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2.19. (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최근 산업통산자원부가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어요. 오늘 투자Story에서 해당 내용을 살펴볼게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내려가기 시작했는데, 그 속도가 생각보다 매우 가팔라요.
📉 금리의 가파른 하락세
미국 10년 국채금리는 지난 5일 동안 약 -31bp 하락했어요. 미국 만기 20년 이상 채권 ETF인 TLT의 경우, 최근 저점 이후 무려 +20% 올랐는데, 이는 +14.5% 상승한 S&P500 지수와 비교해도 훨씬 나은 수준이죠. 이렇듯 금리가 너무 가파르게 떨어지자, 지난 주말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가 진화에 나섰어요. 윌리엄스 총재는 현재 금리인하에 대해 논의하지 않고 있다고 밝히며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를 눌렀는데요. 이는 그만큼 현재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반증으로 볼 수 있어요.
🙌 높아진 금리 인하 기대의 양면
높아진 금리 인하 기대는 다음과 같은 양면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요.
-
긍정적인 측면
- 주택시장 회복: 대출금리가 낮아져 주택구매 수요가 증가할 수 있어요. 이에 따라 미국 주택시장은 회복세를 보일 수 있어요.
- 원자재·달러 강세: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수 있어요. 이에 따라 원자재와 달러는 강세를 보일 수 있어요.
- 경기민감주 상승: 경기민감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개선될 수 있어요. 이에 따라 경기민감도가 높은 중소형주로 구성된 Russell2000 지수 등이 상승세를 보일 수 있어요.
부정적인 측면
- 자산 가격 버블 우려: 금리가 너무 내려가 금융여건이 완화되면, 자산 가격이 급등할 수 있어요. 이에 따라 자산 가격 버블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요.
- 연준의 긴축 완화 지연: 금리 인하 기대가 높아지면, 연준이 실제로 금리를 인하할 필요가 적어지게 되는데요. 이에 따라 연준의 긴축 완화가 지연될 수 있어요.
현재 상황에서 가장 큰 위험은 연말에 자산 가격이 너무 올라버리는 경우인데요. 이에 따라 내년에는 자산별 기대 수익률을 낮추어야 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566.86pt ▲3.30
KOSDAQ 850.96pt ▲12.65 |
|
|
KOSPI, KOSDAQ 모두 상승했어요. KOSPI는 지난 주말 다시 보도된 대주주 양도세 완화 이슈에 KOSDAQ 대비 약세를 이어갔어요. 대주주 양도세 완화는 투자 심리를 개선할 수 있는 요인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정책 방향이 나오지 않아 투자자들의 반응은 신중한 모습이죠. 정책 변경을 제외한 추가 상승 동력이 부재한 가운데, 개별 업종별 이슈에 따른 순환매 장세가 계속되는 모습이었어요. 업종별로는 보험(-1.46%), 통신업(-1.36%), 건설업(-1.22%) 등은 하락했고, 운수창고(+3.88%), 기계(+2.03%), 의약품(+1.37%), 철강및금속(+1.32%) 등은 상승했어요.
|
|
|
From Yesterday: 해운(+6.41%) / CXL(+5.19%) / 타이어(+4.79%) / 온디바이스AI(+3.03%)
From 5 days ago: CXL(+27.15%) / 제대혈(+9.86%) / 야놀자(+7.54%) / 온디바이스AI(+6.74%)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내년 주식시장에 대한 낙관론이 유지되면서 상승 마감했어요. 시장에서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폭발하자 연준 위원들이 공개발언을 통해 이를 진화하려 노력중이지만 시장에는 별 영향 없는 모습이에요. 이에 따라 연말 산타랠리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어요.
😛 US스틸은 일본 제철이 회사를 149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26% 이상 상승했고, 어도비는 클라우드 기반 디자인 플랫폼 기업 피그마 인수가 당국의 반대로 무산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주가가 +2.47% 상승했어요. 한편 쿠팡은 온라인 명품 브랜드 플랫폼 파페치 인수 발표 이후 주가가 -5% 이상 급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BWET(+7.2%), BDRY(+6.9%), BOAT(+4.3%)
- Losers: KMET(-36.3%), KDIV(-8.8%), KHYB(-7.3%)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PALL(+22.9%), SPPP(+11.1%), SPRX(+8.3%)
- Losers: VNM(-9.1%), CNXT(-4.9%), ASHR(-4.8%)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Shipping, Uranium, Oil, Magnificent7, Norway
- 하락 ETF 키워드: Metal, Vietnam, Indonesia, Brazil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지난 14일, 산업통산자원부는 첨단로봇 산업 전략회의를 열고 로봇 산업 육성 목표를 담은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어요.
