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9.19. (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최근 메모리 시장의 현물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반도체 산업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우라늄 가격의 상승세가 예사롭지 않아요. 어떤 상황인지 살펴볼게요.
🔥 에너지 안보와 우라늄 가격
지난주 우라늄 가격이 파운드당 65.5 달러를 넘었어요.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전 우라늄 가격은 73달러 정도였는데, 그 후 1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상황이에요. 안전 문제와 장기간의 건설 기간 등 원자력 발전에 대한 부담이 적지 않지만, 그럼에도 러-우 전쟁 이후 에너지 안보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진 여파로 볼 수 있어요.
🕸️ 충분하지 않은 공급
그런데 현재 우라늄의 공급은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에요. 전 세계 우라늄 공급의 58%는 카자흐스탄과 캐나다가 담당하는데, 러시아와 동맹인 카자흐스탄이 우라늄 공급을 더 이상 늘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죠. 또한 캐나다 우라늄 광산회사 카메코(Cameco)는 1년 계약을 기본으로 우라늄을 판매하는 등 접근성이 낮아 공급이 늘어나기 어려워요. 이런 상황에서 니제르 쿠데타 이후 우라늄 가격 상승 압력이 높아졌는데, 니제르 우라늄 광산이 전 세계 공급의 4% 수준밖에 되지 않음에도 이러한 영향을 보이는 것은 우라늄 공급이 충분하지 않다는 방증이에요.
💸 우라늄 가격과 광산 업체
2030년까지 중국은 32개의 새로운 원전을 구축할 예정인데, 원전당 각각 100톤의 우라늄이 필요하다고 해요. 즉, 2025년부터 우라늄 수요가 공급을 구조적으로 상회하게 되면, 우라늄 가격은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할지도 몰라요. 이에 따라 우라늄 광산 업체들의 투자와 생산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고요.
탈세계화라는 측면에서 군사(방위)와 기술(AI 등), 공급망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죠. 이제 원유/가스와 함께 에너지 수급과 안보 역시 장기적 테마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니, 관심 가져봐야겠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74.72pt ▼26.56
KOSDAQ 891.29pt ▼7.74 |
|
|
KOSPI, KOSDAQ 모두 하락했어요. 이번주 예정된 9월 FOMC를 앞두고 경계심리가 유입된 가운데, 미국에 이어 반도체 중심으로 기술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악화해 하방 압력이 높아졌어요. 특히 TSMC가 수요 우려를 이유로 주요 공급자들에게 반도체 제조 장비 납품 지연을 요청하면서 반도체주의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했어요. 업종별로는 전기전자가 2% 넘게 내렸고 서비스업(-1.38%), 보험(-1.28%), 제조업(-1.09%), 운수장비(-0.88%), 운수창고(-0.88%) 등이 부진했어요. 반면 철강및금속(+1.64%), 비금속광물(+1.01%), 섬유의복(+0.79%) 등은 상승했어요. |
|
|
From Yesterday: 비료(+1.62%) / 카지노(+1.52%) / 초전도체(+1.39%) / 건설중소형(+1.39%)
From 5 days ago: 손해보험(+7.24%) / 생명보험(+6.40%) / 철강(+5.11%) / 통신장비(+4.98%)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9월 FOMC 회의를 앞두고 거의 변동 없이 마감했어요.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장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어 연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지 여부를 주시하고 있어요. 또한, 이날 유가가 또다시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강세를 보여, 인플레이션 우려는 당분간 증시를 압박할 것으로 예상돼요.
😣 한편 지난 15일 파업 돌입을 선언한 전미자동차노조(UAW)와 기업들과의 협상에 거의 진전이 없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관련주에 부담으로 작용했어요. 포드는 -2% 이상 하락했고, GM 주가도 -1.8% 이상 떨어졌어요. 스텔란티스의 주가는 -1.6%가량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NG(+2.4%), SLV(+0.9%), XLE(+0.8%)
- Losers: TUR(-3.5%), TAN(-3.0%), PBW(-2.7%)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URA(+7.5%), UNG(+4.9%), USO(+4.0%)
- Losers: TUR(-5.8%), ARKK(-5.8%), SKYY(-4.4%)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GOLD, OIL, METALS, PLATINUM, NATURAL GAS
- 하락 ETF 키워드: CLEAN ENERGY, BIOTECH, JETS, TURKEY, SOYBEAN
🌐 [SA] Gold edges higher to best level since September 1 as dollar eases
-
최근 달러의 약세 때문에 금 값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요. 특히, 지난 9월 1일 이후 금 가격이 최고 수준에 도달했어요.
-
이번 주에는 FOMC 회의가 예정되어 있는데, 예상은 금리 인상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것이라는 것이죠. 이에 따라 달러 가치가 소폭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요.
-
영국의 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은 이번 주 목요일에 금리를 0.25% 올려, 예상 금리는 5.5%에요.
