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4.06.21. (금)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롯데렌탈이 최근 시장 상황과 사업 전망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 핵심 내용 살펴볼게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연일 강세를 보이는 미국 기술주만큼 주목할 만한 시장이 있는데요. 바로 인도예요.
📈 인도 시장의 강세
2019년 말부터 지금까지 미국 증시는 99% 상승했고, 중국 증시는 30% 하락했어요. 그런데 인도 증시는 무려 110% 상승했는데요. 인도 증시의 매력은 높은 경제 성장률, 기업 이익 증가율, 글로벌 공급망 전환의 수혜, 우호적인 인구 구조 등에서 찾을 수 있죠. 이에 따라 중국과의 격차도 빠르게 축소되고 있어요. 예를 들어, MSCI 신흥국 내 비중이 인도는 2020년 8%에서 현재 18%로 확대되었으나, 중국은 40%에서 27%로 줄었어요.
🙌 상승세 지속 전망
물론 인도 증시가 항상 상승하는 것은 아닌데요. 올해 S&P500가 15% 상승했지만, 인도 증시는 8.2% 상승에 그쳤죠. 또한, 최근 총선에서 모디 총리가 이끄는 인도국민당(BJP)이 기대만큼 압승하지 못하자, 6월 4일 인도 증시가 6% 급락하기도 했어요. 그러나 다른 야당과 연합을 하면서 인도 증시는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어요.
투자 시 미래 성장을 반영한다면, 선진국에서는 미국 기술주, 신흥국에서는 인도를 주목해야 할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807.63pt ▲10.30
KOSDAQ 857.51pt ▼3.66 |
|
|
전일 미국 증시 휴장으로 글로벌 거래량 및 변동성이 크지 않은 가운데 전기전자 대형주를 중심으로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KOSPI가 상승 마감했어요.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3.76%), 건설업(+1.55%), 운수창고(+1.53%), 종이목재(+1.51%), 의료정밀(+1.16%) 등이 오름세로 마쳤고, 음식료업(-1.09%), 의약품(-0.93%), 운수장비(-0.83%) 등은 하락했어요. |
|
|
✔ KOSPI
개인(-5,754) / 외국인(+4,834) / 기관(+1,672)
✔ KOSDAQ
개인(+1,412) / 외국인(-584) / 기관(-824) |
|
|
눈에 띄는 특징 섹터 👁️
From Yesterday: 피팅·밸브(+5.92%) / 해운(+3.95%) / 손해보험(+3.81%) / 종합물류(+3.53%)
From 5 days ago: 수산(+10.84%) / 생명보험(+9.55%) / 피팅·밸브(+7.67%) / 조선(+6.77%)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혼조세 #엔비디아약세 #지표부진 #금리인하기대유지 |
|
|
😐 엔비디아의 약세 속에 혼조세로 마감했어요. 한편 전반적인 지표 부진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유지되며, 시장은 연준이 9월에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어요. |
|
|
✔ NEW YORK
Dow 39,134.76(+0.77%)
S&P500 5,473.17(-0.25%)
Nasdaq 17,721.59(-0.79%)
Russell2000 2,018.30(-0.34%)
필라델피아 반도체 5,610.01(-2.69%)
VIX 13.31(+6.65%)
✔ KEY INDICATES
WTI $82.17(+0.7%)
금 선물 $2,732.80(+1.10%)
EUR/USD 1.0708(-0.37%)
10-Yr Bond 4.2540(+0.88%)
US Dollar Index 105.63(+0.36%)
원달러환율 1,384.6원(+2.8원)
✔ S&P500
Basic Materials +0.42%
Communication Services +0.50%
Consumer Cyclical +0.27%
Consumer Defensive -0.12%
Energy +1.27%
Financial +0.51%
Healthcare +0.22%
Industrials -0.16%
Real Estate -0.22%
Technology -1.45%
|
|
|
🗽 오늘의 특징주
- Super Micro Computer -0.26% 일론 머스크의 AI 스타트업 기업인 엑스에이아이가 슈퍼컴퓨터를 구축하는 데 공급사가 될 것이라는 소식에 급등했지만 상승세는 오래가지 못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SLV(+3.9%), PALL(+3.8%), COPX(+3.2%)
- Losers: UNG(-6.5%), TAN(-3.0%), QCLN(-3.0%)
🌕 최근 5일 상위/하위
- Gainers: EZA(+9.4%), SLV(+5.9%), USO(+4.8%)
- Losers: QCLN(-7.4%), PBW(-7.2%), TAN(-7.1%)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GOLD, SILVER, OIL, TAIWAN, COPPER
- 하락 ETF 키워드: SEMI, CLEAN ENERGY, SOLAR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롯데렌탈 #중고차렌탈 #수익성개선 #주주환원정책강화 |
|
|
롯데렌탈이 최근 시장 상황과 사업 전망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했어요. 핵심 내용 두 가지 살펴볼게요.
💰 중고차 렌탈 수익성 개선
롯데렌탈은 중고차 수익성 극대화 및 실적 변동성 완화를 위해 중고차 매각은 줄이고, 중고차 장기 렌탈 비중을 확대했어요. 비록 1분기에는 중고차 매각 대수 감소와 차세대 시스템 관련 비용 증가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2분기부터 중고차 렌탈 사업의 수익성 개선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실적 회복이 기대돼요. 특히, 3분기에는 역대 최대 실적이었던 900억원대 영업이익을 다시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요.
🌟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또한, 롯데렌탈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에 따라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정책 강화를 검토 중인데요. 배당뿐 아니라 자사주 매입 및 소각도 시행될 가능성이 있죠. 2023년 주당배당금은 1,200원으로, 수익률은 4.3%에 달해요.
중고차 렌탈 사업의 수익성 개선 효과가 확인되면서 실적 전망이 명확해질 것으로 보여요. 또한, 주주환원정책 강화를 통해 저평가 탈출의 계기가 마련되어 밸류업 본격화가 기대되니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겠어요. |
|
|
by Lee JaeIl
E-mail: lee.jae-il@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6월 S&P Global 서비스/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뜨거운 인도'에 대한 내용을 살펴봤는데요. 인도 증시의 주요 종목과 섹터를 확인해봤어요. |
|
|
-
정보기술 (IT): 인도는 IT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세계적인 강국입니다. Tata Consultancy Services (TCS), Infosys, Wipro 등이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
금융: 인도의 금융 부문은 은행, 보험, 자산 관리 등 다양한 하위 섹터를 포함합니다. HDFC Bank, ICICI Bank, State Bank of India 등이 주요 기업입니다.
-
소비재: 인구 증가와 중산층 확대에 따라 소비재 섹터도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Hindustan Unilever, ITC, Nestle India 등이 주요 기업입니다.
-
에너지: 인도는 에너지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Reliance Industries, Indian Oil Corporation, NTPC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통신: 인도 통신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Bharti Airtel, Reliance Jio, Vodafone Idea 등이 주요 기업입니다.
-
제약: 인도는 세계 최대의 제네릭 의약품 생산국 중 하나입니다. Sun Pharmaceuticals, Dr. Reddy's Laboratories, Cipla 등이 주요 기업입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의 그림은 서버 불안정으로 첨부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주말에도 뜨거운 날씨가 계속돼요
우리 다음주에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