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2.13. (수)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중국이 전국의 대표적인 도시와 공원 100곳을 선정해 탄소피크 시범건설을 실시해요. 오늘 투자Story에서 해당 내용 살펴볼게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견고한 미국 경제에서도 유독 두드러지는 산업 중 하나가 있는데요. 바로 건설 산업이죠.
👷 건설 호조세 지속…민간 주택은 부진, 비거주용·공공은 활발
미국 건설 산업의 현재 상황은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요. 고금리의 영향으로 단독주택과 같은 민간 주택건설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가구 주택, 비거주용 건설, 그리고 공공 부문에서는 활발한 양상을 보여요. 특히 고속도로, 레저호텔, 교육시설, 상업용 건물, 오피스, 공장 설비 등의 비거주용 건설 투자는 사상 최고 수준에 도달했어요. 다만, 미국의 고용 둔화와 관련하여 내년에는 상업용과 오피스 건설 부문이 다소 위축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요. 한편, 제조업 설비 건설에 대한 투자는 'Reshoring' 현상 덕분에 전년 대비 71%나 증가했는데요. 공공 부문 가운데 전력(55%), 하수(27%), 교육시설(16%) 등의 건설이 호조를 이루고 있어, 이러한 다양한 부문에서 성장과 변화가 건설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
***Reshoring: 기업들이 해외에서의 제조 활동을 자국으로 다시 가져오는 현상
👏 고금리에도 식지 않는 미국 부동산/건설 시장
우선, 일자리 시장이 호조를 보이고 있어요. 건강관리, 건설, 부동산, 식품, 유틸리티, 항공, 여행 등 주요 산업의 일자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역사적으로 고점 수준이에요. 또한, 11월 들어 금리 상승세가 주춤하자, 미국 부동산 주가도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10월 말 이후 오피스/통신타워/산업용/스토리지 관련 REIT는 약 15~20% 이상 올랐어요. 지난 20년 동안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줬던 중국 부동산 시장이 차갑게 식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미국 부동산/건설시장은 고금리 역풍에도 식지 않는 모습이네요.
물론 기존 대도시들의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는 위험 요소가 존재해요. 하지만 현재의 수요 수준을 고려하면, 약간의 금리 인하만으로도 미국의 리빌딩(Rebuilding)은 중요한 테마가 될 가능성이 높으니 관심 가져봐야겠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35.27pt ▲9.91
KOSDAQ 839.53pt ▲4.28 |
|
|
KOSPI, KOSDAQ 모두 상승했어요. 외국인의 선물 순매수 확대와 LS머트리얼즈 상장 흥행으로 2차전지주가 상승세를 보였어요. 또한 전날 미국 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강세를 보이고, 대통령의 네덜란드 국빈 방문과 더불어 반도체 동맹 구축에 대한 기대감 유입으로 반도체주도 상승세를 지속했어요. 업종별로는 에너지 장비·서비스(+4.44%), 조선(+2.17%), 항공사(+1.83%), 손해보험(1.70%) 등이 올랐고, 반면 방송·엔터테인먼트(-2.15%), 게임엔터테인먼트(-1.36%) 등은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온디바이스AI(+3.75%) / 시스템반도체(+3.44%) / 항공사(+2.63%) / 반도체장비(+2.40%)
From 5 days ago: 온디바이스AI(+13.44%) / 전자결제(+9.82%) / 시스템반도체(+8.42%)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CPI(소비자물가지수)가 대체로 예상치에 부합한 가운데, 다음날 나오는 FOMC 회의 결과를 앞두고 소폭 상승했어요.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1월 미국의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오르고, 전월 대비로는 +0.1% 상승하며 대체로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거나 소폭 상승했는데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내려가지 않으면서 연준의 내년 조기 금리 인하 기대는 다소 줄어들었어요.
😶 오라클은 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밑돌면서 주가가 -12% 이상 하락했고, 전날 +20% 가까이 올랐던 메이시스는 차익실현 매물과 씨티의 투자 의견 하향 소식에 -8% 이상 하락했어요. 한편 바이오기업 아이코사백스는 아스트라제네카가 11억 달러에 인수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50%가량 폭등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WEAT(+2.4%), PALL(+2.1%), PPLT(+2.1%)
- Losers: UNG(-6.7%), USO(-3.8%), TAN(-2.9%)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SOXX(+7.1%), SMH(+5.9%), XSD(+5.7%)
- Losers: UNG(-15.2%), TAN(-5.9%), SLV(-5.8%)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SEMI, TECHNOLOGY, PLATINUM, PALLADIUM, GROWTH
- 하락 ETF 키워드: OIL, NATURAL GAS, GOLD, ENERGY, METALS
|
|
|
-
Nvidia가 올해 AI 스타트업 분야에 투자를 대폭 늘렸어요.
