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07.21. (금)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콘텐트리중앙이 2분기 실적도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하반기에는 기대할 만한 상승 모멘텀이 있을 듯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콘텐트리중앙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S&P500 기업들의 2분기 순익은 전년대비 약 -8.1% 수준으로 지난 1분기의 -3.9%보다 더 부진할 것으로 예상돼요. 그래서인지 오히려 기업들의 실적 결과가 예상을 상회하기에 한결 수월해 보여요.
🤗 낮아진 기대, 오히려 좋아
실제로 중고차 업체 카바나의 경우, 지난해 고점 대비 -85% 이상 하락한 후, 이번 실적 발표를 계기로 무려 +30% 올랐어요. 신탁회사 노던 트러스트의 경우에도 주가가 지난해에는 -20%, 올해에는 -7% 하락했는데, 실적 발표 후 +15% 상승했어요. 이는 올해 증시에서 빅테크와 AI(인공지능) 중심으로 주가가 오르다 보니, 나머지 업체들에 대한 기대는 이미 낮아질 대로 낮아졌다는 반증으로 볼 수 있어요.
👊 작은 것들의 활약
그래서인지 뉴욕 증시나, 나스닥 시장에서 6월 이후 상승한 종목 수가 하락 종목 수보다 많은 날들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어요. Russell2000지수도 S&P500 대비 더 이상 부진하지 않아요. 국내 증시에서도 중소형주들이 대형주보다 좀 더 활발한 모습이고요. 즉, 실적 바닥 기대 속에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업체들과 중소형주 중심으로 로테이션이 진행 중인 거죠.
테슬라에 이어 빅테크들의 실적이 공개될 텐데, 이들에 대한 실적 기대치는 훨씬 높을 거예요. 큰 것에 대한 욕심을 내려놓고, 작은 것에 행복을 느껴야 하는 시점인지도 모르겠네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600.23pt ▼8.01
KOSDAQ 931.60pt ▲7.88 |
|
|
KOSPI는 장중 외국인의 순매수 전환에도 소폭 하락 마감했어요. 간밤 미국 증시가 높아진 차익 실현 욕구에 매물이 출회되며 상승분을 반납한 점과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하락 등이 국내 증시에도 부담을 준 모습이에요. 한편 KOSDAQ은 반등하며 8거래일 연속 상승했어요. 전날까지 상승을 주도했던 2차전지주는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약세를 보였지만, 엔터·반도체주가 강세를 보이며 KOSDAQ 상승을 견인했어요. |
|
|
From Yesterday: LED장비(+4.77%) / 반도체장비(+3.08%) / 3D낸드(+3.08%) / 폐배터리(+3.02%)
From 5 days ago: 클라우드컴퓨팅(+6.11%) / 리튬(+5.69%) / 반도체장비(+5.43%)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증시가 혼조세를 보였어요. 기업들의 실적이 발표되는 가운데 존슨앤드존슨이 +6.1% 급등하며 Dow지수를 끌어올리는 원등력이 되었는어요. 반면 테슬라와 넷플릭스의 실적에 대한 실망으로 이들 주가가 각각 -9.74%, -8.41% 하락하며 기술주 전체가 흔들렸어요.
