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1.06. (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하이브가 3분기에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하이브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성장을 위해서는 수요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중요해요. 생산성이 늘어나면 성장이 견고해지고, 물가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요.
👏 노동시장 Good
최근 미국 생산성이 개선되고 있어요.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비농업 생산성은 전 분기 대비 +4.7% 상승했고, 전년 대비 +2.2% 상승했는데요. 이는 2020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며, 생산성 향상은 노동시장의 효율성 향상을 의미하죠. 또한, 3분기 단위 노동 비용은 전 분기 대비 0.8% 감소했는데요. 이는 실질적인 임금 상승 압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전년 대비 1.8%로 연준의 물가 목표인 2%를 밑돌았어요.
***단위 노동 비용: 한 단위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드는 노동 비용
😎 기업실적 Good
생산성이 임금 상승 압력을 웃돌면 기업 이익마진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요. 실제로 지난주 금요일 새벽에 발표된 미국 기업실적을 보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업체들의 실적이 예상을 뛰어넘었고, 주가도 긍정적으로 반응했어요. 예컨대 올해 -30% 넘게 하락한 파라마운트(Paramount) 주가는 하루 만에 +10% 올랐고, 올해 -33% 하락한 펠로톤(Peloton) 주가도 매출이 예상치를 웃돌며 +12% 상승했어요. 빅테크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올해 부진했던 업체들의 주가가 오르며 모처럼 반등세를 보였어요.
이번에 보여준 생산성의 개선은 올여름 이후 이어져 온 주가 하락이 장기화하지는 않을 가능성을 시사해요. 생산성이 임금 상승 압력을 웃돌 때 기업 이익마진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기업 실적 개선으로 이어져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368.34pt ▲25.22
KOSDAQ 782.05pt ▲9.21 |
|
|
KOSPI와 KOSDAQ 모두 상승 마감했어요. KOSPI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했는데요. 11월 FOMC의 호재 영향력이 지속되고, 미국 국채 금리 레벨 하락이 가시화되면서 증시에 우호적인 투자 환경이 조성되었어요. 현재 거래 중인 유가증권시장 전체 종목의 75% 종목이 상승했고, 업종별로는 화학(+2.66%), 철강 및 금속(+1.58%), 건설업(+1.56%) 등이 올랐어요. 반면 의약품(-0.24%), 보험(-0.08%) 등은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인터넷대표주(+6.11%) / AI챗봇(+4.38%) / 지하도로(+3.95%) / 인공지능(+3.60%)
From 5 days ago: 인공지능(+11.58%) / AI챗봇(+10.21%) / HBM(+10.20%) / 로봇(+9.52%)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상승 #고용지표 #노동과열완화 #국채금리급락 |
|
|
😆 미국 물가 상승을 자극하던 노동시장의 과열이 식어가고 있음을 가리키는 고용 지표가 나오면서 증시가 강세를 보였고, 국채 금리가 하락했어요. 이날 발표된 미국 비농업 일자리 증가 폭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준의 금리 인상이 사실상 종료됐다는 전망에 힘이 실렸어요.
😀 애플은 전날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주가가 -0.52% 하락했어요. 한편 온라인 여행 플랫폼 익스피디아와 미디어 기업 파라마운트 글로벌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 발표에 주가가 각각 +18.84%, +15.44% 크게 올랐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버크셔_해서웨이 #주식매각 #현금 #사상최고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ARKK(+5.6%), XBI(+4.7%), ECH(+4.5%)
- Losers: UGA(-1.8%), USO(-1.7%), URA(-1.5%)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ARKK(+18.6%), ITB(+13.1%), XBI(+11.4%)
- Losers: USO(-4.4%), UGA(-4.1%), DBC(-1.3%)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CHINA, REAL ESTATE, CHINA INTERNET, BIOTECH, SOUTH AFRICA
- 하락 ETF 키워드: OIL, ENERGY, DOLLAR, GOLD, JAPAN
|
|
|
-
버크셔 해서웨이가 3분기에 현금과 국채 보유액을 1,572억 달러로 늘려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어요. 이는 지난 분기 대비 약 100억 달러 증가한 수치인데요.
-
지난 1년 동안 상장 주식을 거의 400억 달러 가까이 처분하며 현금을 확보해 왔어요. 이는 주가 하락과 금리 상승으로 인한 투자 환경 악화에 따른 조치로 분석돼요.
-
주식 포트폴리오 가치는 3,190억 달러로 하락했어요. 이는 애플 주가 하락으로 인해 애플 지분 가치가 200억 달러 이상 감소한 영향이 커요.
-
보험 투자로부터의 이자 수입이 3분기에 17억 달러로 증가해 지난 12개월 동안 총 51억 달러로 증가했다고 밝혔어요. 이는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인한 것으로, 버크셔가 지난 3년 동안 보유 현금으로 벌어들인 총이자 합산 금액을 초과하는 수준이죠.
