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2.04. (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11월 게임시장을 리뷰해보고 12월은 어떨지 전망해 볼게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글로벌 주식시장에서 꽤 핫한 주식 중 하나는 '일라이릴리'가 아닐까 싶어요.
💦 제약사의 한계
글로벌 제약사들을 시가총액 순으로 살펴보면 일라이릴리(5,620억 달러), 노보노디스크(4,690억 달러), 존슨앤존슨(3,650억 달러), GSK(2,800억 달러), 머크(2,550억 달러) 순으로, 세계적인 제약사들이지만 빅테크 기업들과 달리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넘지는 못하고 있어요. 글로벌 제약사라 하더라도 시가총액의 근본적인 한계는 바로 특허 절벽(Patent cliff) 때문으로 볼 수 있는데요. Tech 업체들의 혁신과 달리 제약업체들의 혁신은 특허 기간 만료와 함께 그 수혜가 반감되기에, 제약사들은 기존 특허 관련 제품의 단기적 성과에 초점을 맞추며 장기 투자를 잘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요.
💊 특허와 혁신
2010년대까지 일라이릴리는 신약 개발에 부진한 모습을 보였어요. 그러나 새로운 과학/의료 개발 책임자 다니엘 스크로브론스키가 부임한 이후, 일라이릴리는 적극적인 M&A와 연구개발에 나서며 다시금 성장세로 돌아섰는데요. 특히 비만 치료제의 상업적인 성공을 바탕으로, 일라이릴리는 일반 암과 면역 분야에도 진입할 계획이죠.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Tech 업체들처럼 혁신과 성장을 이루기는 쉽지 않지만, 매출에서 R&D 비중이 높고, 특허가 많은 분야에서 혁신이 나오기 마련이에요. 게다가 AI 관련 특허 출시가 많은 분야가 바로 생명과학, 운송, 보안, 제조업 순인 만큼, AI가 발달할수록 제약·바이오 산업의 수혜를 기대해 볼 수 있어요.
내년에는 본격적인 엔데믹 국면으로,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혁신이 더욱 활발해질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겠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05.01pt ▼30.28
KOSDAQ 827.24pt ▼4.44 |
|
|
KOSPI, KOSDAQ 모두 하락했어요. KOSPI는 외국인 순매도, 원화 약세, 2차전지 대형주 하락에 1%대 약세를 보였고, 미국과 유럽의 경기 둔화 우려 부각, 매파적 FOMC 예상에 국채금리 반등, 달러 강세 전환 등에 투자심리가 위축됐어요. KOSDAQ에서는 게임과 인터넷 업종 등 일부 테마 쏠림 현상이 심화했어요. 업종별로는 화학(-2.04%), 기계(-2.30%), 전기·전자(-1.91%) 등이 내렸으며 의료정밀(+2.24%), 운수창고(+1.02%) 등은 올랐어요.
|
|
|
From Yesterday: 원격진료(+3.73%) / 애플페이(+3.44%) / 전자결제(+2.85%) / NFT(+5.27%)
From 5 days ago: 해운(+7.51%) / 조선(+6.91%) / 전선(+6.27%) / 2차전지(전고체)(+5.86%)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이 완화적으로 해석되면서 시장에 안도 랠리가 펼쳐졌어요. 그는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스펠만 대학에서 열린 행사에서 기준금리 인하 논의가 시기상조라고 언급하며 시장의 성급한 기대를 경계했어요. 그러나 동시에 금리 인상 이후 경기 둔화가 예상된다고 말하면서,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오히려 증폭되었죠.
🤔 테슬라는 전날 인도를 시작한 사이버트럭의 가격이 시장 예상보다 높다는 소식에 주가가 -0.52% 하락했고, 화이자는 하루 2번 복용하는 체중감량제 연구 계획을 철회하면서 주가가 -5.12% 급락했어요. 한편 테슬라가 출시한 사이버트럭이 리비안이 생산하고 있는 전기트럭 'R1T'에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에 리비안 주가는 +7.58% 상승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BLOK(+6.0%), ARKK(+5.0%), TAN(+4.4%)
- Losers: KWEB(-1.4%), USO(-1.3%), UGA(-1.3%)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BLOK(+10.0%), GDX(+8.5%), ARKK(+7.9%)
- Losers: PALL(-7.0%), FXI(-5.6%), UNG(-5.6%)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GOLD, BIOTECH, CLEAN ENERGY, RETAIL, SOLAR
- 하락 ETF 키워드: CHINA CONSUMER, CHINA INTERNET, OIL
|
|
|
-
최근 발표된 미국 연준 의장 제롬 파월의 발언은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어요.
-
파월 의장은 조지아주 스펠먼 칼리지 연설에서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에서 승리했다는 추측을 경계하며, 현재로서는 추가 금리 인상을 배제하지 않고 금리 인하에 대한 논의는 이르다고 지적했어요.