😣 TSMC는 하반기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지만 2분기 실적이 저조한 탓에 -5% 가량 하락했어요. 엔비디아(-3.31%), AMD(-5.31%) 등 반도체 업종의 하락세가 뚜렷했으며, 그 외 MS(-2.31%), 알파벳(-2.32%), 메타(-4.27%) 등 빅테크주도 약세를 보였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NG(+4.7%), XLU(+1.8%), KIE(+1.7%)
- Losers: ARKK(-5.7%), XSD(-3.6%), SOXX(-3.6%)
🌕 최근 5일 상승 하위
- Gainers: WEAT(+11.1%), CORN(+7.6%), UNG(+7.1%)
- Losers: KWEB(-6.9%), CQQQ(-6.6%), BLOK(-5.9%)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VALUE, DIVIDEND, HEALTH CARE, MEDICAL DEVICES, NATURAL GAS
- 하락 ETF 키워드: SEMI, CHINA CONSUMER, CHINA INTERNET
-
테슬라 2분기 실적은 이익 마진 하락, 가격 인하로 수익에 부담을 받음
-
그러나 수익성은 시장 예상보다 나아지고 있으며, 예상보다 안좋은 미국 전기차 시장에 대해 잘 대응하고 있음
-
테슬라는 판매 목표(올해 180만 대)를 유지. 더 많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한 가격 인하 전략 실시. 이는 시장의 지지를 받고 있음, (전일을 빼고) 테슬라 주가는 올해 137% 상승
-
크레딧 판매를 제외한 자동차 부문 GP 마진 18.2%로 하락. 2023년 1분기(18.8%)와 작년 동기(26.2%)보다 낮음. 여전히 여타 자동차 회사들을 크게 상회
-
마진 하락에도 불구하고, CEO 엘론 머스크는 단기간의 이익률 희생이 장기적인 가치 향상을 위한 합리적인 방법이라 언급
-
추가적인 금리인상과 경기가 부진할 경우 차량 가격을 다시 인하할 계획. 완전 자율주행 기능을 위해 Dojo AI 트레이닝 하드웨어에 약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것
-
테슬라는 텍사스와 독일의 신규 공장에서 차량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
이러한 노력이 추가적인 마진 하락을 방어. 이번 분기의 전체 영업이익률은 9.6%로, 전년대비 5% 낮은 수치
-
이번 분기 free cash flow 10억 달러로 증가. 전 분기 4억 4,100만 달러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미디어 콘텐츠 기업 콘텐트리중앙이 극장 사업 부진으로 2분기 실적이 악화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하반기에는 기대할 만한 상승 모멘텀이 있을 듯해요. 내용 살펴볼게요.
😥 적자 지속...
콘텐트리중앙의 2분기 매출액은 2,078억 원, 영업손실은 127억 원(적자지속)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큰 폭으로 하회할 전망이에요. 방송은 SLL 별도에서는 수목 슬랏 재개에 더해 방영작 모두 OTT향 선판매가 이루어지며 전분기 대비 실적 개선이 기대되며, 연결 자회사에서는 wiip이 공동제작으로 참여한 작품 1편이 반영되면서 전분기 대비 손실 규모를 축소할 것으로 전망돼요. 극장은 범죄도시3 흥행에도 불구하고 전분기에 개봉한 ‘교섭’, ‘대외비’ 관련 손실을 반영하면서 수익성이 하락할 듯해요.
🎬 하반기 상승 모멘텀 그렇지만 3분기부터는 기대할 만한 모멘텀들이 다수 있어요. 플레이타임의 성수기 효과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며, 더불어 극장도 다채로운 라인업이 예정되어 있어요. 방송은 수목/토일 슬랏이 온전히 운영되는 가운데 기대작 편성으로 실적 개선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wiip이 메인 제작에 참여한 작품이 공개되면서 자회사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여요.
2분기 성적은 아쉽지만 낙담하긴 일러요. 이번 3분기부터 기대해 볼 만한 모멘텀도 다수 존재하니 좀 더 지켜보도록 해요. |
|
|
by Lee HyunJi
E-mail: hjlee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日 정부의 韓 화이트리스트 재지정이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글로벌 미디어 콘텐츠 기업 순위에 대해 알려달라고 했어요. |
|
|
글로벌 미디어 콘텐츠 기업의 순위는 매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화합니다. 이에 따라, 최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출처의 정보를 종합해 보았습니다.
-
Alphabet Inc.: Alphabet Inc.는 Google의 모회사로, 광고, 검색 엔진, 클라우드 컴퓨팅,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2022년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미디어 회사로 꼽혔습니다.
-
Comcast: Comcast는 NBCUniversal과 Sky를 포함하는 여러 미디어 자회사를 운영하며, 케이블 텔레비전과 인터넷 서비스, 영화 제작,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
Netflix: Netflix는 세계적으로 가장 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업체로, 수많은 영화와 TV 쇼를 제공하며, 자체 제작 콘텐츠인 '넷플릭스 오리지널'을 통해 대중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
Disney: 디즈니는 애니메이션, 라이브 액션 영화, TV 쇼, 테마 파크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최근에는 디즈니+라는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ViacomCBS: ViacomCBS는 CBS, MTV, Nickelodeon, Paramount Pictures 등 여러 유명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 기업은 영화, TV 쇼, 뉴스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배포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미디어 회사들이 순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순위는 매출, 사용자 수, 시장 점유율 등 다양한 요인을 기반으로 결정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Washing dayㅣBernardus Johannes Blommers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도 여전히 푹푹 쪄요😭
우리 다음주에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