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1.23. (목)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다가오는 2024년 엔터/미디어 산업전망에 대해 살펴볼게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10월 말 이후 증시가 상승세를 보이며 산타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죠.
📈 10월 이후 주가 상승세
미국 S&P500지수는 지난 10월 27일 이후 10% 상승하여 올해 고점인 4,588포인트까지 약 1.1%가량 남았어요. 또한, 2022년 1월 3일에 기록한 사상 최고치인 4,796포인트와도 5.7%밖에 차이 나지 않죠. KOSPI도 지난 10월 31일 저점 이후 10% 상승하여 올해 고점까지 6.2%가량 남았어요. 주가지수가 10% 정도 상승하면, 이전 하락 국면에서 매도하지 못했던 투자자들이 매도 심리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잠시 쉬어갈 수 있는 시점이 생길 것 같아요.
💫 상승 동력 전환
주목할 점은 지난 10월 말 이후 주가 상승을 이끄는 동력이 전환되고 있다는 점이죠. 시장의 관심이 '인플레'에서 '긴축 마무리'로 전환되고 있는데요. 예컨대 시티 경제 서프라이즈 지수는 견고하지만, 인플레 서프라이즈 지수는 둔화했어요. 즉, 인플레와 긴축 우려가 수면 아래로 내려갔다는 뜻이죠. 기업들 중에서도 베스트바이, 로우스, 아메리칸 이글 등 주요 미국 소매업체들의 향후 예상 전망치가 조심스러워요. 물론 미국 소비의 둔화가 호재는 아니지만, 인플레 압력이 확실히 정점을 지났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어요.
다음 국면은 Good new가 호재이고, Bad news가 악재인 국면으로 수요 둔화 여부가 관건이 될 것 같아요. 단, 그전까지는 이른 산타랠리에 대한 기대는 계속 가져봐도 좋을 듯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11.70pt ▲1.28
KOSDAQ 814.61pt ▼2.40 |
|
|
미국 소매업체의 실적 부진과 경제지표 둔화에 따른 경기 우려로 KOSPI가 하락세로 출발했으나, 오전 중 이스라엘-하마스의 임시 휴전 소식과 외국인의 순매수 전환 등에 힘입어 낙폭을 줄였어요. 한편, 지난 밤사이 엔비디아의 주가가 하락했지만, 인공지능(AI) 시장에 대한 수요 증가 기대로 국내 반도체 주가는 탄탄한 편이었고, 대형 인터넷 업종들도 상승했어요. 업종별로는 기계(+1.16%), 서비스(+1.14%), 보험(+0.91%) 등이 올랐고, 섬유의복(-0.73%), 의료정밀(-0.68%), 통신(-0.51%), 유통(-0.48%) 등은 내렸어요. |
|
|
From Yesterday: 해운(+6.84%) / 초전도체(+4.19%) / 조선(+3.09%) / HBM(+3.02%)
From 5 days ago: 일자리(+12.57%) / 해운(+7.97%) / 조선(+6.86%) / 전선(+5.37%)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추수감사절 연휴를 하루 앞두고 증시가 상승했어요. 이날 공개된 지표는 증시에 뚜렷한 방향성을 제시해 주지 않았지만, 실업지표는 노동시장이 여전히 탄탄함을 보여줬어요. 지난주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 대비 -2.4만 명 감소한 20.9만 명을 기록했는데요. 이는 5주 만에 최저치예요.
😐 엔비디아는 미국의 반도체 수출규제로 중국 사업에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에 주가가 -2.46% 하락했고, 농기계업체 디어앤컴퍼니는 실적은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연간 이익 전망치에 대한 실망감으로 -3.11% 하락했어요. 한편 HP는 매출이 악화했지만, 내년 하반기에 AI PC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소식 등에 주가가 +2.83% 오르며 강세를 보였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NG(+2.8%), DXJ(+1.5%), HEWJ(+1.4%)
- Losers: PALL(-1.9%), REMX(-1.5%), LIT(-1.3%)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URA(+4.2%), IHI(+3.8%), GDX(+3.8%)
- Losers: UNG(-7.5%), EZA(-4.5%), PBW(-4.4%)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JAPAN, BIOTECH, BOND, GOLD, TREASURY
- 하락 ETF 키워드: CHINA, METALS, OIL, LITHIUM, SOUTH AFRICA
|
|
|
-
미국과 유럽의 헤지펀드들이 최근 급격한 시장 상승으로 약 430억 달러의 손실을 입었어요. 해당 손실은 주로 "Low Quality" 주식의 반등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돼요.
-
이번 랠리는 최근 미국 연준이 긴축을 더 이상 강화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촉발되었죠.
