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9.07. (목)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최근 철강 원자재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철강 산업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지난 5일, 주요 산유국이 감산 연장을 선언하면서 국제유가가 일제히 상승했어요.
📈 국제유가 급등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는 하루 10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을 연말까지 연장할 것이라고 발표했어요. 기존에 사우디가 10월까지 감산을 연장할 것으로 전망됐으나, 전망치보다 감산 기간을 더 연장했어요. 세계 두 번째 석유 수출국인 러시아도 연말까지 하루 30만 배럴 수출 감소 계획을 연장하기로 했어요. 이 같은 소식에 국제유가가 배럴당 90달러를 돌파하는 등 최근 10개월 이내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이렇듯 사우디와 러시아가 손잡고 함께 감산을 연장하는 표면적인 이유는 바로 잉여 재고 때문인데요. 시중에 남아 있는 미국 전략비축유와 이란의 과잉 생산 우려를 상쇄하기 위해서죠.
⚡ 감산 연장 '쇼크'
감산에 의한 유가 상승은 글로벌 경제와 주식시장에는 좋은 소식은 아니에요. 감산 소식 이후, 미국 증시에서 미국 에너지와 빅테크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버텼지만, 리스크에 취약한 중소형주 중심의 Russell2000 지수는 -2% 넘게 하락했어요. 또한, 원유를 수입하는 아시아 국가들의 무역수지와 물가에도 부담이 되는데요. 특히, 최근 중국처럼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나라일수록 가능성은 더욱 높죠. 한편, 한국의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전년 대비 3.4%를 기록하면서 7월에 기록한 전월 대비 2.3% 상승률보다 크게 높아졌는데요. 이는 에너지와 날씨에 따른 농산품 가격 상승 영향이 컸어요.
미국과 중국의 서비스 PMI(구매관리자지수)가 둔화하는 등, 서비스 수요가 감소하고 있어 유가가 더 급등할 것 같지는 않아요. 그에 반해 지난 10여 간 수치와 비교했을 때 원자재 가격은 다른 자산들에 비해 저평가된 것으로 보여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63.34pt ▼18.84
KOSDAQ 917.95pt ▼3.53 |
|
|
KOSPI, KOSDAQ 모두 하락했어요.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부각 되었고, 미국 국채금리 상승, 달러 강세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확대한 영향을 받은 영향으로 볼 수 있어요. 그래도 지수 하방은 어느 정도 제한된 상태로 박스권 장세가 이어졌어요. 업종별로는 운수·창고(-1.33%)가 유가 상승 영향으로 하락했고, 철강 및 금속(-2.05%), 기계(-1.53%), 전기·전자(-1.32%) 등도 약세를 보였어요. 반면 섬유·의복(+2.27%)은 상승했어요. |
|
|
From Yesterday: mRNA(+5.15%) / 유전자치료·분석(+4.32%) / 원격진료(+4.15%)
From 5 days ago: 로봇(+13.35%) / 3D프린터(+8.58%) / 하반기상장(+6.81%) / 스마트팩토리(+6.50%)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미국의 금리 인상 우려로 이틀째 하락 마감했어요. 유가가 계속 오름세를 보이는 데다 미국 서비스 업황이 여전히 확장세를 보이자 금리 인상 우려가 재고조됐어요. 이에 따라 미국 국채 수익률도 오름세를 보이면서 위험자산 투자 심리가 위축됐고, 특히 나스닥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하며 전체 증시의 하락을 주도했어요.
😣 애플은 그동안 아이폰15 기대감에 따른 상승세로 피로도가 쌓여 있었는데, 중국이 공무원들의 아이폰 사용을 금지했다는 악재가 터지면서 -3.58% 크게 하락했어요. 한편, AMC엔터테인먼트는 보통주 최대 4천만 주를 매각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며 -36% 이상 폭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WEAT(+1.8%), VNM(+1.6%), ITB(+1.0%)
- Losers: UNG(-2.4%), AMLP(-2.2%), TAN(-2.1%)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USO(+6.6%), DXJ(+3.8%), OIH(+3.5%)
- Losers: UNG(-9.1%), EWW(-7.1%), PPLT(-6.5%)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JAPAN, OIL, VIETNAM, CLOUD, MEDICAL DEVICES
- 하락 ETF 키워드: CLEAN ENERGY, SILVER, PLATINUM, NATURAL GAS
-
제이미 다이몬, J.P. Morgan의 CEO가 올해 여름에 신용카드 부문에 대한 주의를 이례적으로 당부했어요. 그는 이 부문에서 "상당한 시간 동안 과도한 수익을 창출했다(over-earning)"고 지적했죠.
-
팬데믹 지원금의 영향으로 미국 소비자들은 최근 몇 년 동안 부채 상환에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으며, 올해 2분기의 신용카드 연체와 청산율도 비정상적으로 낮았어요.
