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5.11. (목)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크래프톤이 배틀그라운드 인기에 힘입어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크래프톤의 1분기 실적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주요 국가 중 유일하게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고 있는 일본, 그런데 BOJ(일본은행)이 서서히 정책 정상화를 시도하기 시작했어요.
🌱 정책 변화 가능성 꿈틀
지난주 BOJ 정책회의 성명서에서 금리를 현재 수준 또는 낮게 유지하겠다는 문구를 처음으로 삭제했고, "통화정책을 광범위한 시각으로 재검토하겠다"라고 밝혔어요. BOJ가 통화 정책 정상화의 토대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죠. 또한 최근에는 우에다 총재가 중의원 재무금융위원회에 참석해, 기대 인플레를 포함, 인플레이션에 긍정적인 신호가 나오고 있다며 물가 목표가 달성됐을 경우 YCC 정책을 종료하겠다고 말했어요. 이 또한 BOJ의 정책 변화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요.
*YCC(Yield Curve Control): 특정 만기일의 국채 금리의 목표치를 정하고, 그 수준을 유지하도록 국채를 매입 또는 매도하는 통화정책
🧐 금융 시장은...
BOJ가 YCC 정책 전환을 하게 될 경우, 금융 시장에 긴장감을 주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일본의 해외 자산들이 본국으로 유입되면, 해외 자산 가격이 하락하고 엔화는 상승할 위험이 크기 때문이에요. 그러나 최근 일본은 무역적자가 누적되고 있고, 이자와 배당 소득은 해외에서 재투자되는 경향이 있으며, 주요국과의 단기금리 차이는 여전히 크죠. 그러므로 엔화가 강해지고 미국 국채 가격이 약해지게 되더라도 쇼크 수준은 아닐 가능성이 높아요. 이를 바탕으로 과거 (-)마이너스 금리를 벗어난 유럽 은행들의 수익이 높아진 것처럼 일본 은행들의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요.
지난해 에너지 위기 탈출에 성공했던 유럽 모멘텀은 약해지고 있고, 미국은 부채 협상이라는 산을 넘어야 하는 상황 속에서 상대적으로 상황이 괜찮은 일본 증시에도 관심 가져보면 좋을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관망심리 #하락세 #미국CPI #부채한도협상
|
|
|
KOSPI 2,496.51pt ▼13.55
KOSDAQ 829.74pt ▼6.11 |
|
|
10일(수) 국내 증시도 전날에 이어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관망심리가 유지되며 증시 움직임이 제한됐어요. 또한 부채한도 협상이 결렬된 점도 투심에 악영향을 미쳤어요. 업종별로는 철강 및 금속(-1.48%)의 낙폭이 가장 두드러졌고, 의약품(-1.31%), 비금속광물(-1.26%) 등도 약세를 보였어요. 한편 운수장비(+1.50%), 통신업(+1.31%), 보험(+1.01%) 등은 올랐어요. |
|
|
From Yesterday: 중국기업(+8.61%) / 화장품(+2.93%) / 손해보험(+2.79%) / 면세점(+2.14%)
From 5 days ago: 페라이트(+14.47%) / 그래핀(+14.38%) / 중국기업(+8.75%)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4월 CPI(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증시는 혼조세 마감했어요. 이에 긴축 우려가 다소 완화되면서 금리에 민감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랠리를 보였어요. 물가 지표 발표 이후 미국 국채금리도 하락세를 보였어요.
🙂 구글이 인공지능 챗봇 '바드'를 전면 오픈한 가운데, 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주가는 +4% 이상 상승했고, 리비안은 예상보다 손실 규모가 작았다는 소식에 주가가 +1.8% 강세를 보였어요. 한편 에어비앤비는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2분기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10.9% 급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PALL(+2.3%), SKYY(+2.1%), REMX(+2.0%)
- Losers: UNG(-4.9%), COPX(-2.7%), CHIX(-2.7%)
🌕 최근 5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PALL(+12.6%), ARKK(+11.6%), URA(+8.7%)
- Losers: EZA(-3.9%), TLT(-2.1%), IYZ(-2.1%)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CLOUD, MEXICO, PALLADIUM, BOND
- 하락 ETF 키워드: CHINA, SOUTH AFRICA, BOND, TREASURY, CHINA TECHNOLOGY
-
현재 글로벌 탄소시장에 투자하는 상품은 아직 많지 않은 상황이며, KRBN(KraneShares Global Carbon ETF) 등 주로 유럽 탄소배출권(Carbon allowance)에 투자
-
유럽 탄소배출권 가격은 올해 초 사상 처음 톤당 100유로 기록
|
|
|
by Kang SongCheol
Telegram: https://t.me/buykkang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크래프톤이 배틀그라운드 인기에 힘입어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어요. 내용 자세히 살펴볼게요.
🖤 여전히 건재한 배틀 그라운드
크래프톤 1분기 실적은 매출액 5,387억 원, 영업이익 2,830억 원으로 역대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고,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를 크게 웃돌았어요. PC와 모바일 매출 호조와 비용 절감이 이번 실적에 주효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여요.
