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7.14. (금)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자동차 업계가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체제로 전환을 서두르면서 현대오토에버의 수혜가 기대돼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현대오토에버의 2분기 실적과 전망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발표된 미국의 6월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더 빠르게 둔화하고 있어요.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이 곧 종료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죠.
😝 7월이 마지막 인상?
미국의 6월 CPI는 전월 대비 0.2%, 전년 대비 3.0% 상승하여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어요. 이것 만으로 7월 금리 인상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겠지만, 7월이 마지막 인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은 시사해요. 특히 연준이 더 정확한 물가지수로 간주하는 근원 CPI가 시장 전망치를 하회하면서 상승세가 멈추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데요.
미국의 물가는 3분기부터 4분기 초까지 추가로 둔화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만, 남은 기간 전월 대비 물가가 0.2%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근원 CPI의 최저치는 아마도 3%대에 머물 것 같으니, 연말까지 연준은 물가 하단선을 3%로 설정할 것인지 결정할 필요성이 있겠어요.
🙌 물가와 산업별 영향
이런 상황에서 산업별 영향을 주목해야 하는데요. 최근 발표된 중고차 가격(-0.5%)과 항공료의 하락(-8.1%)을 고려하면, 관련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은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요. 또한 가구, 가전, 식품 물가도 둔화하고 있어요. 반면, 의료 서비스, 외식 및 주택 물가의 둔화 속도는 상대적으로 완만한데요. 따라서 물가 둔화 속도가 비교적 느린 서비스와 Tech 업종의 실적 부담은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돼요.
당장 주식시장을 떠나기보다는, 오히려 물가 둔화와 함께 여름을 즐겨보는 건 어떨까요? 물가 둔화에 따른 실적 부담이 적은 산업에 주목하는 것도 좋은 전략일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91.23pt ▲16.51
KOSDAQ 893.07pt ▲13.19 |
|
|
미국의 6월 CPI(소비자물가지수)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추가적인 긴축 조치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었어요. 또한, 시장 예상대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였고, 이러한 상황들이 결합하여 증시는 큰 변동성 없이 상승 마감했어요.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3.11%), 철강·금속(+2.28%), 기계(+2.27%), 의약품(+2.06%) 등은 상승했지만, 보험(-1.72%), 섬유·의복(-0.84%) 등은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인공지능(+4.01%) / 반도체장비(+3.42%) / 시스템반도체(+3.28%) / PCB(+3.23%)
From 5 days ago: 조선(+10.88%) / 광고(+9.69%) / 원자력발전(+8.39%) / 조선기자재(+7.80%)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CPI(소비자물가지수)의 둔화세에 이어, 6월 PPI(생산자물가지수)가 시장 예상치를 밑돌아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였어요. 6월 PPI는 전월 대비 +0.1% 상승하여 전망치를 밑돈 것은 물론이고, 2020년 8월 이후 최소폭의 상승을 보였어요.
😎 특히, 금리 변동에 민감한 기술주들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는데요. 엔비디아와 알파벳은 각각 +4.7%의 상승했어요. 또한, 가상화폐 리플을 발행하는 리플랩스가 소송에서 승리하면서 리플 가격은 한때 +96% 폭등했고, 이에 따라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의 주가도 +24% 이상 급등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BLOK(+7.7%), ARKK(+4.5%), CORN(+3.7%)
- Losers: UNG(-4.5%), JETS(-1.0%), XRT(-0.7%)
🌕 최근 5일 상승 하위
- Gainers: BLOK(+16.3%), ARKK(+14.8%), KWEB(+13.8%)
- Losers: UUP(-3.2%), UNG(-2.3%), WEAT(-1.8%)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CHINA INTERNET, CHINA TECHNOLOGY, CLOUD, URANIUM
- 하락 ETF 키워드: JAPAN, DOLLAR, NATURAL GAS, CONSUMER, ENERGY
-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가 사임하며, 퍼듀 대학의 경영대학원 학장으로 부임할 예정인데요. 불러드는 최근 2년간 매파 정책의 주요 옹호자로서, 특히 2008~2009년 금융위기 회복기에 고용 회복에 따른 빠른 금리 인상을 주장해 왔어요.
-
그러나 2016년, 그는 경제가 인플레 압력을 막기 위해 공격적인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어요.
-
불러드는 지난 10년 동안 저인플레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인플레 예방을 위한 선제적 조치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여왔고, 2019년 그의 완화적인 입장이 당시 파월 의장의 금리 인상에 비판적이었던 트럼프 대통령과 맞아 백악관의 주목을 받았어요. 백악관은 당시 불러드를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공석 자리에 임명하는 것을 고려했으나, 불러드는 거절했어요.
