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4.21. (목)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호텔신라가 올해 매출과 이익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기대돼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호텔신라의 1분기 실적과 전망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올여름, 금융시장이 넘어야 할 큰 장애물이 있어요. 바로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인데요. 함께 살펴봐요!
🙋 공화당의 예산 삭감안
올 1분기 미국의 세수가 예상보다 부진해요. 원래는 8월까지 "부채한도 상향 없이 정부 운영이 가능하다"라는 전망이었는데, 예상과 달리 6~7월쯤 한계에 도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요. 이에 공화당은 내년 연방정부 예산을 1,300억 달러(약 172조 550억 원) 줄이자는 안을 하원에 올렸죠. 이를 비롯해 향후 10년 동안 연간 약 4.5조 원 가량의 예산을 감축하자는 주장까지 하고 있어요. 여기에는 바이든 정부의 학생 대출 면제, IRA 보조금도 포함되어요. 하지만 공화당이 장악한 하원을 통과하더라도, 상원 다수당인 민주당이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통과되기는 쉽지 않을 것 같아요.
💦 금융시장 부담감
문제는 다가오는 5~6월인데요. 부채한도를 둘러싼 공방이 매우 치열해질 가능성이 높아요. 현재 경기 둔화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예산 감축과 부채한도 협상 과정에서 생각보다 여러 잡음이 생길 여지가 충분해요. 특히 미국 CDS 프리미엄을 제외한 금융시장은 이러한 위험을 반영하지 않고 있어요. 아무리 이런 상황이 2011년 외에 주식시장에서 악재로 작용했던 사례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이번에는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요.
미국 부채한도 협상은 결국엔 해결이 되겠지만,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닌 질긴 싸움이 될 가능성이 높아요. 이러한 리스크는 최대한 피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63.11pt ▼11.97
KOSDAQ 885.71pt ▼23.49 |
|
|
KOSPI는 개인과 기관의 순매도 속에 하락했고, KOSDAQ도 차익 실현 매물이 대거 쏟아지면서 하락했어요. 유로존과 영국의 물가 압력이 여전히 부담을 주는 가운데, 미국 경기 회복 기대감이 후퇴한 점이 투심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듯해요. KOSPI 시총 상위종목 중에는 LG화학만 상승했고, KOSDAQ에서는 에코프로비엠을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사료(+2.48%) / 육계(+2.21%) / 생명보험(+1.71%) / 손해보험(+1.49%)
From 5 days ago: 전선(+10.55%) / 사료(+6.48%) / 육계(+4.45%) / 생명보험(+3.01%)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테슬라와 AT&T를 비롯한 주요 기업들의 실적 저조 속에 증시가 하락했어요. 미국의 경제 지표들이 부진했던 점도 부정적으로 작용했는데요. 주목할 만한 지표를 살펴보면, 주간 신규 보험 청구자 수는 24.5만 명으로 전주보다 5천 명 늘어 예상치를 웃돌았고, 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2.4% 줄어들며 부진한 모습이었어요.
😵 테슬라는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하면서 주가가 -9.75% 내렸어요. 테슬라의 폭락에 포드, 제너럴모터스 등 미국 대표 자동차주도 -2~3% 약세를 띠었고, 리비안과 루시드 등 전기차 업체도 각각 -3%, -7% 넘게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최근 5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PALL(+9.7%), XBI(+8.3%), PPLT(+7.3%)
- Losers: UGA(-7.1%), EWZ(-5.5%), IGN(-5.1%)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BIOTECH, MEDICAL DEVICES, PLATINUM, BROKER, FINANCIAL
- 하락 ETF 키워드: OIL, BRAZIL, NETWORKING, BOND, GOLD
-
지난주 수요일 미국 EPA는 규제 강도가 강화된 신규 배출가스 기준 발표
-
강회된 기준에 따라 美 자동차 회사들은 2032년까지 판매 차량의 67%를 전기차(EV)로 바꿔야 하는 상황
-
새 배출기준은 2022년 기준으로 7%인 신차 중 EV 비중을 향후 큰 폭으로 늘어나게 하며, 2027년부터 생산되는 차량에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
GM과 포드, 스텔란티스는 2030년까지 미국 판매 차량의 40~50%를 EV로 바꿀 계획으로 전기차 전환에 수십억 $ 투자
-
관건은 소비자들이 살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가격이 저렴한' 전기차를 만들 수 있을지 여부
-
2021년 바이든 대통령은 2030년까지 미국 차량 판매의 50%를 전기차가 되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지만, 이는 법적 구속력은 없음
-
美 캘리포니아주는 미국 전체 규제 강화를 선도하고 있으며, 8개월 전 2035년 이후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하는 규제안을 발표 (작년 기준 미국 내 자동차, 트럭 판매의 13%를 캘리포니아주가 차지)
-
EV 100%인 테슬라가 단기적으로 수혜를 보겠지만, 전체 시장의 파이가 커진 만큼 테슬라 같은 성공적 회사들이 더 출현할 수 있음
- [Environmental Law & Policy Center] 운송 부분은 미국 온실가스 배출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기후 변화 대응에 중요하다 발표
|
|
|
by Kang SongCheol
Telegram: https://t.me/buykkang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호텔신라가 올해 매출과 이익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전망돼요. 1분기 실적과 전망 자세히 살펴볼게요.
