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0.17. (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카카오의 3분기 실적 전망이 나왔는데요. 여러 분야의 다양한 성과와 동향을 보이고 있으니 함께 살펴볼게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2023년 실적시즌을 앞두고, 최근 매크로 전망의 오류와 이번 실적시즌의 전망을 살펴볼게요.
🔕 최근 매크로 전망의 오류
금융시장의 전망은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행 연습과 같아요. 그렇다보니 최근 사건이나 데이터의 영향이 크게 반영되곤 하는데, 이는 전문가들의 오해와 실수로 이어지기도 해요. 예컨대, 코로나19 이후 정상화 과정에서 나타난 제조업 경기 둔화가 가파른 금리 인상과 맞물려, 침체 위험으로 인식되었어요. 이는 최근 제조업 경기가 단기 모멘텀 변화를 '추세'로 오해한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어요.
📊 이번 실적시즌의 전망
관건은 최근 제조업 경기인데요. 2022년 이후 1년 반 넘게 둔화되던 제조업 경기가 아시아와 기술주를 중심으로 안정을 찾아가고 있어요. 그러나 최근 중동에서의 분쟁과 지속되는 고금리에 따른 금융 여건 악화는 제조업 경기 회복 싸이클을 막을 가능성도 있어요. 과거의 경험으로 제조업 경기 싸이클과 기업 이익 싸이클은 대체로 동행해왔기 때문이죠. 따라서 이번 실적시즌 동안 미국과 국내 기업 실적이 예상보다 좋을 가능성이 있어요. 컨센서스상으로 미국 S&P500 기업들의 순이익은 3분기를 기점으로 플러스로 반전되었고, 국내 코스피 기업들의 영업이익은 오는 4분기 실적을 기점으로 플러스로 돌아설 전망되는 상황이죠.
과거 중동 지역 분쟁은 단기간에 끝났었는데요. 이에 따라 지정학적인 우려에 따른 주가 조정은 추세보다는 단기 변화일 가능성이 높으니, 실적을 바탕으로 가능성을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436.24pt ▼19.91
KOSDAQ 810.54pt ▼12.24 |
|
|
KOSPI, KOSDAQ 모두 하락했어요. 중동발 지정학적 위기감에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강해지면서 외국인 투자자의 매도 공세가 이어졌어요. 이날 외국인은 KOSPI에서 2,075억 원, KOSDAQ에서 1,404억 원을 팔면서 16거래일 연속 매도세를 보였어요. 업종별로 살펴보면, 업종별로는 통신업(+0.68%), 음식료업(+0.59%) 종이목재(+0.56%) 등이 강세를 보였고, 기계(-2.10%), 전기전자(-1.26%), 제조업(-1.02%) 등은 하락했어요. KOSDAQ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HLB가 홀로 +1%대 상승했고, 셀트리온헬스케어(+0.78%), 에코프로(+0.24%) 등은 강보합으로 마감했어요.
|
|
|
From Yesterday: 도시가스(+7.79%) / LPG(+5.48%) / 자원개발(+3.91%) / 겨울(+3.01%)
From 5 days ago: LPG(+30.53%) / 도시가스(+21.25%) / 전선(+12.38%) / 겨울(+9.48%)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국채금리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2023년 3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져 주가가 일제히 상승했어요. 연준 당국자들의 비둘기파적 발언도 이어지며 투자자들의 심리가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어요. 이에 따라 S&P 500 지수에 포함된 11개 업종은 모두 상승세를 보였어요. 그러나 시장에서는 국채금리와 유가 상승, 높은 인플레이션, 그리고 중동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연말까지 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는 여전해요.
😯 금융 서비스 회사 Charles Schwab의 주가가 주당 순이익 상승과 은행 예금 유출 둔화로 +4.66% 올랐고, 운동복 브랜드 lululemon은 S&P500 편입 예정 소식에 주가가 +10.31% 급등했어요. 한편, 제약사 Pfizer는 연간 매출 목표 하향에도 Jefferies의 투자 의견 상향으로 주가가 +3.61% 상승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IGN(+3.4%), BLOK(+3.3%), XRT(+2.7%), XSD(+2.2%), FDN(+2.1%)
- Losers: UNG(-2.2%), TUR(-1.9%), URA(-1.7%), TLT(-1.6%), VNM(-1.5%)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GREK(+6.4%), EZA(+5.8%), GDX(+5.3%), TAN(+4.0%), XLU(+3.6%)
- Losers: UNG(-8.2%), IHI(-4.2%), TUR(-3.8%), URA(-3.3%), DBB(-2.2%)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MEXICO, GOLD, INTERNET, SILVER
- 하락 ETF 키워드: BOND, TREASURY, CHINA, URANIUM, NATURAL GAS
🌐 [FT] Albemarle abandons Australian lithium deal after billionaire Gina Rinehart builds stake
-
미국의 대표 리튬 개발 회사 Albemarle이 42억 달러에 호주 리튬 개발업체 Liontown Resources를 인수하는 계획이 무산되었어요.
