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5.02.18. (화) by 유진투자증권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7의 부진...대안은?
최근 2년간 160% 이상 상승했던 M7의 성장세가 주춤해요. 올해 S&P 500이 4% 올랐지만, M7에서는 메타만 25% 상승했고, 테슬라·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 등은 하락하며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죠. 이에 헤지펀드들도 지난해 말부터 M7에서 자금을 분산하며, 은행·헬스케어·유럽 증시·금·중소형 테크 기업으로 이동하고 있는데요. 특히, 비상장 테크 기업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AI 분야의 앤트로픽, 코어위브, 데이터브릭스, 오픈AI, 퍼플렉시티, 스케일 AI, xAI 등이 ‘Private M7’으로 주목받고 있어요.
😥 M7, 힘이 빠진 이유
M7의 지배력 약화에는 두 가지 주요 이유가 있는데요.
- AI 적용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면서 경쟁이 치열해졌고, 딥시크 등장 이후 AI 시장의 진입 장벽이 낮아졌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어요.
- 2010년대 소수 기업(FAANG) 중심으로 시장을 지배했던 것과 달리, 현재는 혁신이 특정 기업에 집중되지 않고 확산하는 흐름을 보여요. 이는 새로운 기회를 의미하지만, 동시에 버블 형성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죠.
M7의 지배력이 약화되면서 시장의 관심이 분산되고, 입지도 흔들리고 있어요. M7 내에서도 유망 기업을 선별하는 한편, 대안 투자처를 모색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필요가 있겠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610.42pt ▲19.37
KOSDAQ 768.48pt ▲12.16 |
|
|
국채 금리 하락으로 증시에 훈풍이 유입되며 상승 마감했어요. 미국 1월 소매판매가 예상보다 부진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로 국채 금리가 하락했는데요. 이에 따라 업종별 순환매가 나타나며 증시 전반에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졌죠. 업종별로는 보험(+6.15%), 화학(+2.61%), 증권(+1.94%), 유통(+1.79%), 금융(+1.70%) 등이 상승하며 전반적인 강세를 보였고, 오락·문화(-1.80%), 건설(-0.46%), 운송·창고(-0.46%) 업종은 하락했어요. |
|
|
✔ KOSPI
개인(-337) / 외국인(-2,233) / 기관(+2,187)
✔ KOSDAQ
개인(-199) / 외국인(+609) / 기관(-302)
|
|
|
눈에 띄는 특징 섹터 👁️
From Yesterday: 생명보험(+5.21%) / 의료AI(+4.15%) / 피팅·밸브(+3.68%)
From 5 days ago: CXL(+12.45%) / 조선(+9.23%) / 생명보험(+9.15%)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2월의 세 번째 월요일은 '대통령의 날'로 증시도 하루 쉬어갑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ARKG(+6.4%), BWET(+5.1%), BRF(+4.8%)
- Losers: URNJ(-5.3%), SILJ(-4.4%), GOEX(-3.8%)
🌕 최근 5일 상위/하위
- Gainers: UNG(+12.4%), FDNI(+9.0%), EWO(+7.0%)
- Losers: THNR(-3.0%), SMCO(-1.8%)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Tanker Shipping, Brazil, China, Hang Seng Tech
- 하락 ETF 키워드: Uranium, Silver, Gold, Copper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관세 정책이 K-배터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해요.
💸 미국의 중국산 배터리 견제 강화
미국이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며 K-배터리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데요. 바이든 정부가 지난해 25~28.4%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최근 트럼프 정부의 10% 추가 관세까지 적용되면서 중국산 LFP 배터리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낮아졌어요. 또한, *FEOC 규정 강화로 중국산 배터리 수입을 최대한 축소할 가능성도 높아졌어요.
*FEOC(해외우려기관, Foreign Entity of Concern): 미국이 국가 안보 및 공급망 보호를 위해 지정한 중국 등 우려 국가의 기업이나 기관으로, 보조금이나 세제 혜택에서 제외될 수 있음
✨ K-배터리 경쟁력↑
미국 내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과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이며, 특히 ESS 시장 규모는 전기차 시장의 약 42%에 달해요. 이런 상황에서 중국산 배터리에 최대 38.4%의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에서 LFP 생산을 시작하는 K-배터리 업체들은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져요.
미국의 관세 정책과 ESS 시장 성장세를 고려하면, K-배터리의 입지는 더욱 강화될 전망이니, 계속 관심 가져봐야겠어요.
|
|
|
E-mail: bhh1026@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美 뉴욕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유로존 경제심리지수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최근 성장세가 주춤한 M7과 대안을 살펴봤어요. M7 중에서 메타는 홀로 25%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해당 내용 자세히 확인해 볼게요. |
|
|
광고 회복, AI·메타버스 전략, 중국 리스크 회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광고 시장 회복 & 수익성 개선
- AI 기반 광고 최적화(Advantage+)로 광고 효율 증가
- 릴스(Reels) 광고 매출 성장
- 비용 절감(‘Year of Efficiency’)으로 수익성 강화
2️⃣ AI·메타버스 전략 차별화
- 오픈소스 AI(라마 LLaMA)로 개발자 생태계 확대
- 퀘스트(Quest) 시리즈로 XR(혼합현실) 시장 선점
3️⃣ 중국 리스크에서 자유로움
- 테슬라·애플은 중국의 경기 둔화와 규제 영향을 받지만, 메타는 직접적 노출이 적음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Triumph Of Virtue
Giovanni Domenico Tiepolo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7~1도이며 화창해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