-
일본 중앙은행인 BOJ의 회의도 이번 주에 예정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시장의 의견은 분분해요.
-
9월에는 Comex 금 가격이 0.4% 상승하여 온스당 1,931달러에 거래되었어요.
-
인도의 대형 은행인 ICICI은행은 금 가격에 대한 예측을 발표했는데, 실질 금리의 상승으로 인해 9월 중 금 가격은 약간 하락했지만, 2023년 전체로 볼 때 금 가격은 약 6%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어요.
-
그러나 2023년에는 미국 경제가 '연착륙'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금 가격이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고, 2024년 2분기부터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 예상하며, 이로 인해 금 가격이 다시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메모리 시장의 현물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지난주 반도체 시장의 상황과 최근 반도체 업황을 살펴볼게요.
💁 지난주 반도체 시장
IT 수요의 둔화 우려에도 감산 효과 누적으로 지난주 DRAM 현물가격은 DDR4를 중심으로 대부분 상승세로 전환했어요. 또한, NAND도 보합세를 보인 가운데 일부 제품의 가격은 상승했고, DXI 지수는 한 주간 3.8% 상승하며 2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어요. 한편, 유가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와 TSMC의 장비 발주 연기 소식으로 지난주 테크 섹터 주가는 하락했어요.
***지난주 주요 지수: 나스닥 -0.4%, SOX -2.5%, 엔비디아 -3.7%, AMD -4.3%, 삼성전자 +2.4%, SK하이닉스 +7.7% 등
***DXI지수: DRAM 가격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
💬 So What
최근 반도체 업계의 최근 동향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어요.
- AI 서버의 수요 증가
- 전통적인 서버, 스마트폰, PC의 수요 예측은 하향 조정
- 하지만, 메모리 가격은 안정화되어 바닥을 찍었다고 볼 수 있는 "메모리 가격 바닥론"
향후 AI 기술에 대한 관심은 계속되겠지만, 이는 이미 주가에 많이 반영되었어요. 이에 따라 최근 주요 AI 기업인 엔비디아와 AMD의 주가가 다소 부진하게 움직였어요. 반면, 인텔이나 삼성전자, 퀄컴 같은 올드보이들의 주가는 상대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어요. AI를 제외한 전통적인 제품의 수요는 줄어들고 있지만 감산 효과로 인해 재고는 줄어들고 있고, 지난 4월 삼성이 생산을 줄이겠다고 발표한 후 8월부터 9월 사이 메모리 가격의 변동이 예상대로 흘러가고 있어요.
물론 수요 강세에 의한 추세전환은 아니라는 점에서 반전의 강도가 강하지 않을 수 있지만, 큰 방향성은 돌아선 셈이니 한국 반도체 대형주들에 대해 지속해서 관심 가져봐야겠어요. |
|
|
by Lee SeungWoo
E-mail: swlee659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유로존 8월 소비자물가지수 및 美 8월 주택착공/건축허가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에너지 수급과 안보의 장기적 테마 가능성을 얘기했는데요. ChatGPT는 이런 상황에서 어떤 기업에 투자할 지 물어봤어요. |
|
|
우라늄 및 에너지 안보와 관련하여 장기적 테마로 투자를 고려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기업 및 분야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우라늄
- Cameco: 캐나다의 주요 우라늄 광산 회사로, 전 세계 우라늄 공급의 주요 플레이어 중 하나입니다.
- Kazatomprom: 카자흐스탄의 국영 우라늄 회사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우라늄 생산 회사 중 하나입니다.
-
원자력 발전
- Exelon Corporation: 미국의 주요 원자력 발전 회사 중 하나입니다.
- EDF (Électricité de France): 프랑스의 국영 전력 회사로, 원자력 발전에 큰 비중을 둡니다.
-
재생 에너지
- NextEra Energy: 세계에서 가장 큰 태양광 및 풍력 발전 회사 중 하나입니다.
- Vestas Wind Systems: 풍력 터빈 제조 분야의 세계적인 리더입니다.
- First Solar: 주요 태양광 패널 제조 회사 중 하나입니다.
-
천연가스 및 LNG
- Cheniere Energy: 미국의 주요 LNG 수출 회사입니다.
- Royal Dutch Shell: 세계적인 에너지 회사로, LNG 사업에 큰 비중을 둡니다.
-
에너지 저장 및 배터리 기술
- Tesla: 전기차 제조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솔루션도 제공합니다.
- LG Energy Solution: 전 세계적으로 배터리 제조 분야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Panasonic: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주요 회사 중 하나입니다.
-
에너지 인프라 및 안보 기술
- Siemens AG: 에너지 인프라 및 솔루션 제공 회사로, 스마트 그리드 및 에너지 관리 기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Honeywell: 산업 자동화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이러한 분야와 관련된 기업들은 장기적인 투자 테마로서의 잠재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개별 기업의 재무 상태, 시장 전망, 경쟁 환경 등을 꼼꼼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은 22~27도로 맑고 화창해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