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투자준비 끝! | | | 
2025.05.23. (금)   by 유진투자증권 | 
 |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 | 
미국 20년물 국채의 발행금리가 전월 대비 23bp 상승한 5.047%로 책정되며 시장의 불안감을 반영했어요. 일본 역시 20년물 국채 입찰 비율이 201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40년물 금리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죠. 
 😱 이유는... 미국 리스크? 이번 국채 시장의 이상 신호는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하향과 하원이 추진 중인 대규모 감세안의 여파로 해석돼요. 트럼프 전 대통령이 ‘Big, Beautiful Tax Bill’이라 부른 이 안은 2017년 소득세 감면 연장이 핵심이며, 향후 10년간 3.3조 달러의 재정적자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요. 이에 따라 2022년 영국 감세안 사태처럼 금리 급등과 시장 혼란이 재현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요. 
 💬 미국의 3가지 대응 시나리오 '*금리 자경단(Vigilante)' 관점에서 보면, 현재의 높은 금리는 국채 수요를 억제하고 재정 확대를 어렵게 만들어 장기적으로 금리를 낮추는 자정 작용을 유도해요. 그러나 이 과정은 시장과 경제에 큰 부담을 주는데요.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세 가지 대응 방안을 고민할 수 있죠. 
주요국 중앙은행 및 정부에 미국 국채 매입을 요청하거나 압박연준이 양적완화(QE)를 재개미국 금융기관의 국채 보유 여력을 높이기 위해 SLR(보완적 레버리지 비율) 완화 *금리 자경단(Bond Vigilantes): 정부의 과도한 재정 지출이나 재정 건전성 훼손에 반발해 국채를 대거 매도함으로써 시장 금리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리는 투자자들을 일컫는 말 
 이번 장기 국채금리 급등은 미국의 재정건전성에 대한 경고 신호로 볼 수 있으며, 정부가 국채 수급을 안정시키지 않는다면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당분간 지속될 수 있어요. 이제 주가 반등의 핵심은 금리 인하보다는 국채 수급 개선에 달려 있어요. | 
 | 
 |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 | KOSPI 2,593.67pt ▼31.91 KOSDAQ 717.67pt ▼5.95 | 
 | 
 | 
| | | 
미국 국채 금리 급등의 여파로 외국인이 주식 시장에서 순매도에 나서며 증시가 하락 마감했어요.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하향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감세 법안 추진 등으로 연방정부의 재정적자 우려가 커지며, 국채 수요와 투자심리가 위축된 영향으로 보이는데요. 업종별로는 섬유·의류(+2.38%), 전기·가스(+0.88%), 오락·문화(+0.64%) 등이 상승했고, 기계·장비(-2.71%), 금속(-1.75%), 보험(-1.66%) 등은 하락했어요. | 
 | 
 | 
| | | ✔ KOSPI   개인(+6,848) / 외국인(-2,264) / 기관(-4,319) ✔ KOSDAQ   개인(+1,114) / 외국인(-556) / 기관(-522)
 | 
 | 
 | 
| | | 눈에 띄는 특징 섹터 👁️ 
From Yesterday: 코로나19(+5.59%) / 탈모치료(+3.44%) / 마스크(+2.80%) From 5 days ago: 코로나19(+10.72%) / 육계(+4.87%) / 건설대표주(+4.84%)
 | 
 |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 | 😦 미국 공화당의 감세안이 하원을 통과하면서 일부 불확실성이 해소됐고, 이에 따라 미국 국채금리가 하락하며 주가지수가 반등했어요. 그러나 장 막판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하며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어요. | 
 | 
 | 
| | | ✔ NEW YORK Dow 41,859.09(-0.00%) S&P500 5,842.01(-0.04%) Nasdaq 18,925.73(+0.28%) Russell2000 2,045.56(-0.05%) 필라델피아 반도체 4,775.47(-0.57%) VIX 20.25(-2.97%) 
 ✔ KEY INDICATES 
WTI $61.22(-0.57%) 금 선물 $3,290.90(-0.68%) EUR/USD 1.13(-0.43%) 10-Yr Bond 4.55(-0.94%) US Dollar Index 99.91(+0.36%) 원달러환율 1,381.3(-5.9원) 
 ✔ S&P500 
Basic Materials -0.38%Communication Services +0.2%
 Consumer Cyclical +0.44%
 Consumer Defensive -0.50%
 Energy -0.44%
 Financial -0.02%
 Healthcare -0.58%
