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8.30. (수)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하반기 IPO 대어 중 하나로 꼽히는 두산로보틱스가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며 코스피 상장 절차를 본격화하고 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두산로보틱스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중국 정부가 경제 둔화 속에서 주식시장을 되살리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어요.
✨ 중국의 증시 살리기
주말 동안 중국 정부는 주식거래 인지세를 15년 만에 절반으로 내렸고, 신용거래 조건도 완화했으며, "기업들의 신규 상장 속도도 늦추겠다"라고 밝혔어요. 이에 따라 중국 증시도 모처럼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하지만, 경험적으로 그동안 거래 요건을 완화하는 정책들의 효과는 길게 가지 못했어요. 거래가 원활해졌다는 점이 주식을 살 이유까지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죠. 이는 중국이 여전히 시장 친화적인 개혁보다는, 규제를 풀었다 조였다 하는 통제 방식을 선호한다는 방증이기도 해요.
***주식거래 인지세: 주식을 거래할 때 부과하는 일종의 유통세
🙌 아직은 괜찮아
그렇다고 중국을 둘러싼 우려가 당장 현실화하지는 않을 것 같아요. 특히 중국 부동산에 대한 걱정의 목소리가 높지만, 중국의 은행 주가는 올해(+)를 기록하고 있어요. 과거 리먼 파산과 유로존 재정위기 전 금융주가 30~50% 이상 하락했었던 것과는 다르죠. 그리고 주목할 점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미국의 국채 가격보다 중국 국채 가격이 더욱 견고하고, 중국 수요에 가장 민감한 철광석 가격이 2022년 10월 이후 50%가량 올랐어요. 또한, 중국인들의 마카오 관광객 수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되고 있죠.
중국이 고령화와 인구 감소, 부동산 개발업체들과 지방정부의 부채, 지정학적 문제 등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지만 우려에 비해 중국 금융시장 가격은 양호해요. 다가오는 4분기 중국은 지금보다 더 나빠지지는 않을 듯하니, 중국 소비의 상황에 관심 가져봐도 좋을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52.16pt ▲8.75
KOSDAQ 916.24pt ▲6.86 |
|
|
KOSPI와 KOSDAQ이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어요. 간밤 미국 증시가 시장의 큰 이벤트였던 잭슨홀 결과를 소화하며 오름세를 이어간 영향으로 보여요. 다만,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앞두고 관망심리가 유입되었는데요. 특히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가 여전히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며 국내 증시 상단을 제한하는 모습을 보였어요. 업종별로는 의료정밀(+3.26%), 운수장비(+1.83%), 종이·목재(+1.05%), 서비스업(+1.04%), 의약품(+0.96%) 등은 올랐고, 반면 음식료품(-1.14%), 철강 및 금속(-1.06%), 유통업(-0.77%) 등은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보안주(정보)(+4.61%) / AI챗봇(+4.45%) / 교육·온라인교육(+4.19%)
From 5 days ago: 양자암호(+20.75%) / 보안주(정보)(+9.88%) / 항공기부품(+9.50%)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고용 지표 부진에 국채금리가 급락하며 증시가 상승 마감했어요. 이날 발표된 7월 채용공고는 882.7만 건으로 전달의 920만 건에서 크게 줄어들었을 뿐 아니라 28개월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는데요. 이처럼 노동시장이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연준의 금리인상 중단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요.
😁 이날 미국 법원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 신탁을 ETF로 전환하려는 신청을 거부한 결정을 뒤집는 판결을 내놓으면서 비트코인 ETF가 승인될 길이 열렸어요. 이같은 소식에 이날 비트코인이 +7% 이상, 이더리움이 +5% 이상 올랐고,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주가도 +15%가량 상승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BKCH(+15.6%), DAPP(+13.9%), MLPO(+10.7%)
- Losers: CYA(-7.4%), KLIP(-3.0%), BWET(-2.7%)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PPLT(+6.3%), KURE(+5.1%), HEWU(+2.9%)
- Losers: PFIX(-9.5%), RINF(-1.4%)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Bitcoin, Blockchain, Digital Transformation, Crypto, Fintech
- 하락 ETF 키워드: China, Shipping, Interest Rate, Gas, Uranium, Soybean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하반기 IPO 대어 중 하나로 꼽히는 두산로보틱스가 증권 신고서를 제출하며 코스피 상장 절차를 본격화하고 있어요.