-
그러나 그의 발언 이후, 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여 투자자들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줘요.
-
연방기금 선물 시장은 연준이 2024년 3월부터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으며, 금 가격은 최고치에 도달하는 등 시장에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강화되고 있어요.
-
이에 대해 파월 의장은 연준이 정책을 강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경고하며, 연준이 경제 데이터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임을 강조했어요.
-
한편, 시카고 연방은행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2% 목표에 도달할 것이라는 예측을 제시했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은 11월 게임시장을 리뷰해보고 12월은 어떨지 전망해 볼게요.
💁 11월 게임시장 Review
- 국내 모바일 게임: 매출 1위는 ‘리니지 M’이 차지했어요. 반면 견고히 2위를 유지하던 ‘나이트 크로우’가 ‘원신’, ‘리니지 W’의 대형 업데이트로 순위가 하락했어요. 한편, 4분기 출시 예정이었던 주요 신작들의 출시가 내년으로 지연돼 11월은 신작이 다소 부재했어요.
- 콘솔/PC 게임: 콘솔과 PC 게임 분야의 사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해졌어요. 네오위즈는 ‘더 위처’와 ‘사이버펑크 2077’의 주요 개발진이 참여한 ‘블랭크’ 스튜디오에 지분 투자를 진행했으며, 시프트업은 소니와 함께 ‘스텔라 블레이드’ 게임의 PlayStation 5 독점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어요. 또한, 넥슨은 새로운 게임 ‘더 파이널스’의 OBT(오픈 베타 테스트)를 한 달간 실시하며, 누적 이용자 수 750만 명, 스팀에서의 동시 접속자 수 27만 명이라는 인상적인 성과를 기록했어요.
🙌 12월 게임시장 Preview
- 국내 모바일 게임: 주요 게임들의 대규모 업데이트가 매출 순위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리니지M'과 '나이트 크로우'가 각각 대형 업데이트 결과, 해당 게임들이 국내 모바일 게임 매출 순위 1위와 2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돼요. 이와 함께, '리니지2M', '오딘'과 같은 다른 MMORPG 게임들의 이벤트 진행도 순위 변동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보여요. 한편, 모바일 게임 대형 신작의 출시는 계속 지연되는 상황이에요.
- 콘솔/PC 게임: 오는 12월 7일, 엔씨소프트의 새로운 콘솔/PC 게임 'TL'이 국내에 정식 출시될 예정인데요. 'TL'은 이전 리니지 시리즈와 비교해 과금 모델이 완화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ARPPU(평균 수익률)은 낮아질 것으로 예상돼요. 따라서, 유저 트래픽(Q)의 확보가 수익성 증가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여요. 또한, 이전 CBT(폐쇄 베타 테스트)에서 지적받았던 자동 사냥 기능, 타격감, 레벨 디자인 등의 문제들이 개선되어, 게임이 더 넓은 유저층을 대상으로 할 것으로 전망돼요. 하지만, 기존 리니지 시리즈의 자동 사냥 및 PVP에 익숙한 유저들 사이에서는 이에 대한 반응이 엇갈릴 수 있어요.
오는 8일에 진행될 더 게임 어워드의 '올해의 게임(Game of the Year, GOTY)' 시상식 후보들은 최근 3년 중 가장 강력한 라인업으로 평가받고 있어요. 이번 시상식의 자세한 정보와 후보들에 대한 내용은 제공된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by Jung UiHoon
E-mail: uihoon060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의 청산 심리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제약산업과 일라이릴리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ChatGPT에 향후 생명과학 분야에서 주목할 기업을 물어봤어요.
|
|
|
최신 정보에 따르면, 주목할 만한 생명과학 및 바이오테크 기업들과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모더나(Moderna Inc.): mRNA 기반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기업으로, COVID-19 백신 개발에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이는 다양한 질병에 대해 빠르게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강력한 잠재력을 가졌습니다.
-
바이오엔테크(BioNTech SE): mRNA 기반의 치료제, 특히 암 면역치료 및 백신 개발에 중점을 둔 기업입니다. COVID-19 백신 개발에서의 성공은 백신 개발과 종양학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접근을 보여줍니다.
-
CRISPR 치료제(CRISPR Therapeutics AG): 유전자 편집 치료법 개발에 집중하는 기업으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치료법 개발에서 유전자 편집 기술의 혁명적인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화이자 (Pfizer): 화이자는 COVID-19 백신 개발로 주목받았으며, 이를 통해 강력한 연구개발 역량과 빠른 상품화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이 회사는 지속적인 신약 개발 및 기술 혁신에 투자하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질병 치료제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기업들은 mRNA 및 유전자 편집 기술과 같은 생명과학의 최전선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특히 의학 치료와 치료제 개발의 미래에 있어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Why…Why (1929)
Pierre Pinsard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3~12도로 낮에는 포근해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