🏨 1분기 실적 전망
호텔신라의 1분기 전체 매출액은 1.06조 원, 영업이익은 305억 원으로 예상돼요. 호텔/레저 부문은 마스크 해제와 함께 증가한 국내 트래픽이 실적에 기여하면서 매출액 1,371억 원으로 추정돼요. 면세 부문 매출액은 총 9,213억 원으로 전망되는데요. 시내와 공항 각각 7,338억 원, 1,875억 원 수준이 될 것 같아요. 2월 기준 월별 출입국자 수는 2019년 대비 57%까지 올라왔고, 5월부터 중국 단체 관광이 재개되며 매출 증가와 영업이익 회복이 빠르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돼요.
💖 면세산업의 변화
게다가 올해는 면세 산업에 많은 변화가 생기면서 호텔신라에도 호재로 작용할 것 같아요. 우선 해외 관광 활성화로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고객 다변화가 예상되는데요. 그중 중국인 단체관광객의 회복이 면세의 고객믹스 개선으로 연결될 수 있어요. 또한 개별·단체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저마진 따이공에게 제공하던 알선수수료는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요. 그리고 올해 인천공항 면세점 입점이 결정되는데, 큰 이변이 없다면 호텔신라는 DF1·2(향수·화장품·주류·담배), DF3·4(패션·부티크) 구역에 배정될 것 같고, 객당 임대료 산정으로 추정하면 이익은 BEP 수준으로 예상돼요.
앞서 언급한 변화 모두 매출과 이익 측면에서 긍정적이라 호텔신라에도 봄바람이 불어오는 듯해요. 앞으로의 실적 기대해봐도 좋을 것 같아요! |
|
|
by Lee HaeNi
E-mail: hnlee@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美 옵션만기일이에요.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챗GPT / 데일리아트 |
|
|
💰 한국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의 가상자산 중 상위 10개 인덱스의 일주일간 추이를 알려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에 대해 ChatGPT에게 쉽게 설명해달라고 했어요.
"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은 미국 정부가 추가적인 돈을 빌려올 수 있는 최대 금액, 즉 부채한도를 높이기 위한 정치적 과정입니다. 이 협상은 미국 의회의 두 당(민주당과 공화당) 사이에서 주로 이루어집니다. 부채한도를 높이지 않으면, 정부는 기존 부채를 갚거나 필요한 지출을 위해 추가 자금을 조달할 수 없게 됩니다.
- 다음과 같은 이유로 부채한도 협상은 여러 이유로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1. 정치적 불확실성: 미국 정부는 정치적 이유로 불확실성이 생길 때마다 부채한도를 높여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2. 지출 및 세금 정책 논쟁: 미국 의회의 두 당은 종종 지출 및 세금 정책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부채한도 협상 과정에서 논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이례적인 상황: 때로는 이례적인 상황이나 긴급한 사안으로 인해 정부가 예기치 않게 추가 자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부채한도를 빠르게 높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은 정부의 지출 및 세금 정책에 대한 논쟁과 정치적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정부는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되며, 국가의 경제적 안정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가상자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The three Gracesㅣ "Georges Gaudion"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화창하지만 공기가 안 좋아요
우리 다음주에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