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4.26. (수)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최근 엔터주들의 주가가 쭉쭉 상승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죠.
오늘 투자Story에서는 국내 대표 엔터주 4개 사의 1분기 실적과 전망 한 번에 짚어볼게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글로벌 시장에서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있어요. 다만, 달러가 약세를 띠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여야 할 원화가 달러와 동반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살펴볼게요.
🤒 힘 빠지는 원화
미국 달러인덱스(DXY)가 올해 -2% 하락했는데, 원화도 달러 대비 -5.5% 하락했습니다. 즉, 약해진 달러보다도 원화가 더 약하다는 거예요. 올해 주요국 가운데 원화보다 더 약한 통화는 많지 않아요. 멕시코 페소, 브라질 헤알, 인도네시아 루피아 등을 비롯해 웬만한 신흥국의 통화가치는 올해 +4~5% 상승했어요. 신흥국 외에도 한국과 그나마 경제구조가 유사한 대만의 대만달러나 중국의 위안화 가치도 상승했어요. 이는 수출에 민감하다는 점으로는 설명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죠.
🙌 대만과의 차이점
대만과 비교해 보면, 크게 두 가지 면에서 차이가 돋보여요.
- 먼저, 한국의 가계부채 부담이 대만에 비해 높은데요. 2021년 하반기 이후 한국의 금리는 300bp 올랐지만, 대만은 75bp 올랐어요. 그 결과로, 통화량을 나타내는 유동성 지표 중 하나인 M2를 살펴보면, 한국의 M2 증가율은 전년 대비 +3.7%로 줄었지만, 대만의 M2 증가율은 여전히 +6.9%로 높은 상태예요. 즉, 대만의 통화량이 한국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 또한 대만과 수출 경쟁력은 엇비슷하지만, 유독 국내 무역적자가 컸던 이유는, 에너지뿐만 아니라 대중 수입의존도가 더 높기 때문이에요. 대중 수출 면에서는 한국과 대만 모두 감소하고 있지만, 문제는 한국의 대중 수입이 거의 줄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죠. 지난 12개월 동안 한국 무역적자 가운데 대중 무역적자는 약 20%에 육박해요.
수출이 좋아지면 원화 가치도 올라갈 거예요. 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그 나라 환율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내수의 힘으로 볼 수 있어서, 이점 함께 생각해 봐야겠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489.02pt ▼34.48
KOSDAQ 838.71pt ▼16.52 |
|
|
전날 무더기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들이 이틀 연속 급락하는 등 수급 불안이 이어지면서 투심이 위축됐고, 오전 중 정부에서 2차전지주 과열을 지적하면서 LG에너지솔루션, POSCO홀딩스,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을 중심으로 급락세가 나타났어요.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5.39%), 비금속광물(-3.6%), 철강금속(-3.1%) 등의 하락이 두드러진 한편, 보험(+2.91%), 운수장비(+2.5%), 금융업(+0.19%) 등은 상승했어요. |
|
|
From Yesterday: 희귀금속(+9.46%) / 손해보험(+3.03%) / 자동차대표주(+1.42%)
From 5 days ago: 희귀금속(+11.92%) / 비료(+6.73%) / 손해보험(+5.31%) / 생명보험(+3.69%)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수익성 악화 우려 등 '지역 은행권'에 대한 이슈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어요. 전날 실적을 발표한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은 회사의 예금이 1분기에 40%가량 줄어들었다는 소식과 비용 증가에 따른 수익성 악화 우려가 커지면서 주가가 -50%가량 폭락했어요.
😫 은행권에 대한 우려는 '지역 은행권' 전반에 퍼졌어요. 웨스턴 얼라이언스 은행과 팩웨스트 은행 주가가 각각 -5%, -8% 떨어졌고 찰스 슈와브의 주가도 -4%가량 떨어졌어요. 한편 제너럴 모터스는 지난 1분기 순이익과 매출이 예상치를 웃돌았음에도 주가가 -4% 내렸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국내 엔터주들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죠. 오늘은 대표 엔터주 4개 회사의 1분기 실적과 전망을 한 번에 정리해 볼게요.
🎵 엔터테인먼트의 1분기
- 하이브: 1분기 매출액 4,380억 원, 영업이익 489억 원이 전망돼요. 소속 아티스트 모두 가파른 성장 중인 가운데, 특히 세븐틴 미니 10집 선주문량이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하며 성장을 견인하고 있어요. 더불어 4월 말부터는 위버스 DM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구독모델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요. 하반기에는 미국 현지 걸그룹 프로젝트가 가시화될 것 같아요.
