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6.12. (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오늘은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이슈 다뤄볼게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RNA 치료제 시장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요즘 주식 시장에서 화두 'AI'. 하지만 AI의 열풍이 영원히 이어질 수는 없는 법! 우리는 다른 산업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어요.
💬 2023 증시와 AI
올해 글로벌 주식시장은 작년과는 환경이 약간 다르죠. 중국의 Reopening, 유럽 에너지 위기 완화, 긴축 속도 조절, 그리고 AI 열풍까지 겹쳤어요. 현재 중국 Reopening과 유럽 에너지 위기 완화가 시장에 주는 영향은 거의 소진되었고, 긴축의 중단과 AI라는 호재가 주목할 만한데, 최근에는 AI 열풍에 대한 피로도 또한 제법 쌓였어요. 그렇다 보니 언제까지 시장에서 AI나 반도체가 활약할지는 알 수 없어요.
🌟 유망 산업 후보는?
그렇다면 AI나 반도체가 지쳤을 때 이를 대체할 만한 산업으로는 어떤 게 있을까요. 우선 클라우드나 빅데이터를 다루는 소프트웨어 산업일 것 같아요. 이들은 AI가 주목받을수록 함께 요구되는 산업들로, AI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주가는 덜 올랐어요.
그리고 기계/로봇 산업도 주목할 만해요. AI가 인지 능력을 요구하는 일을 대체하면, 기계/로봇은 몸으로 하는 일을 대체해 줘요. 아직 미래의 일이지만 AI와 기계가 결합하는 경우가 더욱 많아질 것 같아요.
또한 IRA를 비롯한 각종 제조업 정책 덕분에 현재 미국 건설투자 규모(단독 주택 제외)는 사상 최고치인 점을 고려한다면 이쪽에서도 기회를 찾아볼 수 있겠어요.
AI 덕분에 새로운 기회를 맞이한 산업들도 나타나고 있어요. 또한 AI 외에도 다양한 변화가 있으니, 시야를 넓혀 기회를 찾아보면 좋을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641.16pt ▲30.31
KOSDAQ 883.71pt ▲7.58 |
|
|
전날 발표된 미국 고용지표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자,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확대되었고, 이는 증시를 끌어올렸어요. 미국 증시에서 테슬라 등 빅테크들의 주가가 크게 오른 점은 KOSPI 상승에 영향을 줬어요. 업종별로는 종이·목재(+3.75%), 기계(+2.25%), 제조업(+1.55%) 등이 올랐고, 보험(-1.33%), 전기가스업(-0.92%), 통신업(-0.65%) 등은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미용기기(+4.62%) / 조림산업(+3.84%) / MLCC(+3.38%) / 반도체대표주(+3.11%)
From 5 days ago: 2차전지(전고체)(+9.72%) / 리튬(+8.58%) / 미용기기(+7.93%)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다음 주 CPI 발표와 금리 결정을 앞두고 상승 마감했어요. 주목할 점은 나스닥이 주간 기준 +0.14% 상승하면서 7주 연속 상승했다는 점인데요. S&P500은 작년 10월 12일 저점 대비 지금까지 +20% 넘게 오르며 새로운 강세장 시장 진입을 알렸어요.
😶 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멈출 것이라는 방향으로 치우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빅테크뿐만 아니라 소형주와 순환주가 상승할 기회가 올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어요. 확실히 미국 투자자들이 자신감을 회복하는 분위기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겠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KRBN(+1.9%), EWZ(+1.8%), DXJ(+1.6%)
- Losers: UNG(-5.0%), PALL(-2.5%), XRT(-1.7%)
🌕 최근 5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KRBN(+6.4%), EZA(+6.3%), EWZ(+5.8%)
- Losers: PALL(-6.5%), BLOK(-3.2%), TAN(-2.4%)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KOREA, JAPAN, BRAZIL, MEXICO, SOUTH AFRICA
- 하락 ETF 키워드: PALLADIUM, GOLD, REAL ESTATE, ENERGY, CHINA
-
"AI는 소수의 승자와 더 많은 패자(Losers)를 만들 것" GQG Partners 설립자 Rajiv Jain
-
GQG Partners는 1분기에 $23억 엔비디아 주식 매입 후 포지션 확대. 이로 인해 다수 반도체 회사들이 수혜를 볼 수 있지만, 몇몇 소프트웨어, IT서비스 회사들은 AI 확대로 설 자리를 잃게 될 것
-
2000년 닷컴 버블 때처럼, 누가 AI 시대에 '소수의 승자'가 될지 예측하기는 어려움
-
엔비디아 주식 (재)매수는 챗GPT 등장으로 엔비디아 이익이 계단식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며, GQG는 2017년 처음 엔비디아를 샀지만, 2021년말 밸류에이션이 너무 높다고 생각해 주식 매도함
- "2021년엔 몽상가(Delusional thinking)들이 많았지만, 지금은 거의 사라짐" 테크 섹터 내에서 '퀄리티 Growth'가 다시 강조되고 있음
-
엔비디아의 경우 직면한 큰 어려움 중 하나는 급증한 수요에 잘 대응할 수 있을지일 것
|
|
|
by Kang SongCheo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이슈 다뤄볼게요.
