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0.20. (금)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영풍정밀이 3분기에도 실적 고성장세를 지속한 데다, 중장기 성장 모멘텀도 확보했다고 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영풍정밀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미국 주식시장이 과거 1987년 '블랙먼데이' 당시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면서, 당시의 증시 폭락 사태가 재현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감이 생기고 있어요.
🕸️ 1987 블랙먼데이
블랙먼데이는 지난 1987년 10월 19일 다우 지수가 하루 만에 -22% 폭락한 사건을 의미하는데요. 당시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4개월 만에 200bp 넘게 급등하기도 했어요. 여기에 주가와 채권 가격의 급락을 일으킨 것은 바로 '공조 붕괴'와 '긴축'이었어요. 1987년 2월 프랑스 파리에서 선진 6개국이 달러 가치의 하락을 방어하기 위해 체결한 루브르 합의가 실패로 돌아갔고, 공조가 깨지자마자 독일 등이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금리를 올렸어요. 이에 미국 연준도 재할인율을 5.5%에서 6%로 인상하면서, 각국이 인플레이션을 잡겠다고 긴축으로 선회했고 이는 곧 국채금리의 급등을 일으켰어요. 결국 전례 없는 주가의 급락을 경험하게 됐죠.
💥 공조의 붕괴
그런데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지난 5월 저점 3.3% 이후 5개월 동안 152bp 상승하는 등 1987년 블랙먼데이 당시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물론 현재 상황은 그때와는 달라요. 블랙먼데이 직전인 1987년 8월은 달러 가치가 급락했던 시기였는데 지금은 달러가 강세죠. 또한, 긴축 국면도 사뭇 달라요. 지금은 미국 연준 내에서도 당장 금리를 더 올리기보다는 지켜보자는 목소리가 존재하거든요. 하지만, 공조 중이던 중동지역의 평화는 최근 깨졌는데요. 이번 중동 분쟁으로 인해 유가와 금 가격은 오르고, 안전자산인 미국 채권 가격은 하락했어요.
공조가 깨지고 안전자산이 제 역할을 못하면, 새로운 안전자산을 찾을 수밖에 없게 되겠죠. 아마도 지금은 현금, 원유, 금과 같은 실물 자산이 그렇지 않을까 싶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415.80pt ▼46.80
KOSDAQ 784.04pt ▼24.85 |
|
|
19일(목) 국내 증시에서는 대내외 불안 속에 외국인 투자자 자금이 대거 빠져나갔어요. 중동 분쟁 악화와 미국 국채 금리 상승으로 하락 출발했던 KOSPI와 KOSDAQ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매파적 동결로 향후 추가 인상 가능성을 남겨 두면서 낙폭을 키웠어요. 이런 대내외 불확실성 등이 2차전지, 엔터, 바이오 등 주도 테마이자 개인 수급이 집중된 성장주 중심으로 약세를 유발하는 모습이었어요. 업종별로 살펴보면, 철강금속(-3.88%), 기계(3.82%), 의료정밀(-2.53%), 화학(-2.34%), 전기전자(-2.16%) 등 대부분 업종이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해운(+3.50%) / 은행(+1.34%) / 네옴시티(+0.83%) / 렌터카(+0.28%)
From 5 days ago: LPG(+15.70%) / 해운(+8.14%) / 도시가스(+4.65%) / 은행(+4.11%)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과 국채금리 상승 영향으로 증시가 하락했어요. 이날 파월 의장은 뉴욕경제클럽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지나치게 높다는 점을 강조하며 매파적 입장을 재확인 시켜줬는데요. 여기에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5%에 육박하면서 주가에 하락 압력을 가중했어요.
😐 테슬라는 전날 실망스러운 실적에도 시간 외 거래에서 소폭 상승했지만 이날 정규 거래에서는 -9% 넘게 폭락했어요. 반면 넷플릭스는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과 구독료 인상에 따른 수익 기대감에 주가가 +16% 이상 급등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SO(+2.3%), URA(+1.7%), WEAT(+1.7%)
- Losers: DRIV(-5.3%), QCLN(-3.8%), XT(-3.7%)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UGA(+8.9%), USO(+8.3%), GDX(+6.4%)
- Losers: UNG(-10.4%), VNM(-9.7%), REMX(-8.8%)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GOLD, OIL, SILVER
- 하락 ETF 키워드: CLEAN ENERGY, BOND, REAL ESTATE
🌐 [WSJ] Tesla’s Musk Warns of Cybertruck Challenges (2023-10-18)
-
테슬라 주가가 4.78% 하락한 수요일, CEO 일론 머스크는 사이버트럭 생산 확대에 "막대한 도전"이 있다고 경고했어요. 이에 따라 앞으로 몇 분기 동안 회사의 이익이 압박받을 것으로 예상돼요.
-
3분기에 테슬라의 순이익은 -44% 감소하여 시장 예상을 하회했는데요. 이는 회사의 차량 라인업 전반에 걸친 가격 인하가 이익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죠.