 Industrials -0.04%
 Real Estate -0.39%
 Technology +0.31%
 Utilities -1.19%
 | 
 | 
 | 
| | | 🗽 오늘의 특징주 
Sunrun(-37.05%), SolarEdge Technologies(-24.67%), Enphase Energy(-19.63%) 미국 하원에서 공화당이 주도한 세금 개정 법안이 통과되면서 주요 태양광 관련주들이 급락했어요.Advance Auto Parts(+57.04%) 1분기 호실적에 힘입어 주가가 폭등했어요. | 
 | 
 | 
| | | 
E-mail: psj77@eugenefn.com | 
 |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Gainers: BLCN(+5.4%), ETHA(+5.0%), XRT(+1.8%)Losers: TAN(7.5%), RAYS(-5.8%), CTEX(-4.7%) 
 
🌕 최근 5일 상위/하위 
Gainers: BITS(+8.4%), KURE(+4.3%), IPOA(+2.0%)Losers: CNRG(-8.9%), OIH(-5.7%), FXN(-5.6%) 
 🌚 ETF 키워드 
상승 ETF 키워드: Blockchain, Retail, Cybersecurity, Lithium하락 ETF 키워드: Solar, Cleantech, Palladium, Bulk Shipping
 | 
 | 
 |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 | 
💰 1분기 견조한 실적 매출 8,018억 원, 영업이익 1,3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 5% 증가했어요. 가격 인상 효과가 2월 말~3월부터 본격 반영되기 전임을 고려하면 견조한 실적인데요. 2분기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7%, 9%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요. 한편, 중국에서는 춘절 선물세트 재고 소진을 위한 판촉이 진행 중이나, 유통기한 등을 감안할 때 부담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여요. 
 😋 중국 법인, 신제품·간식점 채널 성장 기대 오리온 중국 법인은 신제품 출시와 간식점 채널 확대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인데요. 신제품 비중은 누계 기준 3%로 아직 낮지만, 초코파이 밀크두리안맛, 꼬북칩 2종, 스윙칩 불닭면맛 등 다양한 신제품이 출시될 예정이죠. 4월 기준 간식점 채널 비중은 27%로 전년 대비 18%p 상승하며 고성장을 보이고 있고, 주요 고객사 '*밍밍헌망'의 홍콩 증시 상장 추진과 매장 확대도 오리온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돼요. *밍밍헌망(鸣鸣很忙): 중국 내 인기 디저트·간식 전문 프랜차이즈로 
 국내외에서 견조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중국 법인의 신제품 확대와 유통 채널 다변화가 중장기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 주목해도 좋을 것 같아요. | 
 | 
 | 
| | | 
E-mail: jinwookim@eugenefn.com
 | 
 |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 | 💬 미국과 일본 장기 국채의 이상 신호를 살펴봤어요. 미국은 국채 시장 안정을 위해 3가지 대응 시나리오를 가질 수 있다고 했는데요.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를 확인해 볼게요. | 
 | 
 | 
| | | 가장 가능성 높은 조치는 미국 금융기관의 국채 보유 여력을 높이기 위한 SLR(보완적 레버리지 비율) 완화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책 실행의 상대적 용이성: SLR 완화는 행정부와 규제당국(Fed, OCC, FDIC 등)의 협조로 조정이 가능하며, 의회의 입법 절차 없이 비교적 빠르게 시행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시장 개입에 대한 부담 회피: 연준의 양적완화(QE) 재개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다시 자극할 수 있어, 현재의 긴축 기조와 모순됩니다. 또한 정치적 비판을 초래할 수 있어 현실적으로는 부담이 큽니다.국제적 외교 부담 회피: 주요국 중앙은행이나 정부에 미국 국채 매입을 요청하거나 압박하는 방식은 외교적 마찰을 일으킬 수 있고, 미국의 ‘패권 리스크’를 부각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실효성도 낮습니다.과거 사례 존재: 팬데믹 초기(2020년)에도 SLR 완화가 실제로 적용된 바 있어, 시장 안정 수단으로 전례가 있습니다. 현재와 같은 시장 불안 시에도 재도입 가능성이 유력합니다. | 
 |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 | 
Hector (1871) Carl Reichert | 
 | 
 |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주말에는 더위가 누그러지고 가끔 비가 내려요☁️ | 
 | 
 |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