- PC 매출: 크래프톤은 지난해 1분기 PC 배틀그라운드 무료화와 더불어 상반기 유저 트래픽 성장에 집중했고, 하반기에는 스킨 콜라보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인 스킨 제작소를 적용하는 등 PC 배틀그라운드의 수익성을 높이는 데 주력했어요. 이는 올해 1월에 출시된 성장형 스킨 콘텐츠인 '가디언즈 콜렉션'과 큰 시너지를 일으키며 PC 매출 성장으로 이어졌고, 무려 전년 대비 68.2% 성장한 1,785억 원을 기록했어요. 물론 시즌 콜라보 콘텐츠인 만큼 2분기 매출까지 기여하긴 힘들겠지만, 향후 시즌성 콜라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PC 배틀그라운드 무료화 전략은 성공적이라 할 수 있겠어요.
- 모바일 매출: 모바일 매출은 3,482억 원을 기록했어요. 이는 전년 대비 12.1% 감소한 실적이지만, 인도 BGMI 중단 여파와 지난해 하반기 중국 화평정영 매출의 부진을 고려하면 호실적으로 볼 수 있어요. 콘솔 매출은 전년 대비 감소해 지난해 12월 출시된 TCP의 판매 효과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돼요.
- 영업비용: 이번에 영업비용도 크게 개선된 모습을 보였는데요. 인건비는 전년보다 소폭 감소했고, PC 매출 비중 증가로 앱수수료/매출원가 비용도 감소했어요. 마케팅 비용도 신작이 없었던 영향 등으로 매출액 대비 1%도 채 안 되는 수준으로 나타났어요.
크래프톤의 1분기 호실적은 기존 PC, 모바일 매출 부진을 벗어나 오히려 성장 가능성까지 시사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성과인 것 같네요. |
|
|
by Jeong UiHoon
E-mail: uihoon060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4월 PPI(생산자물가지수)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챗GPT / 데일리아트 |
|
|
💰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로 구성된 인덱스의 일주일간 추이를 알려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다뤘던 크래프톤 이야기에서 나온 인도 BGMI와 중국 화평정영이 무엇인지, 그리고 대한민국 게임 산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려줘
" 먼저, 인도 BGMI (Battlegrounds Mobile India)와 중국의 화평정영 (Game for Peace)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
Battlegrounds Mobile India (BGMI): BGMI는 인도에서 개발되었고 배포된 배틀로얄 스타일의 모바일 게임입니다. 이 게임은 PUBG Mobile의 인도 버전으로, 특정 국가의 문화와 규제에 맞게 수정되었습니다. BGMI는 플레이어가 생존하려면 다른 플레이어를 제거해야 하는 가상의 섬에서 발생합니다.
-
화평정영 (Game for Peace): 이 게임은 중국에서 만들어진 PUBG Mobile의 중국 버전입니다. 중국 정부의 엄격한 규제로 인해 게임의 내용이 수정되었으며, 이는 중국의 게임 시장 특성을 반영합니다. 예를 들어, 게임에서는 "평화"를 강조하며, 플레이어가 상대를 제거하면 그들은 실제로 죽지 않고 파장을 남기고 사라집니다.
이러한 게임이 대한민국 게임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말하자면, 그 영향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경쟁: BGMI와 화평정영이 한국의 게임 시장에 진입하면, 이들은 현지 게임 개발사와 경쟁하게 됩니다. 이는 게임 산업을 더욱 경쟁력 있게 만들어 혁신을 촉진할 수 있지만, 동시에 일부 소규모 개발사에게는 압박을 줄 수 있습니다.
-
국제화 전략: 이러한 게임들은 한국 게임 개발사가 자신들의 제품을 다른 시장에 맞게 수정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이는 한국 게임 개발사가 더 광범위하게 확장하고 다른 문화에 맞춰 자신들의 게임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규제 문제: BGMI와 화평정영은 각각 인도와 중국의 규제에 맞게 수정되었습니다. 이는 규제 환경이 어떻게 게임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한국 게임 개발사는 이를 참고하여 현지 규제에 맞는 게임을 만들거나 현지마켓에 진입할 때 필요한 전략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
기술 및 디자인 트렌드: BGMI와 화평정영 같은 게임들은 글로벌 게임 산업의 현재 트렌드를 보여줍니다. 이는 한국 게임 개발사가 자신들의 제품을 최신 트렌드에 맞게 업데이트하거나 새로운 시장 기회를 발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협업과 파트너십: 이러한 게임들은 또한 다른 국가의 게임 개발사와 협업하거나 파트너십을 맺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게임 개발사에게 중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GMI와 화평정영이 한국의 게임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입니다. 이러한 영향은 경쟁, 혁신, 규제 이슈, 새로운 시장 기회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Tower at Tower Falls, Yellowstone (1872)ㅣ "Thomas Moran"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14~26도로 화창한 날씨예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