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4.04.18. (목)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에스엠이 1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2분기부터 매 분기 계단식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에스엠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글로벌 증시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위험과 미국의 금리 상승으로 시름에 잠겨있어요.
📉 달러 강세와 흔들리는 증시
KOSPI는 지난 3월 26일, 2,757pt를 기록한 이후 -5.4% 하락했어요. 이에 따라 지난 2월 6일 이후 최저 수준으로 지수가 내려앉았어요. KOSDAQ은 4월에만 -8% 하락했는데요. 이러한 상황의 주요 원인은 원화가 약세인데요. 원/달러 환율은 2022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인 1,400원대에 거의 육박했으며, 이는 국내 자산에 대한 안정성이 흔들린다는 신호로 볼 수 있어요.
🔎 환율 변동에 유리한 업종 위주 대응
원화가 불안한 상황에서는 주식시장도 안정적으로 움직이기 어려운데요. 이를 피할 수 있는 대안이 많지 않지만, 그나마 원화 약세에 상대적으로 둔감하거나, 원화 약세 상황에서 실적이 향상되는 업종을 대안으로 볼 수 있어요. 2020년 이후 원/달러 환율 변화(전년 대비 증감)에 대한 분기별 영업이익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자동차, 호텔레저, 필수소비 업종은 원화 약세 시 (+)로 나타났어요. 반면, 반도체, 유틸리티, 철강 업종의 영업이익은 악화했어요.
금리와 환율이 모두 불안정한 상황에서 안정적인 투자가 쉽지 않아요. 이럴 때는 원화 약세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업종을 중심으로 보수적인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84.18pt ▼25.45
KOSDAQ 833.03pt ▲0.22 |
|
|
KOSPI가 미국 물가 불안과 중동 위기 등 악재가 겹치면서 두 달 만에 2,500선으로 하락했어요. 최근 발표된 미국의 3월 물가 지표 상승이 예상치를 초과한 가운데, 이에 더해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으로 금리 인하 기대감까지 후퇴되며 증시 불확실성이 확대됐어요.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2.98%), 기계(-2.24%), 유통업(-1.69%), 철강및금속(-1.55%), 운수장비(-1.31%), 보험(-1.28%), 건설업(-1.11%) 등의 낙폭이 컸던 반면 섬유의복(+2.62%), 의료정밀(+0.45%), 운수창고(+0.44%) 등의 업종은 상승했어요.
|
|
|
From Yesterday: 중국기업(+4.76%) / 유리기판(+3.29%) / 상반기상장(+2.93%) / 광고(+2.83%)
From 5 days ago: HBM(+4.92%) / 중국기업(+3.43%) / MLCC(+3.36%) / 전선(+3.14%)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하락 #금리인하지연 #ASML #반도체주급락 |
|
|
😰 금리 인하가 지연될 가능성이 시장에 반영되면서 증시가 하락했어요. 전일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을 사실상 인정함에 따라, 시장에서는 올해 내에 금리가 인하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는 분위기예요.
😧 이날은 특히 ASML이 어닝쇼크를 기록하면서 엔비디아(-3.87%), ARM(-11.99%), AMD(-5.78%)를 비롯해 반도체주들의 하락 폭이 컸는데요. ASML은 TSMC, 삼성전자, 인텔에 장비를 공급하고 있는데, 장비 판매가 줄면서 반도체 산업의 회복이 예상보다 더딜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듯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JETS(+3.9%), XLU(+2.1%), REMX(+1.8%)
- Losers: UGA(-3.1%), SMH(-3.1%), SOXX(-3.0%)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KRBN(+6.6%), DBB(+2.4%), ASHR(+2.1%)
- Losers: ARKK(-9.4%), PBW(-9.3%), VNM(-9.0%)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METALS, GOLD, CHINA, JETS, AGRICULTURE
- 하락 ETF 키워드: SEMI, OIL, VIETNAM, CLEAN ENERGY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에스엠이 1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2분기부터 매 분기 계단식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해요.
🙌 점점 더 좋다
1분기 매출액은 2,245억 원, 영업이익은 235억 원으로 시장 전망치를 소폭 밑돌 것으로 전망해요. NCT Dream 및 태용과 텐의 솔로, WISH 등 NCT 신규 앨범 판매 호조와 더불어 NCT 127, 샤이니, SM Town 등 소속 아티스트들의 일본 돔 투어가 이어지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실적 성장이 있을 것으로 보여요. 특히 2분기에는 라이즈, 에스파 등 주요 아티스트 컴백이 예정되어 있어, 1분기를 저점으로 분기별 계단식 실적 성장이 이어질 듯해요. 또한, 올해는 주요 아티스트의 글로벌 활동도 활발히 이어갈 전망이에요.
💗 주목할 부분 라이즈의 성장세는 특히 주목할 만한데요. 음원 차트 역주행과 더불어 2분기 신규 앨범 발매와 데뷔 8개월 만에 10개 도시에서 첫 팬 콘서트를 진행할 예정이죠. 이렇듯 저연차 아티스트임에도 실적 기여도 높아지고 있는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어요. 또한, 올해 하반기에는 신인 걸그룹과 영국 보이밴드도 데뷔 예정인데요. 이를 통해 과거 에스엠의 약점이었던 저연차 아티스트 IP 부재를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요. 한편, 아티스트 공연 모객 규모 확대와 더불어 컴백 주기도 빨라짐에 따라 구조적인 실적 개선세도 기대돼요.
아티스트 라인업이 확대되면서 실적 기여도도 높아지고 있어요. 이에 따라 차근차근 실적 성장을 이루어나갈 것으로 보이니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해요. |
|
|
by Lee HyunJi
E-mail: hjlee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美 3월 기존주택판매 및 필라델피아 연은 4월 제조업활동지수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원/달러 환율' 내용을 살펴봤는데요. 내용 중 원화 약세 상황에서 실적이 향상될 수 있는 업종이 구체적으로 어떤 곳인지 물어봤어요.
|
|
|
-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업종: 원화 약세는 해외에서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 주어 수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자동차 업종의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의 판매 호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전자 및 반도체 업종: 글로벌 수요에 크게 의존하며, 환율 하락이 수출 가격 경쟁력을 높여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반도체는 특히 원가 대비 판매 가격이 환율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 화학 및 중공업: 이들 업종도 수출 중심이며, 원화 약세는 해외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호텔 및 레저 업종: 원화 약세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한국을 더 매력적인 여행지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호텔, 레저 및 관광 관련 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필수 소비재 업종: 이 업종은 일반적으로 내수 중심이지만, 일부 제품군은 수출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을 수 있습니다. 원화 약세는 이러한 제품의 해외 시장에서의 판매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A la Firaski (2021)
Fons Heijnsbroek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12~25도로 오늘과 비슷해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