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0.25. (수)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미국이 배럴당 79 달러 이하 가격에 전략비축유 재매입을 추진한다고 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에너지 섹터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중동사태 관련 내용을 업데이트해 보는 시간 가져볼게요.
💣 불붙은 화약고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갈등은 가자지구에 구호품을 반입하거나 인질을 석방하는 등의 일부 조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요. 지난 19일 미군 전함은 수에즈 운하에 접근했고, 이후 이스라엘을 겨냥한 것으로 추정되는 예멘 후티 반군 발(發) 크루즈 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막아냈어요. 이번 기회를 계기로 이스라엘도 하마스를 완전히 축출하겠다는 의도가 아닐지 싶을 정도로 물러서지 않고 있어요.
🥊 중국의 대만 도발
그런데 안 좋은 소식이 하나 더 있어요. 중동지역 긴장 상황을 틈타 중국이 대만을 도발하고 있다는 점인데요. 지난주 후반 대만에서는 중국 전투기 103대가 발견되었고, 중국의 전함 4개가 대만에 접근하기도 했어요. 중국 정부는 현재 미국의 관심이 우크라이나와 이스라엘로 분산된 점을 이용하는 것 같아요.
💦 오르지 못하는 증시
전 세계적으로 전쟁 위험이 커지는 상황에서, 미국 국채금리의 하락은 주식 시장의 회복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어요. 지난주 5%를 넘어섰던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8bp가량 하락했지만, S&P500 기업들 가운데 70% 이상은 하락했고, 일부 테크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섹터가 하락세를 이어갔어요. 다행히도 다음 달 미국 바이든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의 정상회담이 예정되어 있는데요. 양측 모두 원하는 것이 생겼기 때문에 이번 회담이 허무하게 끝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아요.
주가가 제대로 반등하기가 만만치 않은 상황이지만, 전쟁만으로 주가가 흔들린다면 오히려 기회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383.51pt ▲26.49
KOSDAQ 784.86pt ▲21.17 |
|
|
KOSPI, KOSDAQ 모두 상승했어요. 장 초반 반대매매 출회에 -1%대 하락 후 저가 매수세가 유입 확대되며 강세 전환했는데, 수급 이슈에 따른 변동성이 확대됐어요.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하면서 달러 강세가 둔화된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은 -10원 이상 하락했어요. 업종별로는 대체로 상승했는데요. 의약품(+3.96%), 철강금속(+2.90%), 서비스업(+2.53%), 건설업(+1.85%), 기계(+1.79%), 화학(+1.58%) 등이 올랐고, 보험(-1.00%), 운수장비(-0.60%), 전기가스업(-0.40%)은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미디어(+6.54%) / 가상화폐(+5.66%) / 야놀자관련주(+5.45%) / 건설기계(+5.19%)
From 5 days ago: 구충제(+6.37%) / 가상화폐(+3.97%) / 모듈러주택(+3.72%)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이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증시가 상승했어요. 장기 국채금리의 상승세가 주춤해진 가운데, 낙폭 과대에 따른 저가 매수세가 기업들의 실적 호조를 계기로 증시가 다시 살아나는 모습이었어요.
🙂 세계 최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 스포티파이는 예상치를 뛰어넘는 3분기 실적 발표 후 주가가 +10% 이상 급등했고, 제너럴일렉트릭과 코카콜라도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각각 +6%, +2% 이상 상승했어요. 한편 이날 실적을 발표한 제너럴모터스(GM)는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지만, 9월 중순부터 시작된 파업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연간 가이던스는 철회했고 주가가 -2% 이상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BLOK(+4.9%), KWEB(+4.2%), REMX(+4.2%)
- Losers: UGA(-2.6%), USO(-2.5%), WEAT(-1.5%)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BLOK(+4.1%), URA(+3.5%), GREK(+2.9%)
- Losers: PBW(-12.8%), QCLN(-10.9%), TAN(-10.9%)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CHINA CONSUMER, METALS, BOND
- 하락 ETF 키워드: ENERGY, OIL, BOND, CLEAN ENERGY
-
마이크로소프트가 최근 6분기 중 가장 강력한 매출 증가를 기록했어요.
-
9월 30일 종료된 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증가한 565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는데요. 이는 시장 예상치를 웃돈 결과로, 순이익은 주당 2.99달러였어요.
-
Azure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은 29% 증가해, 전 분기의 26% 증가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어요. 이는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에서 AWS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가 클라우드 사업에서 강세를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줘요.