- 에스엠: 1분기 매출액 1,942억 원, 영업이익 198억 원이 전망돼요. 법률 자문 관련 일회성 비용 발생으로 다소 부진한 실적이 전망되지만, 2분기 이후 실적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 에스파, NCT Dream, EXO 등 주요 아티스트 컴백으로 신보 판매를 통해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보여요. 하반기에도 NCT Dream, 127, 완전체 활동이 이어질 예정이고, 3팀의 신인 아티스트 데뷔까지 더해져 꾸준한 실적 모멘텀이 기대돼요.
- JYP Ent.: 1분기 매출액 960억 원, 영업이익 267억 원이 전망돼요. 미국, 일본 중심으로 소속 아티스트의 성과가 눈에 띄게 성장 중인데, 특히 트와이스의 북미 단독 스타디움 투어를 중심으로 미국 시장 침투율이 높아지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고, 이에 따라 MD 매출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요. 또한 JYP 360 내재화 효과로 분기 150억 원 이상의 MD 매출이 안정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해요. 하반기 데뷔하는 미국 현지 걸그룹은 5월 중 유튜브를 통해 오디션 프로그램이 송출되며, 곧 관련 프로젝트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돼요.
- 와이지엔터: 1분기 매출액 1,261억 원, 영업이익 178억 원이 전망돼요. 상반기 블랙핑크와 트레저의 투어가 이어지고, 하반기는 트레저의 컴백 및 신인 걸그룹 데뷔가 예정되어 있어요. 또한 블랙핑크 앙코르 공연 일정을 고려할 때 재계약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판단되며, 특히 올해는 트레저와 신인 걸그룹의 흥행 여부가 중요할 것 같아요.
1분기는 각 기획사의 주요 아티스트 활동이 많지 않았음에도, 대체로 견조한 실적 기록할 것 같아요. 2분기부터 주요 아티스트 활동이 본격화되면 엔터 4개사 모두 이익 개선세가 지속되지 않을까 싶어요.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
|
|
by Lee HyunJi
E-mail: hjlee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세계 처음 먹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허가 여부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챗GPT / 데일리아트 |
|
|
💰 전체 가상자산 중 유통시가총액 기준 상위 30 개 자산 인덱스의 일주일간 추이를 알려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원화 가치 상승과 하락이 미치는 영향을 ChatGPT에게 물어봤어요.
" 원화 가치의 상승과 하락은 한국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간단하게 설명된 원화 가치의 상승과 하락에 따른 장단점입니다.
[원화 가치 상승 (강세)] 1. 장점 - 수입품 가격 하락: 원화 가치가 상승하면 외화로 결제되는 수입품의 가격이 낮아집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더 저렴한 가격으로 수입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 대외 부채 부담 감소: 원화 가치가 상승하면 외화로 차입된 대외 부채의 상환 부담이 줄어듭니다. 이는 국가의 부채 부담을 줄이고 재정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2. 단점 - 수출 경쟁력 악화: 원화 가치가 상승하면 한국의 수출 상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경쟁력이 악화됩니다. 이는 수출 기업의 이익 감소와 고용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경제 성장 둔화: 수출이 줄어들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투자와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원화 가치 하락 (약세)]1. 장점 - 수출 경쟁력 향상: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한국의 수출 상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경쟁력이 향상됩니다. 이는 수출 기업의 이익 증가와 고용 창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경제 성장 촉진: 수출이 증가하면 경제 성장이 활성화되고 투자와 고용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2. 단점 - 수입품 가격 상승: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외화로 결제되는 수입품의 가격이 상승합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더 비싼 가격으로 수입품을 구매해야 할 수 있습니다. - 대외 부채 부담 증가: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외화로 차입된 대외 부채의 상환 부담이 커집니다. 이는 국가의 부채 부담을 증가시키고 재정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3.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 원화 가치 하락으로 인해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면, 일반적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가하고,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4. 외국인 투자 감소
-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자산에 대한 환차익 기대가 낮아져 투자를 망설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외국인 투자가 감소하고, 국내 자본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원화 가치의 상승과 하락은 수출 경쟁력, 수입품 가격, 대외 부채 부담, 경제 성장 등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칩니다. 각 상황에 맞게 정책 기조를 조절하여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Maquettes de Theatre 4 (1930)ㅣ "Alexandra Exter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10~15도로 쌀랑한 날씨예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