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4.04.17. (수)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하이브가 1분기에는 다소 부진했지만, 2분기 주요 아티스트들의 활동이 본격화되면서 역대급 실적을 낼 것으로 보여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하이브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미국의 소비 호황이 지속되면서 미국 국채 수익률이 급등했어요.
😮 미국의 강력한 경기
최근 발표된 미국의 3월 소매 판매 지표가 전월 대비 0.7% 증가했어요. 특히 주요 상품들의 소비 증가율은 1.1%로, 거의 1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는데요. 해당 지표는 미국 실물경제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중요한 버팀목으로, 종합적인 경기 흐름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져요. 즉, 현재 미국 경제는 연착륙도 경착륙도 아닌 무착륙(no landing)에 가까운 강력한(strong) 추세죠. 문제는 금리의 상승인데요. 다행히 유가가 추가 급등하지는 않았지만, 전쟁과 같은 불안정한 상황이 금리 상승을 동반할 경우, 이는 자산 가격에 부담을 줄 수 있어요.
🤔 5% 넘어설 정도는 아냐
하지만 10년물 미국 국채금리가 5%를 넘어설 정도는 아니에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5%에 육박했던 지난 10월, 미국 3분기 성장률은 직전 분기 대비 4.9%, 전년 대비 3.1%였는데요. 현재 Atlanta GDP Now에서 집계한 1분기 성장률은 직전 분기 대비 2.8%로, 지난 3분기 4.9%보다 모멘텀이 약해요. 한편, 인플레이션율이 지난 4분기에 비해 상승하고 있지만, 지난 3~4분기와 비교했을 때 크게 다르지 않아요. 이를 고려하면 10년물 국채금리가 5%를 넘기기는 쉽지 않아 보여요.
전쟁 위험이 증가하고 금리 및 환율 부담이 지속하면서 주식시장이 안정을 찾기 어려운 상황인데요. 그럼에도 미국 경제는 여전히 버틸 여력이 남아 있어 금리가 추가로 폭등할 가능성은 낮아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주식시장은 하락이 아닌 조정 국면일 가능성이 높아 보여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609.63pt ▼60.80
KOSDAQ 832.81pt ▼19.61 |
|
|
KOSPI, KOSDAQ 모두 하락했어요. 이는 이란과 이스라엘 간의 충돌로 인한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국의 3월 소매판매 지표가 예상보다 높게 나온 영향 때문인데요. 또한,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00원선에 도달하면서 외국인의 자금 유입에 부정적인 영향도 미쳤어요. 업종별로는 의료정밀(-4.27%), 기계(-3.22%) ,운수창고(-3.20%), 전기전자(-3.14%), 철강및금속(-2.20%), 증권(-2.05%), 보험(-2.04%), 전기가스업(-2.04%)등의 대부분이 부진했고, 오른 업종은 음식료품(+0.14%)뿐이었어요.
|
|
|
From Yesterday: 초전도체(+1.48%) / 아스콘(+0.66%) / SPAC(-0.01%) / 편의점(-0.18%)
From 5 days ago: 전선(+3.48%) / 뉴로모픽 반도체(+1.88%) / 미용기기(+1.63%)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파월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이 좀처럼 잡히지 않아 현재의 고금리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고 경고했음에도, 증시가 급락하지 않고 혼조세로 마감했어요. 한편 기업들의 실적이 예상보다 좋게 나오면서, 증시가 크게 하락하지 않을 것이란 기대감도 존재해요.
