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0.16. (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이 올해 3분기에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올렸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지난주, 미국의 9월 CPI(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됐어요.
🔎 예상치를 웃돈 CPI
지난 9월, 미국 CPI가 전년 대비 3.7% 상승하며 예상치를 웃돌았어요. 이는 주거 물가와 에너지 물가 상승의 영향이 컸는데요. 하지만, 아직 인플레이션 우려를 하기에는 일러요. 우선, 주거 물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대비 2%대로 둔화했고, 주거 물가도 Zillow 등 실시간 임대료 데이터를 고려하면 서서히 둔화할 가능성이 있어요. 마지막으로, 하마스의 공격 이후 급등했던 유가도 최근 들어 진정되고 있어요. 따라서, 11~12월 연준이 마지막 남은 한 차례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은 낮아요.
🧐 애매한 상황
하지만, 그렇다고 물가 상승률이 연준이 안도할 만한 수준은 아니므로, 연준이 아직은 금리 동결 기조와 매파적인 뉘앙스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보여요. 참 애매한 상황이죠. 미국 10년 국채금리가 재차 급등했지만, 그렇다고 새로운 금리 상승은 아니고, 완전한 하락 전환으로 보기도 어려워요. 이러한 상황에서 위험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요. 첫째, AI의 생산성 향상 덕분에 오히려 성장률 둔화가 심각하지 않은 무착륙 시나리오가 가능해질 수 있어요. 둘째, 바이든 정부의 재정 확대 정책으로 국채 물량 부담이 이어질 수 있어요.
금리 인상의 끝자락에 다다랐다고 생각했는데, 아직 끝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면 지치게 되는데요. 최근 금융시장이 그렇네요. 하지만 금리 상승 속도나 변동성으로 보면, 더디더라도 먼저 나가떨어지는 것은 금리가 아닐까 싶어요. 따라서 연말 랠리에 대한 기대를 버릴 필요는 없어 보여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456.15pt ▼23.67
KOSDAQ 822.78pt ▼12.71 |
|
|
KOSPI, KOSDAQ 모두 하락했어요. 시장 예상을 상회한 미국 CPI 지수 부담과 이란의 원유 수출금 동결 등 중동 지정학적 불안이 확대되면서 달러 강세와 함께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어요. 업종별로는 기계(-2.63%), 운수창고(-2.25%), 건설업(-1.39%), 의약품(-1.25%), 철강금속(-1.13%) 등이 약세를 기록했고, 보험(+0.62%), 음식료품(+0.34%), 전기가스(+0.2%), 섬유의복(+0.09%), 종이목재(+0.08%) 등이 상승했어요.
|
|
|
From Yesterday: LPG(+5.55%) / 중국기업(+4.33%) / 도시가스(+3.23%) / 사료(+2.75%)
From 5 days ago: LPG(+17.62%) / 도시가스(+11.71%) / 2차전지(장비)(+7.76%) / 양자암호(+6.68%)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어요. 금리 인상이 끝났다는 전망과 은행들의 어닝 서프라이즈 호재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시장은 전쟁이 확전할 가능성에 긴장하고 있는데요. 한편, 9월 수입물가지수는 시장 예상치(+0.5%)보다 적은 0.1%만 상승했고, 10월 미시간 소비자심리지수도 시장 예상치(67.4)보다 적은 63.0으로 전월 대비 5.1 포인트 하락했어요.
😯 Microsoft는 Activision Blizzard 인수 완료 소식에도 불구하고 -1.04% 하락했고, Activision Blizzard의 주식은 임박한 이슈로 거래가 중지된 상태죠. 한편, Tesla는 미국 시장 점유율 급락 소식에 -2.99% 하락했는데요. 미국 전기차 판매는 사상 최고를 기록했으나, Tesla 시장 점유율은 하락했어요. 이는 다른 전기차 업체의 약진 때문으로 볼 수 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SO(+4.8%), GDX(+4.4%), SLV(+4.1%), UGA(+3.8%), GLD(+3.2%)
- Losers: XSD(-4.2%), UNG(-4.2%), SOXX(-2.7%), SMH(-2.5%), AWAY(-2.2%)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GDX(+7.7%), XOP(+6.5%), USO(+6.5%), OIH(+6.1%), GLD(+5.4%)
- Losers: IHI(-5.5%), TUR(-5.4%), JETS(-5.2%), UNG(-4.2%), XSD(-3.9%)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GOLD, OIL, SILVER, BOND, TREASURY
- 하락 ETF 키워드: SEMI, JETS, NATURAL GAS, BIOTECH, MEDICAL DEVICES
🌐 [FT] Oil jumps above $90 on concerns over escalation in Israel-Hamas war
이스라엘-하마스 갈등으로 인한 유가 상승
-
지난 금요일,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갈등이 고조되면서 국제 유가가 급등했어요.