-
회사는 AI 플랫폼, 헬스케어,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20개 이상의 소규모 스타트업에 자금을 지원했는데요.
-
벤처 캐피탈 투자를 추적하는 Dealroom에 따르면, Nvidia는 올해 35건의 거래에 참여, 지난해 대비 약 6배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어요.
-
9월까지 Nvidia는 '비계열사'에 8억 7,2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0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죠.
-
NVentures의 책임자 Mohamed Siddeek은 회사의 투자 기준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사용하는 회사를 우선시한다고 밝혔어요.
-
Nvidia의 포트폴리오에는 Inflection AI, Cohere, Hugging Face, CoreWeave, Mistral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Nvidia의 GPU 칩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요.
-
특히, 올해 실리콘 밸리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Nvidia의 H100 GPU는 대형 언어 모델의 훈련 속도를 크게 향상시켜 주목받고 있는데요.
-
이러한 활발한 투자 활동은 Nvidia가 AI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 개발과 혁신의 확산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요.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중국이 전국의 대표적인 도시와 공원 100곳을 선정해 탄소피크 시범건설을 실시해요. 이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정유화학 산업 관련 이슈 살펴볼게요.
💫 제품 시황 Highlights
- 휘발유: OPEC+의 추가 감산 준수 관련 회의론 지속으로 국제유가가 약세를 보인 가운데, 미국 휘발유 재고가 예상과 달리 증가하며 휘발유 가격이 하락 폭이 커졌어요.
- PX: 원료가격 약세, 연말 수요 둔화 및 높은 재고 수준으로 매수 심리가 제약되며 하락했고, 현재 SK-JX(310만 톤), S-Oil(180만 톤), GS(55만 톤) 라인이 가동 중이에요.
⭐ 중국, 1차 탄소피크 시범지역 명단 발표 지난 12월 6일, NDRC(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35개 지역으로 구성된 1차 탄소피크 시범지역 명단을 발표했어요. 전국의 대표적인 도시와 공원 100개를 선정해 탄소 피크 시범 건설을 하고 다양한 자원을 탐색할 계획인데요. 녹색·저탄소 발전의 애로사항 해소와 시범과제 추진, 중점사업 추진, 정책 기제 혁신 등을 통해 전환을 가속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인데요. 각 시범지역의 발전개혁위원회는「국가 탄소피크 시범지역 건설방안」및「탄소피크 시범지역 실시방안 편제지침」에 따라 시행 계획을 마련·검토한 후 2024년 1월 31일까지 NDRC에 제출해야 해요. NDRC의 검토 및 피드백 이후에는 내년 초경 지역별 정량 목표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죠.
중국이 1차 탄소피크 시범지역 명단을 발표했는데요. 지역별 목표 여하에 따라 다롄시(화학), 옌청시(화학, 자동차), 탕샨시(철강) 등 탄소배출이 많은 주요 도시 제조업에 영향이 있을 듯해요. 지속해서 관심 가져봐야겠어요. |
|
|
by Hwang SungHyun
E-mail: tjdgus2009@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FOMC 회의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미국 부동산 및 건설 시장 현황 및 전망을 살펴봤는데요. ChatGPT에 이러한 상황에서 주목할 기업을 물어봤어요.
|
|
|
미국 부동산 및 건설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기업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해당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거나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을 수 있습니다.
건설 및 개발 회사
- D.R. Horton: 미국 최대의 주택 건설업체 중 하나로, 다양한 주거용 부동산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Lennar Corporation: 또 다른 주요 주택 건설 회사로, 다양한 주거용 부동산과 커뮤니티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건축 자재 공급업체
- Vulcan Materials Company: 골재,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의 생산에 주력하는 기업입니다.
- Martin Marietta Materials: 비슷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또 다른 주요 공급업체로, 건축 자재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합니다.
인프라 관련 기업
- Caterpillar Inc.: 건설 및 광업 장비, 디젤 및 천연가스 엔진, 산업용 가스터빈 등을 제조하는 세계적인 기업입니다.
- John Deere: 주로 농업 장비를 제조하지만, 건설 및 산림 장비 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기술 및 혁신 중심 기업
- Honeywell International: 건물 관리 시스템, 스마트 홈 솔루션 등을 제공하는 다국적 기업으로, 건축 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Siemens AG: 스마트 인프라 솔루션을 포함한 광범위한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각각의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개별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해당 기업들의 최신 재무 상태, 시장 전망, 그리고 개별 투자자의 위험 선호도 등을 면밀히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Tänzerinnen (1928-30)
Ernst Ludwig Kirchner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비나 눈이 내려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