💰 K-로봇 3조 원 투자, 1석 3조의 효과 기대
정부가 2030년까지 민관 협력으로 3조 원 이상을 투자해 로봇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발표했어요. 이번 전략으로 ①국내 로봇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②경제 효율성을 높이며 ③생산 인구감소 등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는 1석 3조의 효과를 얻겠다는 취지인데요. 이를 통해 2030년까지 향후 7개년 동안의 로봇 부품 국산화, 로봇 전문 인력 양성, 로봇 보급 확대 등 다양한 정책 내용을 제시하고 있어 긍정적으로 볼 수 있어요. 구체적인 실행 방안으로는 8대 핵심기술 로드맵, 지능형로봇법 전면 개정,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 계획 등이 있는데요. 특히, 이미 기술 로드맵과 지능형 로봇법 개정안에 대한 연구 용역 입찰이 실시되어 정책 준비가 진행 중이며, 향후 로봇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제도적 기반 마련과 후속 조치가 기대돼요. 이에 따라 내년에도 정책적 상승 계기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어요.
✍️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지원 필요성
이번 전략은 긍정적인 요소가 많지만, 과거 지능형 로봇 기본 계획에서 제시했던 목표에 미달하는 모습도 있었던 만큼,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한 논의 및 목표 달성 현황 트래킹을 통한 피드백과 정보 공개가 필요해요. 경쟁국인 중국은 로봇 산업 발전 계획과 중국 제조 2025, 로봇 플러스 응용 방안, 휴머노이드 혁신센터 설립 등 각종 정책을 통해 로봇 산업 육성과 로봇 보급 확대를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고, 일본도 로봇 신전략에 이어 로봇에 의한 사회변혁추진계획과 문샷 프로그램을 통해 로봇의 사회 적용 가속화 및 인재 양성, 첨단 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어요. 한국도 이러한 흐름에 뒤처지지 않도록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정책 지원을 강력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죠.
***문샷(Moonshot): 달에 가기 위해 미국 정부가 추진한 프로젝트에서 유래,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도전적인 계획. 2019년 일본 정부가 발표한 로봇 기술 개발 및 로봇 사회 적용을 위한 중장기 계획으로 2030년까지 10조 엔을 투자해 로봇을 사회에 적용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표에요.
이번에 발표된 전략 내용이 로봇 산업 전체를 망라하고 있는 만큼 향후 로봇 제조 기업과 부품 기업 모두에게 수혜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돼요. 내년에도 지속해서 관심을 가져봐야겠어요. |
|
|
by Yang SeungYoon
E-mail: syyang0901@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11월 주택착공, 건축허가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투자 Story에서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에 대한 내용을 살펴봤는데요. ChatGPT는 국내 로봇 관련 기업 중 어떤 기업을 가장 주목하는지 물어봤어요.
|
|
|
대한민국의 로봇 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와 혁신을 이어가고 있으며, 여러 주요 기업들이 이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 자율주행 로봇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포함됩니다. 몇 가지 주요 로봇 기업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현대로보틱스: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 맞춤형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술력과 시장 점유율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로보스타: 정밀 자동화 장비와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특히 반도체와 LCD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로봇 시스템 개발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두산로보틱스: 두산그룹의 일원으로 협동 로봇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들의 로봇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안전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
한화로보틱스: 한화그룹의 일원으로, 주로 산업용 로봇을 제작하며, 특히 정밀 제어가 필요한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가장 추천하는 기업을 선택하기는 주관적일 수 있으나, 두산로보틱스를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혁신적인 협동 로봇(CoBot) 기술: 두산로보틱스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안전한 협동 로봇을 개발하여, 로봇과 인간이 함께 작업하는 환경을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다양한 산업 분야 적용 가능: 이들의 로봇은 제조, 물류,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어, 폭넓은 시장 수요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와 디자인으로, 로봇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두산로보틱스는 혁신적인 기술과 사용자 중심의 접근 방식으로 로봇 산업에서 주목할 만한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Board Partition With Musical Instruments. Trompe L’oeil (1672)
Cornelius Norbertus Gijsbrechts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8~-5도로 춥고 흐려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