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0.06. (금)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유한양행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신약 ‘레이저티닙’의 글로벌 상업화에 따른 수익 개선이 기대돼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유한양행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지난 2016년, 사우디아라비아가 자국의 석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2030년까지 관광 등 다양한 핵심 산업 개발을 통한 경제 다각화에 나서겠다는 '비전 2030(Vision 2030)'을 발표했었어요.
💸 사우디의 감산과 고유가
당시 사우디가 제시한 '비전 2030' 계획에 따르면, 사우디 국부펀드는 매년 4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원유 없이도 효율적이고, 강력한 나라로 만들 계획이었어요. 여기에는 5,000억 달러(약 676조 5,000억) 이상이 소요되는 네옴시티 계획도 포함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많은 돈이 필요하고, 그 돈은 유가가 약 100달러 이상 수준을 유지할 때 조달할 수 있어요. 결국, 사우디는 고유가를 원했을 테고, 같은 맥락으로 지난 9월, 100만 배럴 감산 계획을 연말까지(3개월) 연장했어요.
***네옴시티(Neom City): 초대형 미래 도시 프로젝트로 사우디아라비아의 북서부, 홍해에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며, 이집트와 요르단과 국경을 맞대고 있어요. 기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중심으로 한 미래 지향적인 도시로, 인공 지능, 재생 에너지, 바이오테크놀로지와 같은 첨단 기술이 풍부하게 통합될 예정이죠.
🤧 사우디의 속도 조절
그런데 지난 4일 열린 이번 OPEC+ 장관급 감시위원회(JMMC)회의에서 산유국들이 생산 쿼터를 기존대로 유지하기로 했어요. 사우디도 감산을 추가로 연장하겠다고 밝히지 않았죠. 이에 따라 국제유가는 -5% 넘게 하락해 지난 8월 말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어요(WTI 84달러). 아마도 사우디 역시 유가가 100달러를 갑자기 넘어서면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커질 수 있음을 인식한 것으로 보여요. 최근 미국보다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은 독일과 일본 장기 국채금리도 급등했고, 이후 통화정책을 둘러싼 불안감도 높아진 상황을 보였기에, 사우디는 궁극적인 목표인 자신들의 비전을 성취하기 위해 고유가에 대한 속도 조절을 해야겠죠.
현재 유가 수준에 비해 미국 등 에너지 업체들 주가는 저평가된 것으로 보이는 만큼, 에너지 업체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해 보여요. 한편, 사우디의 '비전 2030'이 원유를 수입해야 하는 아시아 국가들과 완전히 반대 방향은 아니라서 다행이네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르락내리락 #외국인매도세 #하락 #2차전지
|
|
|
KOSPI 2,403.60pt ▼2.09
KOSDAQ 801.02pt ▼6.38 |
|
|
KOSPI, KOSDAQ 모두 상승 출발 후 하락 전환하며 장중 변동성이 확대됐어요. KOSPI는 외국인들의 매도세의 영향으로 이틀 연속 하락하면서 2,400선에서 턱걸이로 장을 마쳤는데요. 업종별로는 통신업(-2.52%), 의료정밀(-1.99%), 섬유의복(-1.88%) 등이 약세를 보였고, 의약품(+1.28%), 철강금속(+0.31%), 운수창고(+0.3%), 전기전자(+0.21%) 등은 상승했어요. KOSDAQ은 2차전지주의 매물이 출회되면서 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편의점(+1.84%) / 반도체대표주(+1.47%) / 클라우드컴퓨팅(+1.22%) / 손해보험(+1.14%)
From 5 days ago: 디지털화폐(+2.25%) / 제4이동통신(+0.81%) / 자동차대표주(-0.31%)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연준의 통화정책에 여파를 줄 수 있는 고용 지표 발표를 하루 앞두고 증시가 소폭 하락 마감했어요. 한편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도 소폭 하락했는데요. 장기 국채금리의 가파른 상승세가 일단 멈춰서면서 시장은 한숨 돌렸어요.
😮 전기차 업체 리비안은 대규모 전환사채를 발행한다는 소식에 주가가 -22.88% 폭락했어요. 한편 맥도널드에 감자튀김을 공급하는 램 웨스턴은 최근 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웃돌고 실적 예상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면서 주가가 +8% 이상 상승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NG(+7.0%), XBI(+3.2%), WEAT(+2.6%)
- Losers: QCLN(-4.4%), EWW(-3.5%), PBW(-2.9%)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UNG(+9.5%), TUR(+2.6%), CORN(+1.4%)
- Losers: UGA(-11.3%), TAN(-10.0%), PALL(-9.7%)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JAPAN, TECHNOLOGY, BIOTECH, NATURAL GAS, CORN
- 하락 ETF 키워드: ENERGY, OIL, CLEAN ENERGY, METALS, PREFERRED
🌐 [BN] Bill Gross Sees Stocks ‘Clearly Overvalued’ as Bond Yields Rise
- 빌 그로스(Bill Gross) 전 핌코 CIO가 주식이 "고평가"되어 있다고 언급하며, 현재 주식 밸류에이션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채권 금리가 크게 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
그는 최근의 급락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낮출 여지가 거의 없기 때문에 채권과 주식 모두가 매력적이지 않다고 설명했어요. 다만, 경제 둔화나 경기 침체 시에는 채권이 주식보다 더 나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또한, 현재는 인수합병(M&A)을 이용한 차익거래가 가장 유리하다고 말했고,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의 블리자드 인수와 같은 M&A는 기업 가치가 시장의 평가보다 낮을 때 이루어지기 때문에 좋은 투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이번 주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대부분 실질 금리 상승 영향으로 볼 수 있어요.