-
3분기에 11억 달러 상당의 자사 주식을 매입했다고 밝혔어요. 이는 2분기 14억 달러보다 감소한 수치이지만, 8, 9월에 자사 주식 매수세가 가속화된 것으로 볼 수 있어요.
-
운영 사업 이익은 41% 상승한 108억 달러를 기록했어요. 이는 보험 사업부의 인수 이익이 24억 달러 규모에 달한 영향이죠.
-
올해 첫 9개월 동안 5.9억 달러 규모의 재난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어요. 이는 전년 동기 39억 달러보다 감소한 수치예요.
-
캘리포니아, 오리건주의 산불로 인한 보험 지급금에 대해 14억 달러의 비용을 책정했어요. 이를 통한 산불 관련 총 비용은 24억 달러 규모에 달해요.
-
전체 실적은 주식 포트폴리오 가치 하락으로 인해 악화했고, 회사는 128억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어요. 이는 클래스 A의 주당 8,824달러의 손실이며 전년 동기 28억 달러의 순손실 대비 증가한 수치예요.
-
다만, 버크셔의 CEO 워런 버핏은 오랫동안 순이익 수치가 무의미하다고 언급한 바 있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하이브가 3분기에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어요.
👍 실적 신기록
하이브의 3분기 매출액은 5,379억 원, 영업이익은 727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어요. 특히 앨범 매출이 외형 성장을 견인했는데요. 뷔와 뉴진스의 신보 판매 호조에 더해, 세븐틴 일본 첫 베스트 앨범 판매의 호조까지 이어지며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어요. 또한, 4분기 발매 예정인 음반 일부의 해외 선주문 물량도 3분기 매출로 선반영되어(200억 원) 앨범 매출 성장을 이끌었어요. 내년에는 BTS의 입대로 인한 완전체 활동 공백과 멤버십 플러스의 출시 지연으로 실적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탄탄했던 3분기에 이어 4분기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여요. 또한, 내년 중으로 가시화될 이벤트도 다수 준비하고 있죠.
🎶 기분 좋은 전망
글로벌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는 3분기 기준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1,050만 명을 달성했어요. 이는 SM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들의 입점으로 사용자 풀을 확대했기 때문인데요. 위버스-위버스샵 통합, by Fans 등 사용자 편의성 개선과 수익화 사업을 순차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내년 중 멤버십 플러스도 출시할 예정이죠. 또한, 11월부터 빌리프랩이 연결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아티스트 IP가 한층 다채로워질 전망이며, 인수한 미국 레이블(BMLG, QC)의 음원 매출 기여도가 높아지며 가시적인 성과도 보이고 있어요. 멀티 레이블과 레이블 인수 전략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으며 다양한 분야로 음악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나가는 점도 주목할 만해요.
***BMLG: 미국의 대표적인 컨트리 음악 레이블. 테일러 스위프트, 캐서디 데이비스, 칼리 레이 젭슨 등이 소속되어 있어요.
***QC: 미국의 힙합 레이블로, 미고스, 릴 나스 엑스, 릴 우지 버트 등 인기 힙합 아티스트가 소속되어 있어요.
하이브가 올해 씨를 뿌리며 투자의 시기를 보냈다면, 다가오는 내년은 씨를 수확하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을 것 같네요.
|
|
|
by Lee HyunJi
E-mail: hjlee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일본은행(BOJ)의 금융정책결정회의 의사록 공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생산성이 입금 상승 압력을 웃돌고 있는 상황을 다뤘는데요. ChatGPT에 이럴 때 주목할 산업과 주요 기업을 물어봤어요. |
|
|
생산성이 임금 상승 압력을 웃돌 경우, 기업 이익마진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음과 같은 산업과 기업에 주목해 볼 수 있습니다.
- 제조업: 생산성이 임금 상승 압력을 웃돌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며, 자동화, 로봇화 등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서비스업: 디지털 전환, 인공지능 등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소비재 업종: 경기 변동에 민감한 업종이지만, 생산성이 임금 상승 압력을 웃돌 경우, 경기 회복에 따른 매출 증가로 이익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위와 같은 상황에서 주목할 만한 기업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있습니다.
- 제조업: 삼성전자 (반도체), 현대자동차 (자동차), LG전자 (가전제품)
- 서비스업: 네이버 (검색, 쇼핑), 카카오 (메신저, 금융), 쿠팡 (전자상거래)
- 소비재 업종: 롯데쇼핑 (유통), CJ제일제당 (식품),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물론, 생산성의 개선과 기업 이익 개선은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기업들에 투자하기 전에 기업의 재무 상황과 성장 가능성 등을 자세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Elena von Montenegro (1913)
Eduardo Gioja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비가 내리고 강한 바람이 불어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