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1.09. (목)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크래프톤이 3분기에 신작 부재에도 불구하고 호실적을 기록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크래프톤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미국 대선 1년 앞으로 다가왔어요. 대선 결과는 미국의 경제 정책과 통화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식시장도 크게 요동칠 가능성이 있어요. 따라서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죠.
👥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은?
다수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바이든 대통령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갤럽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미국 응답자의 71%가 "바이든 대통령이 너무 늙었다"라고 답했고,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도 1996년 이래 가장 나빠졌어요. 이러한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이 만만치 않으리라고 예상돼요.
💬 경제 변화는 글쎄...
그러나 경제 정책과 관련해서는 의외로 차별점이 없을 가능성이 높아요.
-
친환경이나 전기차 산업에 있어서는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석탄과 석유 같은 화석연료를 중심으로 한 경제 정책을 펼친 반면, 바이든 대통령은 친환경 에너지와 전기차 산업을 육성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어요.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정부 부채가 많이 늘었기 때문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감세 정책이나 바이든 대통령의 IRA를 추가로 진행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요.
- 대통령이 누가 되든 연준 파월 의장은 2026년까지 임기를 채울 가능성이 높은데요.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죠. 만일 내년 상반기 미국 경기가 악화되어 파월 의장이 금리를 공격적으로 인하하게 되면 민주당에 유리하겠지만, 연준이 정치적인 제스처로 보일 수 있는 정책의 변화를 주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돼요.
- 트럼프 전 대통령도 중국과의 갈등이 심했지만, 바이든 정부도 이에 못지않아요. 따라서 중국과의 갈등은 당분간 계속될 듯해요.
보통 현 대통령이 재선을 노리는 해에 미국 주식시장이 하락하는 경우는 매우 희박했어요. 하지만 이번 미국 대선은 실제 경제 여건의 변화보다는 잡음이 클 것으로 예상돼요. 이러한 측면에서 내년 증시가 정치적인 이유로 흔들린다면, 이는 위험보다는 오히려 기회로 봐야 할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421.62pt ▼22.34
KOSDAQ 821.98pt ▼2.39 |
|
|
KOSPI와 KOSDAQ 모두 상승 출발 후 하락으로 전환했어요. 전날에 이어 2차전지주 변동성이 확대됐고, 오후 들어서 2차전지주 낙폭은 확대됐어요. 업종별로는 의료정밀(+2.06%), 의약품(+0.75%), 전기가스업(+1.61%), 운수창고(+0.81%), 유통업(+0.44%) 등이 상승한 반면 운수장비(-1.52%), 통신업(-0.53%), 화학(-1.80%), 철강금속(-1.54%), 전기전자(-1.52%), 기계(-0.97%), 화학(-1.80%) 등은 하락했어요. 이번 주 남은 기간에도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야 할 듯해요. |
|
|
From Yesterday: 게임(+5.70%) / 웹툰(+4.50%) / 영화(+3.98%) / 미용기기(+3.50%)
From 5 days ago: 웹툰(+13.58%) / 게임(+12.54%) / 리튬(+12.43%) / 2차전지(생산)(+12.37%)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미국 증시가 지난 7일간의 랠리를 끝내고 8일 만에 혼조세로 마감했어요. 다만, 나스닥은 9거래일째 상승세를 이어갔어요. 채권시장도 혼조세를 보였는데요.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5bp 내린 4.51%를 기록했어요.
😶 리비안은 예상보다 좋은 실적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시장 자체의 수요부진이 우려되면서 주가가 -2.41% 하락했고, 로빈후드는 거래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주가가 -14.29% 크게 떨어졌어요. 반면 로블록스는 실적 예상이 낙관적으로 바뀌면서 주가가 +11.89% 상승하며 랠리를 보였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WEED(+4.4%), VNM(+4.1%), BDRY(+3.9%)
- Losers: ANDY(-5.9%), WGMI(-5.6%), XDNA(-5.4%)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FDNI(+10.5%), EIS(+8.0%), PAWZ(+6.8%)
- Losers: VXX(-10.9%), VIXY(-10.8%), PFIX(-10.3%)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Vietnam, Bulk Shipping, Mobile Payments, Games, Denmark
- 하락 ETF 키워드: Blockchain, Gold, Clean Energy, Biotech, Uranium, Healthcare
|
|
|
-
미국 원유 가격이 8월 이후 최저치로 하락했어요.
-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3.8% 하락한 배럴당 77.76달러에 거래를 마쳤는데요. 이는 8월 25일 이후 최저치에요.
