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5.11.14. (금) by 유진투자증권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AI 격차 확대…글로벌 자금, 다시 미국으로
2026년에는 AI 투자 규모 차이로 국가 간 성장 격차가 더 벌어질 전망이에요. AI와 유동성을 모두 갖춘 미국은 경기 둔화 조짐에도 빠른 통화정책 대응과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 흐름을 유지하고 있어요. 이에 따라 미국 국채의 매력이 높아지고, 글로벌 자금이 다시 미국으로 몰릴 가능성이 커요.
🐌 한국 기준 금리, 제한적 인하만 가능
국내 경제는 회복세지만 부동산 중심의 금융 불균형 때문에 한국은행의 정책은 내년에도 ‘금융 안정’에 집중될 전망이에요. 금리 인하 필요성은 있지만 통화·재정 모두 여유가 적어 금리는 1회 정도 제한적인 인하면 가능할 것으로 보여요.
2026년은 AI 투자와 유동성 격차가 국가 간 성장 흐름을 더 갈라놓을 것으로 보여요. 정책 여력에서 우위에 있는 미국과, 금융 안정을 우선해야 하는 한국의 차이가 핵심 요인이 될 전망이에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4,170.63pt ▲20.24
KOSDAQ 918.37pt ▲11.86 |
|
|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종료됐다는 소식에 상승폭을 넓히며 나흘째 상승했어요. 개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에 나섰지만, 외국인이 장 막판 1조원에 가까운 대량 매수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 견인했어요. 업종별로는 대형 기술이전 계약 등으로 제약, 바이오 업종이 강세 보였어요.
|
|
|
✔ KOSPI
개인(-1,323) / 외국인(+9,583) / 기관(-7,844) |
✔ KOSDAQ
개인(+395) / 외국인(-913) / 기관(+1,009) |
|
|
눈에 띄는 특징 섹터 👁️
- 전일대비: 면역항암제(+4.17%) / 탈플라스틱(+3.19%) / mRNA(+3.11%) / 조선(+3.07%)
- 5일전대비: 정유(+12.47%) / 마이데이터(+11.43%) / 타이어(+11.12%)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미국 연방 정부가 43일 만에 셧다운을 해제했으나 시장은 AI 고평가 우려와 다음달 중앙은행의 금리 동결 전망 영향으로 급락했어요. |
|
|
✔ NEW YORK
Dow 47,457.22(-1.65%)
S&P500 6,737.49(-1.66%)
Nasdaq 22,870.36(-2.29%)
Russell2000 2,382.98(-2.77%)
필라델피아 반도체 6,818.74(-3.72%)
VIX 20.21(+15.39%)
✔ KEY INDICATES
WTI $58.67(+0.31%)
금 선물 $4,174.40(-0.93%)
EUR/USD 1.1632(+0.37%)
10-Yr Bond 4.1120(+1.16%)
US Dollar Index 99.20(-0.30%)
원달러환율 1,467.7원(+2.0원)
|
✔ S&P500
Basic Materials -1.53% Communication Services -1.76% Consumer Cyclical -2.41% Consumer Defensive -0.28% Energy -0.15% Financial -1.40% Healthcare -0.38% Industrials -1.96% Real Estate -1.30% Technology -2.60% Utilities -1.28%
|
|
|
🗽 오늘의 특징주
- Walt Disney Company(-7.75%) 예상치를 밑도는 매출을 발표하며 급락했어요.
- Cisco Systems(+4.62%)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하며 25년 만의 최고가에 근접했어요.
|
|
|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LIT(+2.2%), REMX(+1.5%), CORN(+1.3%)
- Losers: ETHA(-7.2%), QCLN(-5.6%), BLOK(-5.5%)
🌕 최근 5일 상위/하위
- Gainers: REMX(+9.2%), GDX(+8.9%), SLV(+8.9%)
- Loser: BLOK(-7.4%), XSD(-6.3%), QCLN(-5.1%)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LITHIUM, DIVIDEND, GOLD, HEALTH CARE
- 하락 ETF 키워드: CLEAN ENERGY, SEMI, URANIUM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역대 최대 분기 실적
3분기 매출 1,274억원, 영업이익 265억원으로 각각 37%, 310%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어요. ‘P의 거짓’ DLC(추가 콘텐츠) 효과가 줄었지만 플레이스테이션 플러스 등록 로열티가 들어왔고, 신작 ‘Shape of Dreams’는 출시 2주 만에 50만장을 넘기며 약 80억원의 이익을 더했어요. 모바일 부문도 브라운더스트2의 2주년 업데이트와 이연 매출 덕에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라이브 서비스 흐름을 이어가고 있어요.
🤗 IP 확장과 신작 라인업으로 성장 지속
기존 흥행작(P의 거짓, 브라운더스트2 등)을 바탕으로 DLC와 라이브 서비스 수익이 꾸준히 발생하는 구조를 갖췄고, 신작 ‘Shape of Dreams’의 성공으로 중소형 게임사임에도 IP 확장 역량을 입증했어요. 내년에는 ‘안녕서울’, ‘킹덤2’, 울프아이 스튜디오 신작 등 주요 기대작 출시가 이어지며 2026년까지 실적 모멘텀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요.
기존 흥행작은 안정적인 수익을, 신작은 성공 가능성을 입증하했어요. 이러한 흐름을 감안하면, 2026년은 실적 체력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레벨업의 첫 해’가 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여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글로벌 자금이 미국으로 쏠릴 때, 국내 투자자의 포트폴리오 전략은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요? |
|
|
-
미국 국채 비중을 늘려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잡기: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는 만큼, 미국 중·장기 국채는 가격 상승 여력 + 안전자산 역할을 모두 제공합니다. 달러 강세가 나오면 환차익까지 기대할 수 있어요.
-
미국 빅테크·AI 인프라 기업은 계속 가져가거나 비중을 확대: AI 투자 확대의 수혜는 결국 미국 기업에 집중됩니다. 반도체–클라우드–전력 인프라 같은 구조적 성장 섹터는 자금 유입 구간에서 가장 안정적이면서도 성장성이 큰 자산이에요.
-
한국 주식은 ‘선택과 집중’이 더 중요해짐: 한국은 금리 인하 여력이 작아서 전체 증시에 강한 모멘텀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AI·반도체, 전력·전선 인프라, 방산 등 확실한 주도 섹터 중심의 압축 투자가 더 효과적이에요.
-
달러 비중을 전략적으로 늘리기: 달러 수요가 커지는 시기에는 환율 변동성도 확대됩니다. 달러 MMF, ETF, 예금 등을 활용해 달러 보유 비중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Peacock – portrait of Zofia Borucińska née Jakimowicz (1908)
Kazimierz Stabrowski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주말에도 맑고 일교차 큰 날씨가 이어져요😊
|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