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0.31. (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콘텐트리중앙의 3분기 실적과 전망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이번 주 예정된 FOMC 회의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정할 텐데요. 고금리 속에서도 미국 경제가 여전히 탄탄한 성장세를 보이자 미국의 고금리 정책이 장기화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어요.
😵 고금리 장기화
고금리 시대에는 신용(대출) 증가율은 둔화하고, 외국인의 매도와 같이 해외 자금은 이탈하며, 산업별·기업별 위험 요인이 상시화될 듯해요.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모두가 고금리라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자산/신용 버블과 같은 시스템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은 오히려 줄어들 것 같아요. 그런데 이번 '고금리 장기화(Higher for longer)'는 지난 30년과는 완전히 다른 국면으로 봐야 할 수도 있어요. 과거 경험이 적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과거 데이터를 토대로 미래를 예측 시 유의해야 할 것 같아요.
🙌 적응이 필요해
우리는 고금리 장기화 시대에 적응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데요. 우선, 주식과 채권 간의 동행 관계는 더 뚜렷해질 가능성이 높으니, 주식과 채권에서 배분하는 것 보다 금융 자산과 실물 자산 간 배분이 중요할 듯해요. 즉, '주식 vs 채권'이 아니라, '주식과 채권 vs 현금'의 비중 변화가 관건이죠. 또한, 중소형주보다는 대형주가, 성장주보다는 가치 스타일 주식들이 더 잘 견뎌낼 가능성이 높아요. 업종별로는 은행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 같아요. 한편, 부채 비율이 높고, 자본 집약적이며, 차환(Refinancing) 부담이 큰 산업 및 기업은 피할 필요가 있어요.
이번 FOMC 결과와 관계없이 우리는 고금리 장기화 시대에 적응해야 할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310.55pt ▲7.74
KOSDAQ 757.12pt ▲8.63 |
|
|
KOSPI, KOSDAQ 모두 상승했어요. KOSPI는 연기금을 중심으로 기관 순매수세가 유입됐는데요. 특별한 이슈보다는 그동안 글로벌 증시 대비 상대적으로 낙폭이 컸던 만큼 밸류에이션과 가격 매력도가 부각된 것으로 보여요. 다만 뚜렷한 상승 추진력이 부재한 상황에서 증시 상단은 제한되는 모습이었어요. 업종별로는 섬유의복(+4.33%), 철강 및 금속(+2.78%), 기계(+1.39%), 전기가스업(+1.87%) 등이 올랐고, 종이목재(-7.07%), 운수장비(-1.33%), 통신업(-0.14%) 등은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LPG(+7.87%) / 로봇(+4.09%) / 도시가스(+3.58%) / 해운(+3.19%)
From 5 days ago: 항공사(+5.46%) / 타이어(+4.74%) / 여행(+4.65%) / 게임(+4.63%)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FOMC 회의를 앞두고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증시가 일제히 상승했어요. 시장은 이번에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다만, 연준 의장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놓은 만큼, 고금리를 얼마나 오래 유지할지에 대한 힌트를 얻기 위해 파월의 발언에 주목하고 있어요.
🙂 버라이존과 맥도날드는 호실적을 내놓으면서 각각 +3.53%, +1.72% 상승했고, 소매금융 사업 부진으로 최근 1년간 주가가 -20% 빠졌던 골드만삭스는 이날 +3.77% 오르며 강세를 보였어요. 한편, 테슬라는 전기차 배터리의 주요 공급업체 파나소닉 홀딩스가 전기차 수요가 감소로 배터리 생산을 줄였다는 소식에 주가가 -4.79%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PPLT(+3.4%), AWAY(+2.6%), IYT(+2.5%)
- Losers: QCLN(-4.1%), UGA(-3.2%), USO(-2.9%)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SLX(+4.2%), PPLT(+4.0%), ASHR(+3.2%)
- Losers: QCLN(-7.7%), VNM(-6.7%), PBW(-5.7%)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CHINA, PLATINUM, CHINA TECHNOLOGY, REAL ESTATE
- 하락 ETF 키워드: ENERGY, SEMI, CLEAN ENERGY, OIL
-
Pimco, Janus Henderson, BlackRock, Vanguard 등 주요 기관투자자들이 미국 장기 국채를 매수하고 있어요. 이는 지난 몇 달 동안 채권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이죠. 미국 국채 10년 금리는 2007년 이후 처음으로 5%를 웃돌았지만, 현재 미국 경제는 놀랍게도 견조한 상태죠.
-
그러나 투자자들은 금리 급등으로 인한 가계, 기업, 정부의 차입 비용 증가가 향후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하기 시작하고 있어요. 만약 경기 둔화가 가시화된다면, 채권 가격이 다시 상승할 것이기 때문이죠.
-
Pimco의 Mike Cudzil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높은 금리가 결국 성장을 둔화시킬 것이며, 둔화되기 시작하면 더욱 공격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언급했어요. 그는 듀레이션을 늘리고 있으며, 또한 주식 대비 채권 비중을 더 늘리고 있다고 말했어요.