👊 본격 공모 절차 돌입
국내 협동로봇 시장점유율 1위 두산로보틱스가 지난 23일 금융위원회에 증권 신고서를 제출했어요. 앞으로의 일정을 살펴보면, 오는 9월 수요예측 및 일반청약을 진행할 예정이고, 예상 공모가액은 21,000원~26,000원으로 시가총액 1.3~1.7조 원 수준이에요. 공모가액은 2026년 당기순이익 추정치(현가할인)에 국내외 Peer 기업 PER 평균 38배를 적용하여 산출했어요.
***현가할인: 미래의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투자의 가치를 평가하거나 기업 가치를 산정할 때 널리 사용
💁 상장 후 계획
두산로보틱스의 상장 후 성장 계획으로는 ① 판매채널 확대(22년 89개 →27년 273개), ② 라인업 확대(22년 13개 →26년17개), ③ 솔루션 확대(F&B 및 물류 솔루션), ④ SW 판매 및 생태계 확보(Dart Suite 사업), ⑤ M&A(AMR 기업 등 2,250억 원 규모 투자), ⑥ CAPA 증설(23년 연간 3,200대 →26년 연간 11,000대) 등이 있어요. 2027년 추정 실적은 매출액 7,663억 원, 영업이익 2,133억 원으로, 올해 실적 추정치인 매출액 670억 원, 영업손실 79억 원에서 크게 성장할 전망이에요.
***Dart Suite 사업: 협동로봇을 운용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로봇을 쉽게 조작하고 기능을 공유 가능
두산로보틱스는 공모자금을 활용하여 M&A 등 적극적인 사업 확대를 꾀할 전망이에요. 국내 최대 협동 로봇 기업의 상장이 본격화됨에 따라 국내 로봇 관련 종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지 않을까 싶어요! |
|
|
by Yang SeungYoon
E-mail: syyang090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2분기 GDP 수정치 / 美 8월 ADP 취업자 변동 / 美 7월 잠정주택판매지수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투자Story에서 나온 협동로봇 시장의 전망과 주목할 글로벌 기업에 대해 물어봤어요! |
|
|
향후 협동로봇 시장 전망
- 빠른 성장률: 협동로봇 시장은 2023년에는 약 9억 5천만 달러로 추정되며, 2028년까지 24억 1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20.5%입니다.
- 기술 혁신: 인공지능, 머신 러닝, 센서 기술 등이 협동로봇에 접목되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있습니다.
- 규제 및 표준화: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제와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주목할 기업들
-
Universal Robots AS
- 시장 역할: Universal Robots는 협동로봇 시장의 선구자로, 50,000대 이상의 UR 협동로봇을 판매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 특징: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30.37%입니다.
-
Fanuc Corp.
- 시장 역할: Fanuc은 주로 산업용 로봇을 생산하며, 포장과 팔레트화 라인에서 협동로봇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 특징: 지루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며, 인간이 수행해야 할 복잡하고 다양한 작업을 위해 직원을 자유롭게 해줍니다.
-
TechMan Robot Inc.
- 시장 역할: TechMan Robot Inc.는 협동로봇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특징: 시장 규모가 2023년에는 약 12억 3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32.0%입니다.
-
Rethink Robotics GmbH
- 시장 역할: 협동로봇 솔루션 분야의 선구자로, 다양한 산업에서 가치 사슬을 자동화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 특징: 혁신적이고 고급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제공합니다.
-
AUBO Robotics USA
- 시장 역할: AUBO Robotics는 APAC 지역의 주요 협동로봇 제조사로, 미국 본사를 설립하였습니다.
- 특징: 3-20kg의 다양한 페이로드 용량을 가진 i-Series 협동로봇을 제공하며, 완전히 오픈 소스 코드와 간단한 시각적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업을 단순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Hand Sewing Machine (1927) l Arthur Dove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22~26도로 흐린 날씨예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