-
브렌트유는 배럴당 $90.89로 5.7% 상승했으며, 미국 WTI는 5.9% 상승해 배럴당 $87.69에 거래되었죠.
-
이스라엘 정부는 가자 지구와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100만명 이상의 주민들에게 남부로 이주하도록 경고했고, 유엔은 이스라엘의 지상 공격이 24시간 이내에 시작될 것이라고 전했어요.
-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중동 충돌이 확산될 우려를 표현했어요.
-
중동은 세계 해상 원유 거래의 1/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이 지역의 불안정이 국제 유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요.
-
JPMorgan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충돌이 올해 말까지 유가를 크게 끌어올릴 것이라는 가능성이 "낮다"고 분석했어요. 그러나 미국이 이란의 원유 수출 제한을 강화하거나, 이스라엘-하마스 갈등이 호르무즈 해협에 영향을 미칠 경우, 원유 공급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
이란 외무장관 Hossein Amirabdollahian은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지상 공격이 레바논의 Hizbollah 등 다른 극단주의 그룹들의 전쟁 개입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
한편, IEA는 전세계 원유 수요가 내년에는 더 느린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는데요.
-
경제 둔화와 에너지 효율성 증가에 따라 2024년 원유 소비는 하루 88만 배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3년의 하루 230만 배럴 증가 예상치보다 낮아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LG에너지솔루션이 올해 3분기에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올렸어요.
✨ 실적 홈런
LG에너지솔루션의 3분기 잠정 실적은 매출액 8.2조 원, 영업이익 7,312억 원으로 영업이익 예상 전망치를 8% 웃돌아요. 이번 실적 호조는 IT 향 소형전지 출하 부진에도 불구하고, 2분기에 발생했던 리콜 비용 기저효과와 AMPC(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 인식 영향으로 볼 수 있어요. 또한, 배터리 회계 특성상 매출액과 AMPC 인식의 시차가 있음을 감안하면, 2분기에 미반영된 부분이 인식되어 기존 추정 대비 양호한 실적을 시현한 것으로 판단돼요. 한편, 중대형 EV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각각 4.6조 원, 4,058억 원으로 추정되며, 미국 출하량은 4.5GWh로 수율 감안 가동률이 60%를 웃돌 것으로 예상돼요.
👀 4분기 전망은 보수적 4분기에는 매출액 9.1조 원, 영업이익 5,707억 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KITA 기준 8월 파우치 배터리 가격은 154달러/kWh로 1월 202달러/kWh 이후 지속 하락세이며, 변동비 마진도 29달러/kWh까지 감소했어요. 유럽 VW 판매량 부진과 메탈 가격 약세를 반영해 일단 보수적으로 단기 실적을 전망해요.
***KITA: 한국전지산업협회(Korea Battery Industry Association). 국내 배터리 산업의 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설립된 단체
그렇지만, 얼티엄셀즈 램프업, 도요타 등 신규 OEM 수주를 고려하면 현재 낮아진 주가 레벨에서 투자 매력도 존재해요. 긴 호흡으로 관심 가져도 좋을 것 같아요. |
|
|
by Hwang SungHyun
E-mail: tjdgus2009@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10월 뉴욕주 제조업지수 / 中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연말 랠리에 대한 기대감을 버릴 필요는 없다고 했는데요. ChatGPT는 어떤 산업 및 기업을 주목하는지 물어봤어요. |
|
|
1. 에너지 산업
- 유가의 변동성: 유가가 진정되고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에너지 시장의 변동성은 높을 수 있으므로, 에너지 관련 주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기업 예시: Exxon Mobil, Chevron 등
2. 주거 및 부동산 산업
- 주거 물가 상승: 주거 물가가 상승하고 있으므로, 부동산과 관련된 주식이나 REITs에 주목할 수 있습니다.
- 기업 예시: Zillow, Redfin, Simon Property Group 등
3. 기술 산업
- AI의 생산성 향상: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이 예상되므로, AI와 관련된 기업에 주목할 수 있습니다.
- 기업 예시: NVIDIA, AMD, Alphabet 등
4. 금융 산업
- 금리와 금융시장: 금리의 변동과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금융 산업에 주목할 수 있습니다.
- 기업 예시: JPMorgan Chase, Goldman Sachs 등
5. 재정 확대와 인프라
- 바이든 정부의 재정 확대: 재정 확대 정책으로 인해 인프라와 건설 산업에 주목할 수 있습니다.
- 기업 예시: Caterpillar, Vulcan Materials 등
주의사항
- 위의 정보는 예시로, 실제 투자를 고려하시기 전에 꼭 자세한 시장 분석과 리서치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금융시장은 불확실성이 높으므로, 리스크 관리와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Gänseherde auf der Weide (1919)
Demeter Koko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은 9~19도로 약간 쌀쌀하지만,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어요!☀️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