SILVER, NATURAL GAS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자회사 팍시게임즈 효과로 역대급 매출 전망
2분기 실적은 매출 1,769억 원, 영업이익 566억 원으로 소셜카지노 부문은 시장 침체에 따라 컨센서스를 밑돌 전망이에요. 하지만 지난 3월 인수한 팍시게임즈가 2분기부터 연결 실적으로 반영되며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이끌 것으로 예상돼요. 특히 *팍시게임즈의 대표작 *머지스튜디오는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최대 매출을 경신할 전망이며, *슈퍼네이션 또한 전분기 대비 소폭 성장이 기대돼요.
-
팍시게임즈(Paxie Games): 캐주얼 모바일 게임 개발사로, 머지 퍼즐 장르에 특화
-
머지스튜디오(Merge Studio): 팍시게임즈의 대표작으로, 아이템을 조합하며 성장하는 캐주얼 머지 퍼즐 게임
-
슈퍼네이션(SuperNation): 더블유게임즈 산하의 모바일 게임 개발 자회사
🙌 수익성 둔화 속에서도 외형 성장 지속
매출이 늘었지만 자회사 성장에 따른 마케팅 비용과 운영비 증가로 수익성은 다소 둔화될 전망이에요. 다만, DTC(Direct-to-Consumer) 매출 비중 확대와 플랫폼 수수료 감소에 따른 비용 부담은 줄어들 것으로 보여요. 이러한 흐름은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수익성 둔화에도 불구하고 외형 성장과 매출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중장기 밸류에이션 회복이 기대돼요. 또한, 최대 714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이 예정되어 주주환원 측면에서도 긍정적이죠.
자회사 성장에 힘입어 외형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하반기 매출 다변화와 자사주 매입을 통한 주주환원 정책으로 중장기적인 기업 가치 제고가 기대되니 관심 가져도 좋을 것 같아요. |
|
|
E-mail: uihoon060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美 신규주택판매건수, EIA 원유 재고 변동, MBA 30년 모기지 금리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이스라엘, 이란, 미국 충돌의 진정 국면에서 글로벌 금융시장 흐름을 살펴봤어요. 다만, 구조적 리스크를 가지고 있는 미국보다는 신흥국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신흥국이 유망할지 확인해 볼게요. |
|
|
중동 리스크 완화로 유가 안정과 공급망 불확실성 해소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고 내수 중심의 성장을 추구하는 아시아 신흥국들이 가장 큰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큽니다. 대표적으로는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등이 꼽히며, 이들은 에너지 수입 부담이 줄어들수록 무역수지 개선, 통화 안정, 소비 회복 등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특히 인도는 최근 제조업 중심의 리쇼어링 수혜와 함께 AI·반도체 투자 유치도 활발해, 위험자산 선호가 회복되는 환경에서 구조적 성장성과 결합한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Commander of a submarine looking through a periscope
Eric Ravilious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20~28도이며 무더운 날씨예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