-
EPFR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장기 국채 펀드에 10월 25일까지 1주일간 57억 달러의 자금이 유입되었는데, 이는 사상 최고 기록이죠.
-
BlackRock은 이번 달 장기 채권에 대한 포지션을 조정했다고 언급했어요. 2020년 말부터 금리 인상을 예견하는 새로운 거시 경제 체제로 인해 미국 국채에 대한 비중을 축소해왔다고 밝혔죠. 또한, 16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한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많은 조정이 이뤄졌으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하며, 정책 금리가 정점에 근접함에 따라 전술적 중립 포지션으로 변경했으며, 장기적으로 채권에 대해 전략적 비중 축소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어요.
-
현재 많은 투자자들은 연준이 높은 금리 수준을 장기간 유지할 것으로 확신하나, 재인상에 대한 기대는 감소하고 있어요. 선물 시장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다음 회의에서 다시 금리를 인상할 확률을 2% 미만으로, 12월까지의 확률은 약 20%로 보고 있어요.
-
Janus Henderson Investors의 Jim Cielinski 채권 부문 글로벌 책임자는 변동성을 견딜 수 있다면, 향후 6~12개월 동안 매력적인 금리와 자본 가치 상승의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어요.
-
장기 국채는 전통적으로 시장 변동성, 지정학적 불안정 시기에 안전자산의 역할을 해왔는데요. 일부 투자자들은 주식과 같은 위험 자산에서의 잠재적인 하락으로부터 포트폴리오를 보호하기 위해 채권을 매수하고 있어요.
-
Vanguard의 Ales Koutny 글로벌 채권 부문 책임자는 단기 전망은 불확실하나 현재 금리 수준에서 채권의 위험 대비 수익은 상당히 괜찮은 수준이라고 언급했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콘텐트리중앙, 두 분기 연속 흑자 I am 기대해요🙏 |
|
|
오늘은 콘텐트리중앙의 3분기 실적과 전망 살펴볼게요.
📌 3분기 흑자
콘텐트리중앙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2,484억 원, 영업이익 36억 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할 전망이에요. 방송은 자회사인 SLL과 ‘기적의 형제’를 제외한 방영작 전체가 넷플릭스 선판매되며 직전 분기에 이어 견조한 실적 기록할 것으로 보여요. 연결 자회사들은 ‘D.P S2’ 반영에도 불구하고 'Wiip'의 작품 납품 부재 영향으로 부진한 실적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요. 극장(메가박스)는 개봉작 흥행 부진 영향으로 성수기 효과를 누리지 못했으며, 지난 4월 개봉한 스포츠 코미디 영화 ‘드림’ 관련 손실 인식되며 수익성 하락 전망이에요. 다만, 4분기에 인식될 것으로 예상했던 범죄도시3 관련 투자, 제작 수익이 3분기에 인식되며 직전 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연결 흑자를 기록할 것 같아요.
🙌 체질 개선세에 주목! 여전히 실적 변동성이 큰 상황이지만, 그래도 조금씩이나마 체질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해요. ‘선판매-후편성’ 전략의 효과로 경쟁력 높은 콘텐츠 중심 편성을 통해 작품당 수익성을 높여가고 있고, 'Wiip'은 미국 작가 파업이 공식적으로 종료됨에 따라 내년 딜리버리 작품 증가하면서 수익성 개선이 기대돼요. 극장(메가박스)과 플레이타임도 견조한 실적을 기록하며 연결 수익성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돼요.
현재 콘텐트리중앙의 단기 모멘텀이 부재한 상황은 아쉽지만, 장기적인 호흡으로 접근하면 좋을 것 같아요. |
|
|
by Lee HyunJi
E-mail: hjlee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2024 예산안 및 기금운용 계획안 정부 시정연설 및 삼성전자 실적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은행주를 눈여겨 봐도 좋다고 했는데요. ChatGPT에 한국과 미국의 은행주 각각 한 가지씩만 추천해달라고 했어요! |
|
|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하나씩 은행주에 투자한다면 다음과 같은 종목을 추천합니다.
KB금융지주
한국 최대 금융지주회사로, 은행, 증권, 보험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KB금융지주의 가장 큰 장점은 탄탄한 자본력과 안정적인 수익구조입니다. KB금융지주의 자기자본비율은 17.8%로 국내 은행 중 가장 높으며, 순이자마진도 2.2%로 업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또한, KB금융지주는 국내 최대 은행인 KB국민은행을 자회사로 두고 있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JP모건체이스
미국 최대 은행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JP모건체이스의 가장 큰 장점은 글로벌 네트워크와 우수한 영업력입니다. JP모건체이스는 전 세계 60여 개국에 6,000여 개 이상의 지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JP모건체이스는 우수한 영업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 해당 종목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분석이 필요합니다.
추가로, 은행주는 경기 변동에 민감한 종목이기 때문에, 경기 전망에 대한 고려도 필요합니다. 현재 세계 경제는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경기 침체 우려 등 다양한 악재에 직면해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시 이러한 악재에 대한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은 13~20도로 흐린 하루예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