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6.02. (금)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올해 비슷할 줄 알았던 엔터 산업과 미디어 산업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엔터/미디어 산업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들어 글로벌 경기에 대한 걱정보다는 주식시장 내 일부 종목이나 테마에 대한 쏠림을 걱정하는 분위기가 더 많은 듯해요. 현재 상황을 함께 살펴볼게요.
🙌 하락장 예고는 No!
주식시장에서 전체 지수가 오르더라도 상승 종목보다 하락 종목 수가 더 많다면, 체감상 하락하는 지수가 나쁘게 느껴지겠죠? 그런데 이렇게 상승 종목 수가 감소한다고, 반드시 하락장을 예고하는 건 아니에요. 지금까지 시장을 돌이켜보면 오히려 상승 국면 중후반부에 들어서서, 소수의 주도주나 테마가 상승을 끌고 가는 경우가 더 많았어요. 즉, 쏠림 현상이 영원히 이어질 수도 없고, 하락 국면의 전조로 볼 필요도 없어요.
☝️ 중요한 건 Valuation
쏠림보다 경계해야 할 것은 바로 Valuation이에요. 닷컴버블이 일어났던 2000년 3월을 살펴보면, 인터넷 장비업체 시스코와 오라클의 PER이 각각 200배, 150배에 도달한 후 급락했었어요. 그런데 최근 고공행진 중인 엔비디아의 PER(Trailing 기준)이 약 200배가 넘는 수준이에요. 단순히 과거와 비교해서 PER이 200배가 넘었으니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PER 상승이 이익을 선반영하는 데는 결국 한계가 있다는 점은 기억해야 할 것 같아요.
*Valuation: 금융에서 투자, 자산의 가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스. 즉, 자산에 대한 평가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로, 현재 주가 대비 한 주당 순이익 비율을 의미
쏠림이 무조건 악재는 아니니 막연한 걱정은 하지 않아도 돼요. 오히려 기업이 가지는 가치에 주목해 보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기대와 희망이 현실이 될 수 있겠네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69.17pt ▼7.95
KOSDAQ 863.78pt ▲6.84 |
|
|
KOSPI는 기관과 외국인의 매도세에 하락했는데요. 지난달 국내 수출지표 부진과 간밤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한 점이 지수에 부담으로 작용했어요. 업종별로는 의료정밀(+4.53%), 전기가스(+1.60%), 의약품(+1.28%) 등이 올랐고, 통신업(-1.69%), 증권(-1.14%), 운수창고(-0.97%) 등은 하락했어요. 한편 KOSDAQ은 KOSPI와 같은 양상을 보이다가 외국인 매수세가 확대되면서 상승 마감했어요. |
|
|
From Yesterday: 미용기기(+3.92%) / 키오스크(+2.94%) / 면역항암제(+2.61%) / 치아치료(+2.34%)
From 5 days ago: 반도체대표주(생산)(+6.08%) / 시스템반도체(+5.37%) / 마이크로LED(+5.27%)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이 하원을 통과한 것에 힘입어 증시가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회복했어요. 아직 상원 문턱이 남아있지만, 사상 초유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사태를 피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안도한 것으로 보여요.
😐 이날 발표된 5월 민간 고용이 전월보다 27.8만개 증가하면서 시장 전망치를 대폭 웃돌았어요. 이에 따라 향후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한 상황이에요. 다만 실업은 점차 증가 추세 보이면서,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3.2만 건으로 3주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BWET(+6.9%), URA(+6.1%), SGDJ(+5.5%)
- Losers: VXX(-5.7%), VIXY(-5.5%), GAZ(-4.4%)
🌕 최근 5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TSLY(+8.6%), SKYY(+7.8%), IDAT(+7.8%)
- Losers: UNG(-15.9%), GAZ(-15.7%), VIXY(-14.6%)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METAL, UTILITY, HEALTH, REAL ESTATE
- 하락 ETF 키워드: NATURAL RESOURCES, FINANCIAL, INDUSTRIAL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엔터/미디어, 소설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
|
|
올해 비슷할 것 같던 엔터 산업과 미디어 산업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는데요.
