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5.10.13. (월) by 유진투자증권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AI 제국의 확장
OpenAI가 AI 인프라 확장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어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2029년까지 월 90만장 규모의 HBM 공급을 요청했으며, 이는 두 회사의 현재 생산능력을 두 배 이상 웃도는 물량이죠. 동시에 AMD와 2027년까지 6GW 규모의 반도체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AMD 주식 최대 10%를 주당 0.01달러에 매입할 수 있는 권리도 확보했죠. 이로써 OpenAI의 누적 컴퓨팅 계약 규모는 1조 달러를 돌파했고, 반도체 산업은 AI 인프라 중심의 구조적 성장 단계로 진입했어요.
🤦 거품의 그림자
하지만 AI 산업 전반에 거품 우려도 커지고 있어요. 주요 기업들이 서로에게 투자하거나 지분을 맞교환하는 모습이 1980년대 일본식 상호출자 구조를 떠올리게 하는데요. 이는 단기 안정성은 높지만 장기적으로는 비효율과 리스크 집중을 초래할 수 있죠. 특히 OpenAI의 기업가치는 5,000억 달러에 이르지만 매출은 130억 달러 수준으로, 연간 100억 달러에 달하는 적자와 급증하는 인프라 비용으로 재무 부담이 확대되고 있어요.
OpenAI는 단순한 기술 기업을 넘어 ‘AI 제국’을 구축하려고 해요. 그러나 외부 자금과 타사 인프라에 의존한 과도한 확장은 결국 통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죠.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는 데이터센터 확장과 인프라 투자 과정에서 부채가 얼마나 빠르게 증가하느냐일 듯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3,610.60pt ▲61.39
KOSDAQ 859.49pt ▲5.24 |
|
|
외국인 순매수 속 양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어요. 미국발 반도체 호재가 이어지며 국내 반도체주들도 강세를 이어갔고 삼성전자(+6.07%), SK하이닉스(+8.22%)가 대표적으로 상승을 이끌었어요. 한편 소프트뱅크그룹의 ABB 로봇 사업 인수 결정에 로봇주도 강세를 보였어요.
|
|
|
✔ KOSPI
개인(-3,659) / 외국인(+9,495) / 기관(-6,331) |
✔ KOSDAQ
개인(-1,018) / 외국인(+2,089) / 기관(-793) |
|
|
눈에 띄는 특징 섹터 👁️
- 전일대비: 로봇(+6.50%) / 반도체대표주(+6.48%) / 원자력발전소(+5.69%)
- 5일전대비: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16.48%) / 반도체대표주(+15.10%) / 로봇(+8.03%)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움직임을 비판하며 중국을 상대로 대규모 관세 인상을 예고하면서 주요 지수가 급락했어요. 트럼프 대통령의 고강도 보복 조치 예고에 투자 심리가 급속히 냉각됐고, 최근 상승세가 가팔랐던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차익 실현 성격의 매도세가 쏟아졌어요. |
|
|
✔ NEW YORK
Dow 45,479.60(-1.90%)
S&P500 6,552.51(-2.71%)
Nasdaq 22,204.43(-3.56%)
Russell2000 2,394.59(-3.01%)
필라델피아 반도체 6,407.60(-6.32%)
VIX 21.66(+31.83%)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TLT(+1.6%), SLV(+1.6%), VNM(+1.2%)
- Losers: LIT(-8.8%), ETHA(-8.0%), CQQQ(-7.8%)
🌕 최근 5일 상위/하위
- Gainers: PALL(+12.0%), VNM(+8.3%), URA(+4.6%)
- Loser: ETHA(-11.8%), KWEB(-9.9%), CQQQ(-9.9%)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BOND, URANIUM, TREASURY, SILVER, VIETNAM
- 하락 ETF 키워드: CHINA, SEMI, OIL, LITHIUM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아이폰 언팩은 끝났지만, LG이노텍은 이제 시작📱 |
|
|
🔍 3분기 실적 요약
3분기 매출은 5조 1,674억원(전년대비 -9%, 전분기대비 +31%), 영업이익은 1,693억원(전년대비 +30%)으로 예상돼요. 우호적인 환율 영향 덕분에 매출과 수익성이 당초 전망치를 상회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작년 하반기 중국계 카메라 모듈 업체의 진입으로 판가 인하 압력이 있었지만, 현재 해당 업체가 공격적인 점유율 확대 전략을 중단하면서 경쟁 강도는 완화됐어요. 이에 따라 북미 카메라 모듈 점유율은 안정화 단계에 진입했어요.
💡 4분기 및 내년 전망
4분기에는 북미 고객사의 신제품 판매 호조로 실적이 개선될 전망이에요. 매출 6조 9,615억원, 영업이익 3,119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5%, 26% 증가를 예상해요. 내년에는 상위 모델부터 가변 조리개 카메라가 적용되면서 관련 부품 공급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여요. 동시에 베트남 생산 비중 확대와 감가상각비 감소로 비용 효율이 높아지고, 전장부품과 FC-BGA 기판 사업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해요.
- FC-BGA 기판: 반도체 칩과 메인보드를 연결하는 고성능 패키징 기판으로 AI용 칩에 주로 사용
LG이노텍은 광학솔루션을 중심으로 수익성이 회복되는 구간에 들어섰어요. 가격·물량·비용이 모두 개선되는 흐름으로, 한동안 하락세였던 ROE도 올해를 기점으로 다시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현재 AI 생태계는 왜 일본식 거품 구조를 떠올리게 하며, 차이점은 뭘까요? |
|
|
1980년대 일본식 상호출자 구조와 현재 AI 생태계의 공통점은 자본과 의존도의 순환 구조에 있습니다. 당시 일본 기업들이 서로의 지분을 보유하며 내부 자금 순환으로 안정성을 추구했던 것처럼, 지금의 AI 산업도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AMD·OpenAI 등이 서로 투자하고 협력하며 생태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런 구조는 단기적으로 진입장벽을 높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비효율과 리스크 집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다만 차이점은, 일본의 폐쇄형 구조와 달리 현재 AI 생태계는 글로벌 자본이 참여하는 개방형 네트워크라는 점입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Recruiting Sergeants (1879)
Gustaf Cederström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15~20도이며 흐린 날씨예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