-
2021년 초, 그는 코로나19 이후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더 빨리 종료하고, 인플레를 억제하기 위한 강력한 주장을 했어요. 이러한 입장은 일부 월스트리트 트레이더들 사이에서 그를 정책의 선도자(Bellwether)로 인식하게 했어요.
-
2022년 3월 연준이 첫 번째 금리 인상 결정을 내릴 때 불러드는 0.25% 대신 0.5%로 금리를 인상하는 것을 선호하며 반대표를 던졌고, 이후 지속해 더 빠른 금리 인상 주장했어요.
-
불러드의 사임 후,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부총재인 캐슬린 O'Neill Paese가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며, 불러드는 다음달까지 연준 고문으로 재직하되 통화정책과 관련된 어떠한 업무에도 관여하지 않아요.
-
퍼듀 대학은 지난 2월 비즈니스 교육 프로그램을 미첼 E. 다니엘스 주니어 비즈니스 스쿨로 리브랜딩 위해 50명의 새로운 교수 채용했고, 불러드는 초대 학장이 될 예정이에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현대차그룹을 비롯한 자동차 업계가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체제로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어요. 이에 따라 현대오토에버의 성장이 기대되는데요. 함께 2분기 실적과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 차량 SW 중심의 고성장
현대오토에버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7,430억 원, 영업이익 390억 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시장 예상치와 부합해요. 부문별로는 SI 부문이 2,490억 원(+14.0% YoY), ITO가 3,300억 원(+14.0% YoY), 차량용 소프트웨어가 1,650억 원(+34.0% YoY)으로 예상돼요. SUV와 프리미엄 차종 중심의 현대/기아차 믹스 개선과 함께 순정 내비게이션, ADAS, 커넥티드 카 서비스 비중 확대로, 차량용 소프트웨어 부문의 빠른 성장세가 2분기에도 이어진 것으로 판단돼요.
👍 고속 성장세 지속
현대오토에버의 올해 연간 실적은 가이던스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완성차의 차세대 ERP, 스마트 팩토리, 내비게이션 및 정밀 지도, 전장용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차세대 성장 동력을 보유하고 있어, 2027년까지 매출과 이익의 빠른 성장이 기대돼요. 또한, 올해 하반기에 출시될 EV9 GT, G90 등 신모델에 Lv.3 부분 자율주행 기능과 함께 현대오토에버의 정밀 지도와 모빌진AD(차세대 통합 제어기)가 탑재될 예정이죠. 더불어, EU의 안전 규제 강화로 인해 내비게이션 장착률이 크게 상승할 가능성도 호재로 작용할 수 있어요.
현대오토에버가 소프트웨어 개발과 운영 역량을 바탕으로 고속 성장을 이뤄내고 있어요. SDV 도입 과정에서 대체할 수 없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의 성장세도 관심 가져보면 좋을 것 같아요! |
|
|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은 자동차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여 소프트웨어를 통해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차량입니다. SDV는 차량의 성능, 안전성,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기존의 자동차와 달리 차량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여 설계됩니다. 하드웨어는 차량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를 제어하여 차량의 기능을 구현합니다. 소프트웨어는 차량의 성능, 안전성,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습니다. SDV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에 있지만, 향후 자동차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차량의 성능, 안전성,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Google Bard] |
|
|
by Lee JaeIl
E-mail: lee.jae-il@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6월 수출입물가지수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는 미국에서 물가의 둔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완만한 산업이 의료 서비스, 외식 및 주택이었는데요. 주목할 기업들을 물어봤어요! |
|
|
의료서비스 산업에 대해 알아보면, 이는 환자들의 병을 치료, 예방, 재활, 완화하기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제체제의 분야를 통칭합니다. 이 산업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 중 하나로, 개발도상국들의 GDP 10% 이상을 차지하여 국가의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의료서비스 기업으로는 Medtronic, Johnson & Johnson, Siemens, Stryker, Philips, Roche, Becton Dickinson 등이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2022년 의료 기술 매출 상위 10대 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Medtronic가 39.9억 달러로 1위로 선정되었습니다.
외식 산업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정보를 찾기 어렵지만, Broken Mouth와 로컬 레스토랑이 이 산업을 이루고 있습니다.
주택 물가 둔화에 따른 주목할 산업으로는 부동산 및 건설 산업이 있을 것입니다. 이 산업에서는 다양한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The Turner Corporation(2022년에 Bechtel을 제치고 미국에서 가장 큰 건설 회사로 선정), Disfold Data(미국의 부동산 분야에서 가장 큰 공개 상장 회사 목록을 제공)이 있어요.
이러한 기업들은 각각의 산업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물가 둔화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들 기업의 성장과 전략을 주시하면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Still Life (1909 – 1910)ㅣAlfred Henry Maurer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25~26도로 종일 많은 비가 내려요
비 피해 없도록 조심하시구요
우리 다음주에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