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5.08.08. (금) by 유진투자증권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중국 증시, 로봇·방산 테마 강세
제조업 둔화 우려에도 중국 증시는 로봇·방산 테마를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어요. 8월 5일 상해지수가 연고점을 경신하고, 레버리지 자금도 10년 만에 2조 위안을 넘어는데요. 이는 정책 기대와 산업 테마에 대한 낙관론이 반영되며, 개인 매수세가 강해진 영향으로 보여요. 반면, 외국인은 8월 들어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개인과의 온도차를 보이고 있어요.
💫 2015년 재현?
현재 중국 증시는 2015년 급등락 장세를 떠올리게 할 만큼 정책 테마 중심의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어요. 다만 본토 투자자와 외국인 간의 투자 심리 차이가 뚜렷하고, 레버리지 자금 비중도 과도하지 않아 중국 정부의 직접적인 개입 가능성은 낮아 보여요. 이에 따라 특정 업종이나 테마 중심의 순환매 장세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에요.
중국 증시는 당분간 강세를 이어갈 전망이에요. 하지만 과거와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면, 외국인의 움직임과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어요.
|
|
|
by Baek EunBi
E-mail: ebbaek@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3,227.68pt ▲29.54
KOSDAQ 805.81pt ▲2.32 |
|
|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에도 애플 호재 등으로 미국 증시가 상승하자, KOSPI와 KOSDAQ도 동반 상승 마감했어요. 미국이 현지 공장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미국 공장 투자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고, 애플 칩 수혜 기대에 반도체주도 강세를 보였어요. 카카오는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로 급등(+11.97%)했으며, 자동차·조선주도 강세를 보이며 마감했어요.
|
|
|
✔ KOSPI
개인(-1,968) / 외국인(-176) / 기관(+1,092) |
✔ KOSDAQ
개인(+912) / 외국인(-539) / 기관(-219) |
|
|
눈에 띄는 특징 섹터 👁️
From Yesterday: 인터넷대표주(+7.52%) / 조선기자재(+4.29%) / 지역화폐(+3.24%)
From 5 days ago: 조선기자재(+8.70%) / 여행(+5.55%) / 2차전지(나트륨이온)(+5.18%)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Eli Lilly의 비만 치료제 임상 결과가 실망을 주며 주가가 14.14% 급락했고, 이는 다우 지수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어요. 하지만 장 막판 트럼프 대통령이 스티븐 미런을 연준 이사로 지명했다는 소식에 나스닥은 상승 전환하며,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어요. |
|
|
✔ NEW YORK
Dow 43,968.64(-0.51%)
S&P500 6,340.00(-0.08%)
Nasdaq 21,242.70(+0.35%)
Russell2000 2,213.98(-0.33%)
필라델피아 반도체 5,633.70(+1.50%)
VIX 16.66(-0.65%)
✔ KEY INDICATES
WTI $63.88(-0.73%)
금 선물 $3,468.10(+1.01%)
EUR/USD 1.1660(+0.05%)
10-Yr Bond 4.2440(+0.57%)
US Dollar Index 98.11(-0.07%)
원달러환율 1,381.2(-8.3원)
|
✔ S&P500
Basic Materials +0.92% Communication Services +0.02% Consumer Cyclical +0.16% Consumer Defensive +0.65% Energy -0.42% Financial -0.67% Healthcare -0.60% Industrials -0.29% Real Estate +0.26% Technology +0.57% Utilities +0.92%
|
|
|
🗽 오늘의 특징주
- Peloton Interactive(+0.57%) 깜짝 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장중 12% 급등했지만 강보합으로 마감했어요.
- Intel(-3.14%) 트럼프 대통령이 립부 탄 인텔 CEO 사임을 촉구하면서 하락했어요
|
|
|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SILJ(+4.9%), XME(+3.4%), EDEN(+2.7%)
- Losers: FIG(-13.4%), ABNY(-7.2%), UX(-4.8%)
🌕 최근 5일 상위/하위
- Gainers: SLVP(+14.3%), SILJ(+14.2%), AUMI(+13.7%)
- Losers: USO(-7.8%), BNO(-7.4%), USOY(-7.3%),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Silver, Metals, Denmark, Austria, Lithium
- 하락 ETF 키워드: Figma, Abnb, Uranium, Cybersecurity, Biotech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2분기 사상 최대 실적
2분기 매출 3,277억원(전년대비+110.8%), 영업이익 846억원(전년대비+201.8%)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어요. 영업이익률도 25.8%로 크게 개선됐는데, 특히 화장품(매출 비중 69%) 부문 고성장과 비수기 효과에 따른 비용 절감이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어요. 디바이스 부문은 B2B 매출 증가로 마진율이 높아졌고, 미국·일본 시장 내 급성장과 중화권 내 견조한 실적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어요.
😎 하반기 글로벌 확장 본격화
하반기에는 미국 ‘얼타(ULTA)’ 입점과 일본 오프라인 매장(2,500~3,000개) 진출로 화장품 매출이 2분기보다 늘어날 전망이에요. 또한, 블랙프라이데이, 광군제 등 글로벌 소비 이벤트가 집중되면서 전체 매출도 큰 폭의 성장도 기대돼요. 단, 할인 확대, 마케팅비 증가, 물류비 부담으로 인해 영업이익률은 2분기보다 다소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요. 한편, 병원용 에너지 디바이스와 스킨부스터 디바이스는 내년 이후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이며, 이는 중장기 성장 동력으로 주목 받고 있어요.
- 얼타(ULTA): 미국 전역에 1,3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는 미국 최대 뷰티 리테일 체인
2분기 사상 최대 실적으로 ‘실력 있는 성장주’로서의 면모를 확실히 보여줬어요. 하반기에는 글로벌 유통망 확대와 시즌성 수요가 더해지며 한 단계 더 도약할 듯하니 기대해도 좋겠어요.
|
|
|
E-mail: hnlee@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 증시를 살펴봤어요. 다만, 2015년 중국 증시와 비슷한 모습이 우려된다는 내용이 있었는데요. 2015년 중국 증시가 어떤 흐름이었는지 확인해 볼게요. |
|
|
-
2015년 중국 증시는 정책 기대와 테마주 중심의 개인 매수세가 몰리며 급등세를 보였어요.
-
당시 상하이종합지수는 3,000포인트에서 5,000포인트를 넘길 정도로 상승했고, 국유기업 개혁, 일대일로 등 정부 정책 관련 종목들이 시장을 주도했죠.
-
하지만 레버리지 자금이 급증하면서 과열 양상이 나타났고, 이후 마진콜과 실물 경기 둔화 우려로 급락세로 전환됐어요.
-
이 과정에서 중국 정부는 공매도 금지, 대주주 매도 제한, 정부펀드 투입 등 강한 시장 개입에 나섰죠.
-
최근의 중국 증시도 정책 테마 중심의 강세 흐름, 개인 투자자의 적극적인 매수세, 레버리지 자금 증가 등의 측면에서 2015년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다만 아직은 레버리지 비중이나 거래대금이 과열 수준은 아니라서, 당국의 직접 개입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예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Portrait of Mrs Marie Jeannette de Lange (1900)
Jan Toorop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주말에도 낮에는 후텁지근한 날씨예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