-
12월 인도분 브렌트유도 3.6% 하락한 배럴당 82.06달러에 거래를 마쳤어요.
-
휘발유와 난방유 가격도 하락했는데요. 12월 인도분 휘발유는 갤런당 2.17달러로 2.6% 하락했고, 난방유는 갤런당 2.85달러로 3.3% 하락했어요.
-
이에 따라 Constellation Energy, Marathon Oil, SLB, EQT, EOG Resources, ConocoPhillips, Devon Energy, Halliburton, APA 등 에너지 기업들의 주가도 하락했어요.
-
원유 가격 하락의 주된 원인은 중국의 수요 둔화 우려인데요.
-
중국은 10월에 전년 대비 13.5% 더 많은 원유를 수입했으나, 이는 작년의 코로나19 락다운에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죠.
-
9월 수입량은 하루 1,150만 배럴로 소폭 상승했지만, 지난여름과 비교했을 때 약 100만 배럴/일 낮은 수준이죠.
-
StoneX의 에너지 팀은 글로벌 수요 부진에 따라 중국이 향후 몇 달간 원유 수입과 원유 정제품 수출을 줄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크래프톤이 3분기 신작 부재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로 성장하며 깜짝 실적을 내놨어요. 3분기 실적 살펴볼게요.
🙌 배틀그라운드의 인도 효과
크래프톤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4,503억 원, 영업이익 1,893억 원을 기록하며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어요.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 31% 증가했고, 영업이익률은 42%를 기록했어요.
- 🖥️ PC 매출: 전년 대비 -7.5% 하락했어요. 3분기 애스턴 마틴, 스트리트 파이터 콜라보 출시 효과가 반영되긴 했지만, 지난해 3분기 맥라렌 콜라보 및 시즈널 제작소 개편의 기저효과로 전년 대비 성장률은 감소한 모습이었어요.
- 📱 모바일 매출: 전년 대비 +9.4% 상승했어요. 글로벌 PUBG 모바일 매출 성장과 함께 BGMI(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가 서비스 재개하면서 매출이 전년 대비 성장을 달성했는데요. 특히 BGMI는 트래픽과 매출 모두 서비스 차단 이전 수준을 넘어서는 등 예상보다 빠른 정상화를 보였어요.
- 💸 영업비용: 3분기 PNC 개최로 인한 마케팅 비용이 증가했으나, 인건비와 지급수수료가 전 분기 대비 오히려 하락했어요. 또한 주식 보상 비용은 약 200억 원 환입이 발생되어 영업이익 증가에 크게 기여했어요.
***PNC: PUBG Nations Championship의 약자로, 크래프톤이 주최하는 배틀그라운드 국제 대회
- 👀 기타: 한편 크래프톤은 성수동 메가박스스퀘어 건물을 2,435억 원에 취득했다고 공시했어요. 해당 건물은 개발 스튜디오 인력들의 업무 공간으로 활용 예정이에요.
크래프톤이 오랜 기간 이어져 온 실적 부재 상황에도 좋은 실적을 거뒀네요. 내년 상반기부터는 다수의 신작 출시를 앞두고 있어 이에 따른 성장세도 기대해 봐야겠어요. |
|
|
by Jung UiHoon
E-mail: uihoon060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공모청약이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투자Story에서 크래프톤을 다뤘는데요. ChatGPT에 크래프톤의 전망 및 주의사항을 물어봤어요. |
|
|
크래프톤은 3분기 깜짝 실적을 기록하며, 오랜 기간 이어져 온 실적 부진을 딛고 일어섰습니다. 이는 PC 및 콘솔 게임의 안정적인 매출과 글로벌 마케팅 강화, 그리고 인건비와 지급수수료 감소, 주식 보상 비용 환입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크래프톤은 내년 상반기부터 다수의 신작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기대작으로 꼽히는 '테라 히어로즈'는 글로벌 시장에서 흥행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크래프톤은 신작 모멘텀을 바탕으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
긍정적 전망
- PC 및 콘솔 게임의 안정적인 매출 지속
- 글로벌 마케팅 강화에 따른 수익성 개선
- 다수의 신작 출시에 따른 신작 모멘텀
-
주의 사항
-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게임 시장 전반의 부진 가능성
- 신작 출시의 성공 여부
- 인건비 및 마케팅 비용 증가에 따른 수익성 악화 가능성
위와 같이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사항도 있습니다. 하지만 크래프톤이 주의 사항을 잘 극복한다면,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The Bezestein Bazaar, El Khan Khalil, Cairo (1843-44)
John Frederick Lewis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오늘 9~17도로 오후에 비 소식이 있어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