-
8월에 발표된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신용카드 잔액은 올해 2분기에 처음으로 1조 달러를 넘어섰는데요. 이는 지난해 대비 16% 증가한 수치로, 자동차 대출, 학자금 대출, 주택담보대출의 증가를 능가했어요.
-
특히 신용 점수가 가장 낮은 그룹에서는 연체율이 2021년 최저점 이후 두 배로 증가했어요. 이에 따라 30일 이상 연체된 잔액은 2019년 수준으로 회복되었어요.
-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신용카드 연체율은 2.6%로, 2019년 수준에서 약 40bp만 낮았어요.
-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미국 가구의 "초과 저축"은 2021년 중반에 2.1조 달러에 달했지만, 2023년 3월에는 대부분 소진되어 5,000억 달러만 남을 것으로 예상돼요.
-
물가 상승과 높아진 부채 상환 비용, 그리고 학자금 대출에 대한 유예 정책의 종료 등으로 인해 미국 소비자들은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어요.
-
신용카드 잔액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이자율이 팬데믹 이전의 10% 중반에서 현재는 20%를 초과하고 있어, 높아진 이자 비용으로 저축을 줄일 것으로 예상돼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철강 원자재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어요. 자세한 내용 살펴볼게요.
😮 철강 원자재 가격의 강세
중국 철강 수요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부동산의 부진이 지속되고 있지만, 철광석과 원료탄 가격은 5월 말을 저점으로 우상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요. 이유는 다음과 같이 볼 수 있어요.
①중국 조강 생산량의 증가: 올해 1~7월 누적 중국 조강 생산량은 6억 2,651만 톤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고, 7월에도 9,080만 톤을 생산하며 전년 대비 +11.5% 증가했어요. 조강 생산량이 증가하면 철강 원자재인 철광석과 원료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수밖에 없겠죠.
②철광석 및 원료탄의 재고 수준이 낮은 점: 지난 2월 이후 철광석과 원료탄 가격으로 인해 중국 철강업체들은 원자재 비축 수요를 줄였고, 이에 따라 재고 수준이 10일 이내로 유지되었어요. 그러나 조강 생산량 증가로 보충 수요가 발생하면서, 중국 철광석 수입량이 올해 1~7월 누적 6.7억 톤으로 전년 대비 +6.9% 증가했고, 이에 따라 2년 연속 감소세를 뒤집었어요.
③위안화 환율의 약세인 점: 미국과 중국의 통화정책 차이로 연초 달러화 대비 위안화 가치가 5.2% 하락했고, 이에 따라 철광석 수입 비용도 상대적으로 증가했어요.
🙌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유지 전망 지난 5월 말 대비 높아진 원자재 가격은 하반기에도 계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돼요. 미국이 금리 인상을 중단한다고 하더라도, 중국 경기의 부진으로 위안화의 절상은 쉬워 보이지 않기 때문인데요. 또한, 조강 생산량의 규제가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다는 이슈가 있지만, 낮은 원재료 재고량으로 인해 높아진 원재료 가격 수준은 지속될 전망이에요.
중국의 조강 생산량 증가 등으로 높아진 철강 원자재 가격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돼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
|
|
by Lee YuJin
E-mail: eugenelee@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2분기 비농업부문 노동생산성 확정치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원자재 가격의 저평가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ChatGPT에 이런 경우 어떤 투자를 추천하는지 물어봤어요! |
|
|
원자재 가격이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 각 섹터별로 추천할 수 있는 투자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광산 회사 주식
- 금: Barrick Gold, Newmont Mining
- 은: Pan American Silver, Hecla Mining
- 구리: Freeport-McMoRan, Southern Copper Corporation
2. 에너지 회사 주식
- 원유: ExxonMobil, Chevron
- 천연가스: ConocoPhillips, EOG Resources
3. 원자재 ETFs
- 다양한 원자재: Invesco DB Commodity Index Tracking Fund (DBC)
- 금: SPDR Gold Trust (GLD)
- 에너지: Energy Select Sector SPDR Fund (XLE)
4. 선물 계약
- WTI 원유 선물: NYMEX에서 거래
- 금 선물: COMEX에서 거래
5. 원자재 관련 채권
- BHP Billiton: 글로벌 광산 회사
- Royal Dutch Shell: 에너지 섹터의 대표적인 회사
6. 해외 투자
- 호주: 자원이 풍부한 국가로, ASX 상장 광산 회사 주식
- 캐나다: TSX 상장 에너지 회사 주식
7. 다자산 포트폴리오
- 주식: S&P 500 지수 추종 ETF
- 채권: 미국 장기 국채 ETF
- 부동산: 부동산 투자 신탁 (REIT) ETF
주의사항: 위의 추천은 일반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하며, 개인의 투자 목표나 리스크 수준에 따라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투자 전에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The Witch’s Daughter (1881) l Frederick Stuart Church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22~31도로 낮에는 아직 더워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