-
머스크는 금리 인상과 이로 인해 소비자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현했어요.
-
사이버트럭은 11월 말부터 고객에게 인도될 예정이지만, 머스크는 이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자제했어요.
-
복잡한 트럭 생산 과정으로 인해 현금 흐름에 기여하는 데 추가로 1년에서 18개월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요.
-
테슬라의 3분기 재무 결과는 여러 면에서 실망스러웠으며, 회사의 성장 궤도에 대한 우려가 커졌어요.
-
테슬라는 가격 인하와 할인을 통해 노후화된 모델의 수요를 촉진해 왔으며,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작년 17.2%에서 3분기에 7.6%로 하락했어요.
-
사이버트럭은 2019년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테슬라가 예상하는 연간 생산량은 25만 대죠. 단, 이는 2025년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요.
-
테슬라는 올해 180만 대의 차량을 고객에게 인도하는 목표를 재확인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남은 3개월 동안 47만 5,000대 이상의 차량을 판매해야 해요.
-
머스크는 테슬라의 미래가 자율 주행 기술을 포함한 소프트웨어에 있다고 주장하며, 글로벌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멕시코 공장 계획을 늦추고 있어요.
-
테슬라는 금리 상승과 새로운 경쟁자의 진입으로 인해 도전적인 환경에 직면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가격 경쟁과 BYD의 부상으로 성장이 어려워지고 있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영풍정밀이 3분기에도 높아진 실적을 유지한 데다 중장기 성장 동력도 확보했다고 해요. 자세히 살펴볼게요.
🚀 3분기도 고성장세
영풍정밀의 3분기 매출은 367억 원, 영업이익은 52억 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년 대비 +79%, +78% 급증했어요. 펌프와 밸브 사업 전반에서 수주와 매출 모두 좋은 상태이며, 지난 분기에 있었던 약 110억 원의 일회성 상품 매출이 이번 분기에는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탄탄한 실적을 기록했어요. 또한, 영업외손익에서는 고려아연으로부터 중간 배당을 37억 원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효과로 세전이익은 전년 대비 약 +158% 급증했어요.
💫 고려아연 발 성장 동력
영풍정밀의 관계사인 고려아연은 황산니켈과 동박에 이어 올인원 니켈 제련 공장 건설에 5천억 원 투자를 발표했는데요. 연초 고려아연이 발표한 기존 사업의 설비투자 금액이 3,619억 원인 점을 고려하면 신사업 투자 규모가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어요. 영풍정밀은 고려아연의 37.9만 주를 보유 중으로 ▲배당 수익 확대 ▲미래 투자 자산 가치 상승 ▲고려아연의 설비투자 확대로 펌프, 밸브 등 본업 매출 증가에 따른 수혜를 기대해 볼 수 있어요. 이처럼 그룹사의 투자가 전례 없이 커지고 있어 이에 따른 낙수효과도 확대될 것으로 보여요.
본업도 좋아지고 있고, 외부 수령 배당금을 기반으로 자체 배당도 지속해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보여요. 중장기적 관점에서 영풍정밀에 관심 가져봐도 좋을 것 같아요. |
|
|
by Han ByungHwa
E-mail: bhh1026@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中 10월 대출우대금리(LPR)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요. 그리고 오늘은 美 옵션만기일이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실물 자산에 대한 방향성이 나왔는데요. ChatGPT에 이런 상황에서 투자한다면 어떤 방향을 추천하는지 물어봤어요! |
|
|
원유와 금과 같은 실물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해외 증시에 상장된 ETF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ETF는 주식처럼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상품으로, 원유나 금과 같은 실물 자산을 추종하는 ETF가 많이 있습니다.
두 번째는 국내 증시에 상장된 실물 자산 관련 종목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한국에서는 원유와 금을 생산하는 기업, 원유와 금을 운송하는 기업, 원유와 금을 가공하는 기업 등 실물 자산 관련 종목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종목에 투자하면 실물 자산 가격의 상승에 따른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두 가지 방법 중에서 원유와 금에 직접 투자하고 싶다면 해외 ETF에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 ETF는 원유나 금을 직접 보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물 자산 가격의 변동에 따라 투자 수익률이 결정됩니다. 반면, 국내 증시에 상장된 실물 자산 관련 종목은 실물 자산 가격의 변동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영 실적, 재무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투자 수익률이 결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 ETF에 투자할 때는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고려해야 합니다. 원유와 금은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투자 수익률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원유와 금에 투자할 수 있는 ETF와 실물 자산 관련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ETF
- 원유: USO, XLE, IEO
- 금: GLD, IAU, SLV
실물 자산 관련 종목
- 원유: SK이노베이션, S-OIL, 현대오일뱅크
원유와 금에 투자하기 전에 자신의 투자 성향과 목표를 고려하여 적절한 투자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California Redwoods (1872)
Albert Bierstadt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은 10~14도로 꽤 썰렁한 날씨예요.
우리 다음주에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