-
호주의 최고 부자 Gina Rinehart가 자신의 철광 회사 Hancock Prospecting을 통해 Liontown의 19.9% 지분을 인수하면서 좌절되었는데요.
-
이 지분은 Albemarle이 Liontown을 인수하는데 필요한 임계치를 넘지 못했지만, 거래를 방해하는데는 충분했어요.
-
Albemarle은 월요일에 "거래 제안과 관련된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Liontown 인수를 공식적으로 포기했어요.
-
Albemarle은 이번 인수를 통해 서호주 Kemerton 리튬 정제 공장에 리튬 공급을 확보하려 했으며, 이는 미국과 호주 간의 FTA 하에서 세액 공제를 받기 위한 전략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었어요.
-
이번 인수 무산을 통해 세계 최대 리튬 개발 회사들이 호주 리튬 자산에 대한 경쟁을 더욱 격화시키고 있음이 드러났어요.
-
Albemarle과 칠레의 SQM은 이미 서호주의 주요 리튬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으며, IGO, Wesfarmers, Mineral Resources와 같은 현지 업체들과도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어요.
-
Liontown의 주가는 Albemarle이 제안했던 3 호주달러 아래로 떨어져 2.79 호주달러에서 거래를 마감했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카카오의 3분기 실적 전망이 나왔는데요. 여러 분야의 다양한 성과와 동향을 보이고 있으니 함께 살펴볼게요.
✨ 국내 온라인 광고시장
카카오의 3분기 매출액은 2.17조 원으로 전년 대비 17%의 성장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1,24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했어요. 이러한 결과는 국내 온라인 광고 시장의 반등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인데요. 주력 광고 분야인 톡비즈 광고 매출 성장률은 5.1%로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어요.
👀 거래형 매출과 모빌리티
거래형 매출은 선물하기 직매입 비중 확대와 추석 효과가 맞물려 18%의 양호한 성장률을 기록했어요. 모빌리티 부문에서는 연초 택시 가격 인상으로 인한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제휴 주차장 증가로 인한 주차 매출이 크게 확대되었어요. 콘텐츠 부문에서는 카카오게임즈의 신작 '아레스' 출시 효과와 '에스엠' 연결 반영 효과로 매출 성장이 있었으나, 기타 매출 부진과 상각비용 증가로 인해 큰 폭의 매출 성장은 제한되었어요. 여기에 엔터프라이즈와 엔터테인먼트 인력 조정에 따른 일회성 비용 발생도 예상돼요.
국내 온라인 광고 시장의 성장이 둔화하고 있으나, 거래형 매출과 모빌리티 부문에서는 긍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어요. 앞으로 카카오가 지속적인 성장과 안정적인 영업이익을 위한 전략을 마련해 갈지 지켜봐야겠어요. |
|
|
by Jung UiHoon
E-mail: uihoon060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9월 소매판매, 산업생산 / 9월 수출입물가지수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기업실적에 대한 내용을 다뤘는데요. ChatGPT에 2023년 연말 및 4분기 실적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과 그 중 대표적인 기업을 추천해달라고 요청했어요. |
|
|
2023년 4분기에 실적이 좋을 것으로 예측되는 기업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AutoNation Inc.: 자동차 판매 및 서비스 회사입니다.
-
Budweiser Brewing Co. APAC: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주류 제조 및 판매 회사입니다.
-
China Resources Land Ltd.: 중국의 주요 부동산 개발 회사입니다.
- Enagás SA: 스페인의 주요 천연가스 전송 및 저장 회사입니다.
-
Futu Holdings Ltd.: 홍콩의 금융 기술 회사입니다.
-
Keurig Dr Pepper: 주류 및 음료 회사입니다.
-
Twilio Inc.: 클라우드 통신 플랫폼 회사입니다.
-
Ulta Beauty Inc.: 미국의 화장품 및 뷰티 제품 소매업체입니다.
-
Align Technology Inc.: 치과 기기 및 제품 제조 회사입니다.
-
Zimmer Biomet Holdings Inc.: 의료 기기 및 제품 제조 회사입니다.
특히, Twilio는 클라우드 통신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다양한 업계에서의 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성장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Twilio의 주요 서비스는 SMS, 음성, 비디오, 이메일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API로 제공하여, 기업들이 이를 활용해 자체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 통합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e-commerce, 건강관리,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는 투자에 대한 개인적인 추천이 아니며, 투자 결정을 내리실 때에는 꼭 자세한 기업 분석과 시장 조사, 그리고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허용 범위를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은 8~20도로 일교차가 크네요😥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