😐 유나이티드헬스 그룹은 1분기에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하며 주가가 +5.22% 상승했고, 엔비디아는 AI 칩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에도 기대감이 지속되며 주가가 +1.64% 상승했어요. 한편 존슨앤존슨은 의료 기기 매출이 급증하면서 1분기에 실적 호조를 보였지만 주가는 -2.13%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KRBN(+3.3%), UGA(+1.1%), SMH(+0.8%)
- Losers: REMX(-3.0%), EIDO(-2.9%), LIT(-2.9%)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KRBN(+7.6%), UUP(+2.3%), UGA(+2.1%)
- Losers: TAN(-12.7%), PBW(-11.9%), QCLN(-10.6%)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SEMI, GOLD, MOMENTUM, SILVER, OIL
- 하락 ETF 키워드: CLEAN ENERGY, BRAZIL, METALS, LITHIUM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하이브가 1분기에는 다소 부진했지만, 2분기 주요 아티스트들의 활동이 본격화되면서 역대급 실적을 낼 것으로 보여요.
😋 2분기 최대 실적 전망
1분기 매출액은 3,545억 원, 영업이익은 127억 원으로 시장 전망치에 못 미칠 것으로 보여요. 르세라핌과 제이홉의 앨범 발매가 있었지만, 신인 두 팀(투어스, 아일릿)의 데뷔로 비용 부담이 높아진 영향인데요. 하지만 2분기에는 주요 아티스트 활동이 차례로 이어지며, 역대 최대 실적 기록할 것으로 전망해요. 특히 소속 아티스트 대부분이 컴백하면서 신규 앨범 판매 호조를 예상하며, 대규모 투어와 팬 미팅까지 예정되어 있어, BTS 부재에도 탄탄한 이익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돼요.
🌱 기대감 Up Up 최근 유니버셜뮤직그룹(UMG)과 유통계약으로 하이브 산하 해외 레이블(QC, BMLG)의 음원 수익성 개선도 기대돼요. 하이브 음원 매출의 절반가량이 해외 레이블에서 발생하는 점을 고려하면, 수수료율 개선에 따라 연결 실적에도 유의미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여요. 또한, 최근 데뷔한 신인 아티스트의 성과가 빠르게 가시화되며 저연차 아티스트의 실적 기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올해 공개될 위버스 멤버십 플러스에 대한 기대감도 있어요.
2분기부터 가파른 실적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신인 라인업의 빠른 이익 기여, 유니버설뮤직그룹(UMG)과 파트너십 등 기대 요소가 다수 존재해요. 앞으로 실적 성장세에 관심 가져봐야겠어요. |
|
|
by Lee HyunJi
E-mail: hjlee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유로존 3월 (근원)소비자물가지수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미국의 국채 금리' 내용을 살펴봤는데요. 내용 중 전쟁 상황에서 금리 상승이 동반되는 경우가 나왔는데, 그런 상황에서 주식시장은 어떤 영향을 받는지 물어봤어요.
|
|
|
-
리스크 회피 심리 증가: 전쟁과 같은 지정학적 불안은 투자자들의 리스크 회피 심리를 증가시키며, 안전 자산으로의 자금 이동을 유도합니다. 이 때문에 주식과 같은 위험 자산에서 이탈하여 국채와 같은 안전 자산으로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며, 국채 수익률의 상승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
자본 비용 증가: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들의 자본 비용이 증가합니다. 즉, 기업들이 자금을 빌리는 비용이 더 많이 들게 되어 투자 및 확장 계획을 축소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이익 전망을 하락시키고, 결과적으로 주식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환율 변동성 증가: 전쟁 상황에서는 통상적으로 환율 변동성이 증가합니다. 이는 다국적 기업들의 수익 예측을 더 어렵게 만들며, 특히 수출 중심의 경제에서는 기업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 압력: 전쟁은 자원의 공급망을 방해하고, 특정 자원에 대한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압력은 중앙은행이 금리를 상승시켜 대응할 수 있게 하며, 높은 인플레이션과 금리는 소비와 투자를 둔화시켜 경제 성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투자 심리의 변화: 금리 상승과 전쟁의 불확실성은 투자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증가시킵니다. 투자자들이 더 방어적인 자세를 취하며, 시장은 더 큰 폭의 가격 변동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Portrait of Emperor Napoleon I (1805 - 1815)
François Gérard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11~26도이며 공기는 안 좋아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