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2.26. (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이번주 The Buzz는 평소보다 귀여운 길이로 찾아뵐 예정입니다. 오늘 투자Story에서는 2024년도 배터리 산업 전망에 대해 다룹니다.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다가오는 2024년 배터리 산업은 어떨지 전망 살펴볼게요.
📌 2024 배터리 산업 핵심 이슈
전기차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는 수요를 바탕으로 성장 산업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어요. 다만, 경기 둔화로 인해 소비자들의 소비 여력이 줄어들고, 완성차 업체들의 판매 의지가 약화할 수 있어 전기차 판매 성장세가 다소 둔화할 수 있어요. 또한, 경기 둔화로 수요 성장 폭이 커지지 않는다면, 배터리 업체들의 공격적인 증설 속도를 수요가 따라가지 못할 수도 있어요. 이에 따라 2024년은 전기차 판매 성장이 둔화하고 배터리 가격이 지속 하락하며 업종 불확실성이 확대될 시기로 전망되는데요. 따라서 배터리 기업들은 생산원가 절감, 가격 인하를 추진 중이며, 1) 소재, 2) 구조에서 기술 혁신이 요구되는 상황이에요.
💫 기술 트렌드
- 소재: 양극재는 배터리 성능과 에너지 밀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소재인데요. 지금까지는 에너지밀도를 높이기 위해 NCM 양극재를 중심으로 소재 개발이 집중됐어요.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경제성, 안정성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면서 다양한 케미스트리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죠. 소재는 대부분 완성차 OEM들이 LFP 채택을 발표한 상황이며, K-배터리 기업들은 LFP, LMFP, 실리콘 음극재 생산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전망이에요. CATL, Gotion 등 중국 주요 기업들을 중심으로 LMFP 생산 확대가 전망되는데, 국내 기업들도 LMFP 개발을 시도하며 시장에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에너지밀도를 높이기 위해 실리콘 음극재 채택이 본격화될 것으로 판단돼요.
- 구조: 배터리 구조는 기존과 동일하게 최적화를 통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트렌드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요. CTP, CTC 등 팩 구조의 중요성이 주목받을 것 같고, LG에너지솔루션, SK On도 CTP를 출시하며 시장에 대응할 것으로 예상돼요. 배터리 업계는 표준화되어 있는 모듈에서 탈피해 CTP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장기적으로 완성차와 공동 설계를 통해 CTC 배터리 생산 협력을 시도할 전망이에요. 배터리 통합 기술 발전으로 완성차 OEM과 배터리 업체 간의 발언권 싸움이 더욱 치열해질 듯해요.
배터리 산업 전망과 기술 트렌드 살펴보았는데요. 과연 TREND SETTER 기업은 어디인지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세요!
|
|
|
by Lee JaeIl
E-mail: lee.jae-il@eugenefn.com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99.51pt ▼0.51
KOSDAQ 854.62pt ▼4.82 |
|
|
지난 22일(금) KOSPI, KOSDAQ 모두 하락했어요. 대형주가 주도하는 KOSPI 대비 상승업종이 미미했는데요. 간밤 미국 증시 영향에 중소형 반도체주가 상승하고, 별다른 주도 업종 없는 종목 장세가 펼쳐졌어요. 업종별로는 기계(-1.91%), 서비스업(-0.83%), 철강및금속(-0.80%) 등이 하락했고, 오른 업종 지수는 운수창고(1.96%), 의약품(0.64%), 전기·전자(0.39%) 등 순이었다.
|
|
|
From Yesterday: 페라이트(+5.69%) / 희귀금속(희토류 등)(+4.71%) / 바이오시밀러(+2.38%)
From 5 days ago: 제대혈(+12.77%) / CXL(+9.11%) / 바이오시밀러(+8.73%) / 페라이트(+8.07%)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22일 미국 증시는 혼조세 마감했어요. 이날 발표된 11월 근원 PCE(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 상승했는데요. 이는 2021년 4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PCE 가격지수 상승세가 둔화를 보이면서 내년 조기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졌어요.
😥 장 초반 상승세였던 증시는 나이키의 분기 실적 발표 후 흐름이 달라졌는데요. 이날 나이키는 내년 상반기 실적이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면서 주가가 -11.83% 급락했어요. 테슬라도 잇단 리콜 소식에 주가가 -0.77%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WGMI(+6.8%), IBRN(+4.8%), BDRY(+4.7%)
- Losers: SEA(-7.2%), CHIC(-6.6%), USDU(-6.4%)
🌕 최근 5일 상승
- Gainers: WGMI(+26.6%), BOAT(+10.6%), HYSA(+1.2%)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Bitcoin, Healthcare, Shipping, Medical, India
- 하락 ETF 키워드: Sky Cargo, China, Esports, Social Media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12월 달라스 연준 제조업 활동 발표가 있어요.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투자 Story에서 2024년 배터리 산업 전망을 살펴봤는데요. ChatGPT는 2024년 글로벌 시장에서 어떤 배터리 기업을 주목하는지 물어봤어요.
|
|
|
- LG Chem Ltd.: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시장을 위한 고성능 리튬 이온 배터리를 제공하는 선두 기업입니다.
- Tesla Inc.: 전기차 분야뿐만 아니라 Gigafactory를 통한 대규모 배터리 생산으로 배터리 기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Samsung SDI Co. Ltd.: 전기차 및 휴대용 전자기기용 리튬 이온 배터리의 주요 공급자로, 배터리 혁신과 공급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 GS Yuasa Corp.: 자동차 및 산업용 배터리, 특히 리튬 이온 기술 분야에서 일본의 선도 기업입니다.
- BYD Co.: 전기차 및 다양한 배터리 제품을 제조하는 중국의 대규모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 동향:
- 배터리 재활용: 2차전지 재활용 시장은 지속 가능성과 자원 효율성을 향한 산업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상당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환경 규제, 자원 효율성 필요성, 원자재 가격 변동 등이 성장을 주도합니다.
투자 고려 사항:
- 2024년 최고의 배터리 주식: 전기차, 재생 에너지 저장, 기타 혁신적 기술에 관여하는 성장 잠재력이 있는 배터리 주식에 주목할 것을 권장합니다. 새로운 배터리 기술을 개발하거나 배터리 생산에서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가진 기업들이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
기술 발전과 규제 변화로 시장이 지속적으로 진화함에 따라, 이러한 전망과 기업들의 전략적 위치는 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와 산업 관계자들은 최신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기술 혁신, 시장 수요, 규제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2차전지 시장과 관련된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My Uncle Daniel and his Family (1910)
Ignacio Zuloaga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3~6도로 큰 추위는 없어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