-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5%가량 상승했는데요. 최근 석 달간 7.3% 하락했던 주가가 다시 반등세를 보이고 있어요.
-
최고 경영자 사티아 나델라의 주도 아래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제품과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요. 이번 분기 실적 발표에서도 AI 기술이 매출 성장에 이바지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
OpenAI에 130억 달러를 투자해 AI 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어요.
-
특히, Chat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해 Bing 검색 엔진의 성능을 향상하고, Office 제품에 AI 어시스턴트를 추가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어요.
-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분기에 Activision Blizzard 인수를 완료했어요. 이번 인수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게임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평가돼요.
-
Activision Blizzard 인수 효과로 Xbox 콘텐츠 및 서비스 매출이 13% 증가했다고 밝혔는데요. 특히, ZeniMax의 Starfield 출시와 구독 증가가 매출 성장을 견인했어요.
-
다만, 마이크로소프트는 아직 모바일 게임 분야에서의 부족한 점을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지 않았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에너지 섹터 관련 주요 이슈 짚어볼게요.
💫 주간 주요 제품 가격변화
- 정유: WTI(+3.1%), 납사(+2.0%), 등유(+2.8%), 경유(+3.0%), 고유황중유(+3.5%)
- 화학: 부타디엔(+2.4%), 톨루엔(-2.8%), PVC(-6.2%), SBR(-2.4%), TPA(+2.7%)
- 태양광: 메탈실리콘(-0.4%), 폴리실리콘(-1.1%), 웨이퍼(-8.4%), 셀(-6.0%), 모듈(-0.5%)
💡 제품 시황 Highlights
- PVC는 공급 과잉과 수요 약세로 DCE 선물가격과 현물 가격 모두 하락세를 지속했어요.
- 부타디엔은 생산 차질 우려가 부각된 가운데, 연휴 이후 재고 확보를 위한 수요 증가로 스팟 물량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며 상승했어요. (중국 현물 기준 +7%wow) 말레이시아 PRefChem은 최근 Pengerang 소재 플랜트(19만 톤/연)의 정기 보수를 개시했어요.
💬 $79/배럴 이하로 전략비축유 재매입 추진 미국 에너지부는 2023년 12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최대 600만 배럴의 미국산 원유를 배럴당 79달러 이하에 매입하기 위한 입찰을 실시할 계획인데요. WTI가 현재 90달러 수준임을 고려하면, 이러한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죠. 만약 입찰이 성공한다면, 배럴당 유가의 하단이 기존 70달러에서 79달러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돼요. 다만,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순 수입량 기준 90일 치의 원유 비축량을 적정 수준으로 보고 있으나, 미국의 현재 비축량은 수요의 16일 치에 불과해요.
중동발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이 전략비축유 매입에 나서게 된다면 국제유가는 급등할 가능성이 높아요. 이러한 점을 참고해야 할 것 같아요. |
|
|
by Hwang SungHyun
E-mail: tjdgus2009@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9월 신규주택매매 및 메타, 보잉, IBM의 실적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투자Story에서 "미국의 전략비축유" 관련 내용을 다뤘는데요. ChatGPT에 미국의 전략비축유 설명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물어봤어요! |
|
|
미국의 전략비축유 (Strategic Petroleum Reserve, SPR)란?
미국의 전략비축유(SPR)는 미국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원유 비축 저장소입니다. 1970년대의 오일 쇼크 이후, 미국은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SPR을 설립하였습니다. 이 저장소는 긴급 상황에서의 원유 공급 부족을 방지하고, 경제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시장에 미치는 영향:
-
공급 증가로 인한 유가 하락: 미국 정부가 SPR에서 원유를 방출할 경우, 시장에 추가적인 원유 공급이 이뤄져 유가를 하락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긴급 상황에서의 유가 폭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공급 감소로 인한 유가 상승: 반대로, 미국 정부가 SPR에 원유를 추가로 저장하기로 결정할 경우, 시장에서의 원유 공급이 감소하게 되어 유가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
시장 신뢰도 및 안정성: SPR의 존재 자체가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긴급 상황에서도 미국 정부가 원유 공급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자와 기업들의 불안감을 줄여줍니다.
-
정책적 시그널: 미국 정부의 SPR 관련 결정은 종종 시장에 대한 정책적 시그널로 해석됩니다. 예를 들어, SPR에서의 원유 방출 결정은 원유 공급 부족이나 유가 상승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미국의 전략비축유는 긴급 상황에서의 원유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는 도구로서, 그 결정과 행동은 국제 유가와 에너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은 13~21도이며 맑고 화창해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