엔터 산업과 미디어 산업의 상반기 리뷰와 함께 하반기 전망 간략히 짚어볼게요.
🎶 엔터, 축복이 끝이 없네
일단, 올해 엔터 산업은 끝이 없는 모멘텀의 축복 속에 초호황기를 맞고 있어요.
상반기 엔터주를 견인했던 주요 모멘텀을 살펴보면:
1) 미국 현지화 프로젝트 기대감 l 2) 플랫폼 수익화 시작 및 MD 매출 성장 l 3) 어닝 서프라이즈
하반기에는 미국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현실화되고, 플랫폼의 수익화가 시작됨과 동시에 수익성 높은 MD 매출이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돼요. 이는 산업 전체의 성장과 함께 높은 이익 체력을 증명할 것으로 보여요.
🎬 미디어, 인고의 시간 반면 미디어 산업은 부진한 업황 속에 뼈를 깎는 고통의 시간을 보냈어요.
상반기에 미디어주가 부진했던 이유를 살펴보면:
1) TV 광고시장 역성장 l 2) 지속되는 미국 자회사 영업손실 l 3) 글로벌 OTT의 제한적인 콘텐츠 투자비 증액
그래도 하반기에는 경쟁력 있는 콘텐츠 다수 공개될 예정인데요. 이에 따라 TV 광고 시장의 회복도 전망되고 있고, 본격적으로 작품 딜리버리 늘어나면서 미국 자회사들의 손실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돼요. 즉, 엔터주와 속도는 다르지만, 방향성은 동일해요.
하반기에 엔터 산업이 상반기만큼의 상승이 있을지, 미디어 산업은 상반기 하락분 이상의 회복이 가능할지에 대한 고민이 생길 수밖에 없죠. 하지만 아직 이 산업들의 책을 덮기에는 너무 일러요. 하반기는 해피엔딩이길 기대해 봐야겠어요. |
|
|
by Lee HyunJi
E-mail: hjlee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美 5월 고용동향보고서 공개가 예정되어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챗GPT / 데일리아트 |
|
|
💰 가상자산Top30 / 한국가상자산 / NFT / DeFi 중 랜덤으로 최근 일주일 간의 인덱스를 보여드려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투자를 할 때 Valuation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어떤 것들이 있을까? |
|
|
" 투자에서 회사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다음은 그 중 일부입니다:
-
시가총액 (Market Capitalization): 이는 가장 간단한 가치 평가 방법으로, 회사의 주식 가격을 발행 주식 수로 곱하여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회사의 현재 시장 가치를 반영하지만, 회사의 재무 상태나 미래 성장 전망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
가치투자 (Value Investing): 이 방법은 회사의 기본적인 가치를 평가하려고 합니다. 가치 투자자들은 주로 P/E 비율, P/B 비율, 배당 수익률 등의 지표를 사용하여 회사의 가치를 평가합니다.
-
DCF (Discounted Cash Flow) 방법: 이 방법은 회사의 미래 현금 흐름을 예측하고, 그 값을 현재 가치로 할인하여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회사의 미래 성장 전망을 가장 잘 반영하지만, 미래 현금 흐름을 예측하는 것이 어렵고 주관적일 수 있습니다.
-
EVA (Economic Value Added) 방법: 이 방법은 회사가 투자자에게 얼마나 많은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는지를 측정합니다. EVA는 투자된 자본에 대한 순운영이익을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
EV/EBITDA 비율: 이 방법은 회사의 엔터프라이즈 가치 (회사의 시가총액과 부채의 합)를 EBITDA (이자, 세금, 감가상각 전 이익)로 나눈 값입니다. 이 비율은 회사의 영업 이익력과 가치를 비교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 방법은 그 자체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투자 결정을 내릴 때는 여러 가지 방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Brazier With Artichoke, Woodpeckers And Watertub With Carpㅣ "Sebastian Stoskopff"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흐리고 곳곳 소나기가 내려요.
우리 다음주에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