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4.02.06. (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네이버가 2023년 4분기에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네이버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발표된 미국의 1월 고용 보고서는 3년 연속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어요.
📈 강한 고용과 증시
1월에 비농업 취업자 수가 시장 예상치의 두 배에 달하는 35.3만명 증가했고, 시간당 임금도 2022년 3월 이후 가장 빠른 속도인 전월 대비 0.6% 상승했어요. 또한, 미국 10년 국채금리가 15bp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주 후반 주가는 오히려 상승했죠.
📌 생산성과 인구의 증가
미국의 경제적 배경에서 주목할 점은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 능력, 생산성 향상에 따른 실질 노동비용의 제한적 상승, 이민자 증가로 꾸준한 노동력 공급인데요. 이는 기업 이익마진의 유지 가능성을 높이며, 생산성과 인구 모두의 증가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해요.
AI의 주도하에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미국 증시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지칠 때도 되었는데요. 현재 미국 증시는 버블의 초입 또는 Melt up의 분위기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91.31pt ▼24.00
KOSDAQ 807.99pt ▼6.78 |
|
|
달러 강세와 채권금리 반등으로 외국인 투자자가 주식시장에서 이탈하면서 KOSPI가 약세를 보였고, 최근 상승했던 금융 부문에서는 차익실현이 일어났어요. 특히 낮은 PBR(주가순자산비율) 업종이 강세를 보이던 KOSPI는 외국인 자금 유출로 KOSDAQ 대비 낙폭이 컸는데요. 업종별로는 운수장비(+1.15%), 종이목재(+0.90%), 화학(+0.49%) 등이 상승했고, 운수창고(-2.43%), 서비스업(-2.02%), 증권(-1.61%) 순으로 하락 폭이 컸어요. |
|
|
From Yesterday: 상반기신규상장(+6.08%) / 초전도체(+4.44%) / 애플페이(+2.20%) / 출산장려(+2.14%)
From 5 days ago: 손해보험(+20.58%) / 생명보험(+19.39%) / 은행(+12.40%) / 자동차대표주(+10.57%)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파월 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강조하자 국채금리가 급등하면서 증시가 하락했어요. 또한, 일부 기업들의 실적 부진도 부정적 영향을 줬어요.
😔 테슬라는 독일 소프트웨어 업체 SAP의 회사 차량 구매리스트에서 제외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3.65% 하락했고, 맥도날드는 4년 만에 처음으로 시장 기대에 못 미친 분기 매출액을 발표해 주가가 -3.73%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GA(+3.5%), TUR(+2.3%), FXI(+2.2%),
- Losers: PBW(-4.2%), REMX(-3.7%), ARKK(-3.1%)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UNG(+3.4%), URA(+3.3%), EWY(+3.3%)
- Losers: REMX(-12.2%), LIT(-9.0%), PBW(-8.9%)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CHINA, MOMENTUM, HEALTH CARE, SEMI, TURKEY
- 하락 ETF 키워드: CLEAN ENERGY, METALS, LITHIUM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네이버의 2023년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54조원, 영업이익 4,055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어요.
👏 4분기 리뷰
- 커머스: 브랜드솔루션, 도착 보장 서비스 수수료 인상 효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고,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는 올해까지 이어질 전망이에요.
- 콘텐츠: 웹툰 부문 수익성이 개선됐으며, 올해에도 마케팅 효율화 등으로 수익성 개선은 지속될 전망이죠.
- 영업비용: 인건비 상승, 데이터센터 완공, AI 장비 투자에 따른 상각비 증가로 인프라 비용이 증가했으나, 매출액 대비 인프라 비용은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해요.
💫 수익성 강화의 결실
광고 매출의 반등세가 아직 뚜렷하지 않다는 우려가 있지만, 올해는 외형 성장의 둔화에 대비하여 커머스와 콘텐츠 중심의 수익성 강화에 초점을 맞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돼요. 또한, 생성 AI 서비스의 확대 및 플랫폼 확장이 본격화되는 것도 긍정적이죠.
커머스와 콘텐츠 중심의 수익성 강화 노력이 결실을 맺을 것으로 예상하며, 이에 따라 주가 상승 가능성도 높아 보이니 지속해서 관심 가져봐야겠어요! |
|
|
by Jung UiHoon
E-mail: uihoon060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Insight에서 언급한 '버블의 초입'과 'Melt up의 분위기' 중 어느 쪽에 더 가능성이 있는지 물어봤어요.
|
|
|
-
버블의 초입은 일반적으로 자산 가격이 내재 가치에 비해 비합리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상승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의미하며, 이는 과도한 투자, 높은 레버리지, 비현실적인 기대감에 의해 주도됩니다.
-
Melt up의 분위기는 시장이 강력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이 놓칠 기회에 대한 두려움(FOMO)으로 주가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Melt up은 강한 경제 지표, 회사 실적 개선, 낮은 이자율 환경 등 긍정적인 경제적 배경에서 발생합니다.
미국의 강한 고용 지표와 시간당 임금 상승, 그리고 높은 생산성 향상은 경제의 기초가 견고함을 시사합니다. 이는 Melt up의 분위기를 지지하는 요소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 버블의 초입은 일반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은 가격 상승에 기반하는데, 현재 상황에서는 이러한 비합리적 가격 상승의 명확한 증거보다는 경제적 기초 요소가 더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은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경제 지표와 글로벌 시장 동향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Band concert (1901)
Joseph Pennell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2~4도로 오늘과 비슷해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