-
실질 금리는 2년 전 -1%에서 현재 2.4%로 상승했으며, 과거 해당 수준 실질 금리 상승은 S&P 500 밸류에이션(fwd P/E)을 12배 수준까지 떨어뜨렸어요.
-
빌 그로스는 AI에 대한 기대와 막대한 정부 지출이 이를 막을 수 있다고 보지만, 이번엔 다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나타냈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유한양행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신약 ‘레이저티닙’의 글로벌 상업화에 따른 수익 개선이 기대돼요. 자세히 살펴볼게요.
💊 레이저티닙 글로벌 상업화
존슨앤드존슨(J&J)은 지난 9월 28일 글로벌 임상 3상 MARIPOSA 연구에서 아미반타맵/레이저티닙 병용요법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고,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확보했으며, 향후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 요법에서 표준요법으로 등재될 것을 기대한다고 발표했어요. 레이저티닙은 올해 말 국내에, 내년 말 해외에 1차 치료제로 처방이 시작될 전망이에요.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 EGFR은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일부 폐암 환자에게서는 EGFR 유전자에 변이가 발생하여 이 단백질이 과도하게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암세포의 무분별한 성장과 분열이 일어나요. 이때 치료법으로 주로 구강으로 복용 되는 약물을 통해 환자의 생존 기간을 연장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줘요.
💰 추정 가치
2023년 말 국내에서 비소세포폐암(NSCLC) 1차 치료제로 처방 확대 시 타겟 시장은 약 2천억 원으로 추정되는데요. 또한 2024년 말 글로벌 출시 이후 예상되는 마일스톤 유입액은 1천억 원 상회하며, 글로벌 타겟은 약 8.5조 원으로 추정돼요. 출시 3년 차인 2027년 글로벌 예상 판매액은 2.2조 원(시장점유율 30%), 예상 판매 영업이익(유한양행 귀속분)은 3,380억 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돼요.
***마일스톤 유입액: 특정 약물이나 치료제, 기술 등의 개발과 상업화 과정에서 달성되는 주요 이정표마다 지급되는 금액
유한양행이 이번 레이저티닙의 글로벌 상업화로 이익이 고성장하는 기업가치 재평가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되니 관심 가져보면 좋을 것 같아요. |
|
|
by Kwon HaeSoon
E-mail: hskwon@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9월 고용동향보고서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사우디와 원유에 대한 내용을 알아봤는데요. ChatGPT에게 이런 상황에 맞춰 어떤 투자처를 추천하는지 물어봤어요! |
|
|
현재 유가 수준에 비해 미국 등 에너지 업체들 주가가 저평가된 것으로 보이는 만큼, 미국 에너지 업체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미국 에너지 업체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의 경제 성장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투자처로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을 추천합니다.
- 엑손모빌(XOM): 세계 최대 규모의 석유 회사로, 미국 내에서 가장 많은 원유와 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셰브론(CVX): 미국의 또 다른 대형 석유 회사로, 엑손모빌과 미국 에너지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 옥시덴탈 페트롤리엄(OXY): 미국 서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석유 회사로, 최근 몇 년간 M&A를 통해 사업 규모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 코노코필립스(COP): 미국 중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석유 회사로, 옥시덴탈 페트롤리엄과 함께 미국 중서부 지역의 대표적인 석유 회사입니다.
- EOG 리소시스(EOG): 미국 서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석유 회사로, 셰일 오일 생산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원유는 사우디의 주요 수출품목이며, 원유 수출을 통해 얻은 수익을 비석유 산업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비전 2030'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우디의 원유 수출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되는 점에서 사우디 국영 석유 회사인 사우디 아람코(ARAMCO)에 대한 투자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투자처를 선정할 때는 본인의 투자 성향과 목표, 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추천해 드린 기업들은 모두 우수한 기업이지만, 투자에 앞서 각 기업의 재무 상태와 사업 전망 등을 꼼꼼하게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The Bitter Potion (1636 – 1638)
Adriaen Brouwer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한글날은 버즈도 함께 쉬어갑니다😊
우리 다음주에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