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2.28. (목)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2024년 철강산업 전망에 대해 다룹니다.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2024년 철강산업의 전망에 대해 살펴볼게요.
🙌 중국, 바닥은 통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각국의 부양책에 힘입어 철강 수요가 급증했지만, 2023년에는 중국의 경기 부진과 높은 금리로 인해 그 수요가 급격히 둔화했어요. 이에 따라 중국 정부가 하반기 경기 방어를 위해 다양한 부동산 정책을 시행했지만, 중국의 부동산 투자는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는데요. 이는 도시화의 진전으로 인해 중국의 공실률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어요. 또한, 중국 철강 수요 자체도 포화 상태에 도달했을 것으로 보여요. 따라서 2024년 중국의 철강 수요는 소폭 회복되거나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돼요. 다만, 중국 이외 지역의 철강 수요는 상승 여력이 높은데요. 특히, 경제 성장이 기대되는 동남아와 철강 수요의 반등이 기대되는 유럽에 수출할 수 있는 업체에 긍정적인 흐름이 기대돼요.
💬 달라지는 환경 철강산업 본업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변화하고 있는 환경 세 가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 상투적이지만 유효한 거시적 변화, 즉, ①탈세계화, ②신사업, ③탄소중립에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죠. 우리는 다극화되어 가며 에너지원을 전환하는 세계로 나가고 있는데요. 철강/금속과 같이 자본 규모가 큰 기업들은 구축 중인 전략과 자본 배치에 따라 미래의 이익 규모가 달라질 가능성이 높아요. 주가는 이러한 미래 이익을 반영하기 때문에 미래에 “잘” 대비하고 있는 기업을 선별할 필요가 있죠. 특히, 철강/금속 섹터 내 기업들이 성장하는 시장으로 진입과 더불어, 신사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 탈탄소를 위한 대비를 진행 중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
서서히 회복할 시황에 앞서 주가도 함께 움직일 것으로 기대돼요. 관련 기업으로는 어떤 곳이 있는지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세요! |
|
|
by Lee YuJin
E-mail: eugenelee@eugenefn.com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613.50pt ▲10.91
KOSDAQ 859.79pt ▲11.45 |
|
|
KOSPI, KOSDAQ 모두 상승했어요. KOSPI는 미국 증시 훈풍과 배당제도 개선 등의 영향으로 연말 배당락일에도 개인과 외국인의 순매수세에 상승했어요. KOSDAQ은 KOSPI 대비 적은 배당락 영향에 하루 만에 반등하며 연말 랠리를 지속했는데요. 제약, 바이오와 2차전지, 포스코그룹주가 상승하는 가운데 인텔 투자 호재에도 반도체는 쉬어가는 분위기가 연출됐어요. 업종별로는 엇갈렸어요. 철강금속(+2.06%), 전기전자(+1.33%), 서비스업(+1.18%), 의약품(+1.04%) 등은 올랐지만, 통신업(-3.33%), 보험(-2.45%), 증권(-1.92%), 건설업(-1.87%), 섬유의복(-1.67%), 금융업(-1.62%) 등은 부진했어요. |
|
|
From Yesterday: 리튬(+3.33%) / 조선(+2.99%) / HBM(+2.79%) / 인터넷대표주(+2.70%)
From 5 days ago: 바이오시밀러(+8.12%) / 토스(+6.94%) / 줄기세포(+6.29%)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연말을 맞아 한산한 거래가 진행되는 가운데 혼조세로 마감했어요. 특별한 이슈 없이 거래량이 지난주의 절반 수준으로 줄면서 추세가 지속되는 양상이에요.
😮 테슬라는 모델Y를 전면 개조한다는 보도가 전해지면서 주가가 +1.89% 올랐고, 뉴욕타임스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를 상대로 저작관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2.78% 오르며 강세를 보였어요. 미국 제약기업 사이토키네틱스는 비후성 심근증 치료제인 아피캄텐의 3상 임상에 대한 긍정적 결과를 발표하면서 주가가 +82% 이상 폭등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BKCH(+12.5%), BDRY(+4.5%), PSCH(+3.2%)
- Losers: TIME(-16.9%), EMFQ(-4.2%), MEDX(-4.1%)
🌕 최근 5일 상승
- Gainers: WGMI(+39.4%), DAPP(+31.7%), BKCH(+29.5%)
- Losers: APLY(-1.6%)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Blockchain, Shipping, Health Care, Aluminum, Metals
- 하락 ETF 키워드: Online Retail, Medical, Harvest, REIT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국회 본회의 개최가 있어요.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투자 Story에서 철강산업 전망을 살펴봤는데요. 특히, '경제 성장이 기대되는 동남아와 철강 수요의 반등이 기대되는 유럽에 수출할 수 있는 업체'에 대한 내용이 나왔죠. ChatGPT는 어떤 기업을 주목하는지 물어봤어요.
|
|
|
'경제 성장이 기대되는 동남아와 철강 수요의 반등이 기대되는 유럽에 수출할 수 있는 업체'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있습니다.
- 동남아
- 현대제철: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으며, 현지 철강 시장 점유율도 높음.
- 포스코: 인도네시아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으며, 현지 철강 시장 점유율도 높음.
- 세아그룹: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으며, 현지 자동차, 조선, 건설 등 분야에 철강 제품을 공급.
- 동국제강: 베트남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으며, 현지 자동차, 조선, 건설 등 분야에 철강 제품을 공급.
- 유럽
- 현대제철: 유럽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으며, 현지 자동차, 조선, 건설 등 분야에 철강 제품을 공급.
- 포스코: 유럽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으며, 현지 자동차, 조선, 건설 등 분야에 철강 제품을 공급.
- 동국제강: 유럽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으며, 현지 자동차, 조선, 건설 등 분야에 철강 제품을 공급.
- KG동부제철: 유럽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으며, 현지 자동차, 조선, 건설 등 분야에 철강 제품을 공급.
- 현대비앤지스틸: 유럽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으며, 현지 자동차, 조선, 건설 등 분야에 철강 제품을 공급.
이들 기업은 동남아와 유럽의 경제 성장과 함께 수출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동남아의 경우 인프라 투자 확대, 유럽의 경우 친환경차 등 신성장 산업의 육성으로 철강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구체적인 투자 여부는 각 기업의 사업 전략, 재무 상황,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
|
투자Story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Slapende boer (1925)
Frits van den Berghe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2~6도로 큰 추위는 없지만 흐려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