💉 기대되는 신약 '이메텔스타트'
올해 1월, 제론(Geron Corporation)이 "MDS(골수이상형성증후군) 치료제로 개발 중인 이메텔스타트에 대해 7년간 진행했던 임상 3상에서 긍정적 탑라인 결과를 확보했다"라고 발표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었는데요. 이메텔스타트는 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키는 텔로머라제 저해제로서 First-in-class 치료제라는 점과 RNA 치료제로는 처음으로 항암제로의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어요. 또한 경쟁약보다 치료 대상 환자 범위가 넓다는 점도 경쟁력이 높아요. 제론사는 이메텔스타트의 임상 3상 결과를 토대로 6월에 FDA 신약 승인 신청을 할 예정이에요.
🙌 RNA 치료제 시장 확대
주목할 점은 RNA 치료제들이 희귀질환에서 만성질환, 그리고 항암제로 영역을 확대 중이라는 점이에요. RNA 치료제들의 임상 파이프라인들은 만성질환 분야, 감염분야 등에서 2023~2026년까지 중요한 임상들이 진행된 뒤 그 결과들이 발표될 예정이에요. 임상 일정을 감안했을 때 2026년 전후로 RNA 치료제 시장의 확대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돼요.
RNA 치료제들의 영역 확장으로 시장의 확대가 기대돼요. 생소할 수 있지만, RNA 치료제 시장에 관심 가져봐도 좋을 것 같아요. |
|
|
※ Geron Corporation은 미국의 생명공학 회사로 캘리포니아 포스터 시티에 있습니다. 1990년 마이클 D. 웨스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텔로머라제를 억제하는 암 치료제 개발 및 상용화를 전문으로 합니다. 텔로머라제는 염색체의 끝에 있는 구조인 텔로미어를 보호하는 효소입니다. 텔로미어는 세포 분열할 때마다 짧아지며, 텔로미어가 너무 짧아지면 세포는 죽습니다. Geron은 텔로머라제를 억제하는 약물로 텔로미어의 길이를 늘리고 세포의 죽음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암 치료제 개발에 있어 선두적인 회사 중 하나로, 암 치료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Google Bard] |
|
|
by Kwon HaeSoon
E-mail: hskwon@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美 5 월 소비자 인플레이션 기대치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챗GPT / 데일리아트 |
|
|
💰 가상자산Top30 / 한국가상자산 / NFT / DeFi 중 랜덤으로 최근 일주일 간의 인덱스를 보여드려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의 투자Story에서 나온 RNA 시장과 전망에 대해서 알려줘! |
|
|
" RNA 치료제 시장에 대한 최근 정보를 찾아보았습니다:
-
Nature에서는 RNA 기반 치료제에 대한 개요와 전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합성 RNAi 기반 약물 10개가 제약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쟁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
Nature의 다른 기사에서는 2020년 6월, 세포, 유전자 및 핵산 치료제 시장의 4년 전망이 380억 달러였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
GlobeNewswire에 따르면, 글로벌 RNA 기반 치료제 시장은 2021년부터 2027년까지의 전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mRNA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1년에 399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이 1.7%로 예상됩니다. RNA 기반 치료제는 최근 몇 년 동안 만성 질환 치료에 높은 잠재력을 보여주며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
GlobeNewswire의 또 다른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RNA 기반 치료제 시장은 2021년에 약 49억 달러를 생성하였고, 2030년까지 약 25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17.6%의 성장을 의미합니다.
이 정보들은 RNA 치료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만성 질환 치료에 있어서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망은 연구 및 개발, 규제 승인, 시장 수용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Hermann Seegerㅣ "In the dunes on the Baltic Sea shore"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힘든 월요일이지만 19~27도에 맑은 날씨가 도와주네요 :-)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