-
지난 주 화요일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 데이터가 예상보다 낮게 발표된 이후 S&P500, NASDAQ 지수 모두 상승했어요.
-
애널리스트들은 지수 상승이 헤지펀드들의 "숏 스퀴즈"를 유발했다고 밝혔는데요. 숏 스퀴즈는 공매도에 베팅한 투자자들이 주가가 상승하면서 손실을 확정하기 위해 주식을 사들이면서 발생하는 현상이죠.
-
데이터 그룹 S3 Partners 계산에 따르면 지난 주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미국과 유럽에서 숏 베팅으로 432억 달러의 손실이 발생했고, 이는 다른 주식에서 얻은 이익을 고려하지 않은 수치예요.
-
S3 데이터에 따르면 기술, 헬스케어, 소비재 주식이 헤지펀드들에 가장 많은 손실을 입혔어요.
-
공매도가 많은 주식을 추적하는 지수들은 최근 저점에서 크게 반등했어요. 예를 들어, 골드만삭스의 중요한 숏 포지션 지수는 작년 10월 이후 최고의 실적을 내고 있죠.
-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바클레이스의 유럽 바스켓에서 공매도가 가장 많았던 종목들은 지난 3주 동안 9.9% 상승했어요.
-
또한, 올해 큰 하락을 보였으나 여전히 공매도가 심한 미국의 그린 에너지 기업 Fuelcell Energy, Sunrun의 주가가 화요일 약 20%가량 급등했어요.
-
이러한 시장의 급격한 반전으로 인해 CTA, 추세를 추종하는 헤지펀드들이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데이터 그룹 HFR에 따르면 CTA들은 이번 달 평균 3.7%의 손실을 봤고, 해당 손실이 올해 2.6%의 손실로 이어졌어요.
-
그러나 바클레이스의 모델에 따르면, CTA들은 여전히 주식, 채권 모두에 대해 순매도 상태를 유지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엔터/미디어, Fandoms Never Die🔥 |
|
|
오늘은 2024년도 엔터/미디어 시장에 대해 전망해 볼게요.
🎤 엔터, 관건은 팬덤의 확장
K-POP의 두드러지는 특징은 음반의 성장으로 볼 수 있어요. 최근 중국 시장의 앨범 공구 감소에 따른 시장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들이 있지만, 글로벌 음악 시장은 스트리밍의 비중이 67%이고, 실물 앨범의 비중은 18%에 불과하죠. 따라서 K-POP이 한 단계 성장하려면, 이제는 글로벌 음원에서의 성장이 필요해요. 이는 코어 팬덤만큼이나 라이트 팬덤의 확장이 중요하다는 이야기인데요. 라이트 팬덤이 늘어나면, 스트리밍과 공연 매출이 증가하기 때문이죠.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공연 매출 비중과 비교하면, 현재 공연 매출은 상승 가능성이 충분히 많이 남아 있어요. 2024년은 음반에서의 팬덤 성장이 음원으로, 그리고 공연으로 확장되며 또 한 번의 놀라운 시장 성장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돼요.
🎬 미디어, 회복만 남았다
미디어 산업 역시 팬덤 기반의 산업인데요. 시즌제 콘텐츠는 연속성이 있고, 흥행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플랫폼과 제작사 모두 관심이 많아요. 2024년에는 오리지널 및 시즌제 드라마와 예능이 많이 제작될 예정인데다, 미국의 작가와 배우 파업이 끝나고, 편성 위축으로 인한 효율적인 판매, 광고 시장의 회복 등 미디어 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개선되고 있어요. 따라서 미디어 산업의 성장 가능성은 높아 보여요.
2024년 엔터/미디어 산업 전망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어요! |
|
|
by Lee HyunJi
E-mail: hjlee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투자Story에서 2024년에는 오리지널 및 시즌제 드라마와 예능의 영향으로 미디어 산업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는데요. ChatGPT에 주목할 콘텐츠를 물어봤어요! |
|
|
다양한 장르의 K-콘텐츠 트렌드
2024년은 K-콘텐츠의 다양성이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릴러부터 판타지, 코미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오리지널 시리즈가 대거 등장할 예정입니다. 이는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대되는 시즌제 시리즈
- 지금 우리 학교는2: 독특한 세계관과 흥미진진한 스토리로 많은 팬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 오징어 게임2: 이전 시즌의 인기를 이어갈 후속 시리즈로, 새로운 전개와 깊어진 스토리텔링이 예상됩니다.
이러한 콘텐츠들은 미디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팬덤 기반의 산업으로서의 가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우리는 이러한 새로운 콘텐츠들을 통해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Women’s Art Class (ca. 1868)
Louis Lang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4~2도로 기온이 뚝 떨어져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