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3.12.21. (목)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K-푸드 수출 효과를 바탕으로 에스앤디의 가파른 실적 성장세가 기대돼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에스앤디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연준 인사들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낮추려 하고 있지만, 미국의 주식과 채권 시장은 여전히 동반 랠리를 이어가고 있어요.
💫 증시의 랠리
S&P500은 2022년 1월 7일에 기록했던 장중 사상 최고치(4,818pt)까지 약 1%밖에 남겨두지 않았어요. 금리 하락이 금융 여건을 완화하고, 이는 금리에 민감한 부동산을 중심으로 경제 전망과 기업 이익 개선에 대한 기대로 이어지고 있죠. 미국 증시에서는 금리와 경기에 민감하고 그동안 못 올랐던 업종(부동산, 소재, 친환경)들이 반등하고 있는데요. 예컨대, 태양광 주식들이 급등했어요. 특히, 태양광 관련주인 '인페이즈 에너지(Enphase Energy)' 주가는 올해 -49% 하락했었지만, 20일 새벽 +9.1% 올랐어요. 올해 상반기 주가가 빅테크 중심으로 소수 종목만 올랐던 국면과는 달라진 모습이죠.
⭐ 회복세의 확산
올해 10월 말 이후 증시에서 주가 회복세의 특징 중 하나로 '확산'을 들 수 있어요. 지금처럼 종목별 흐름이 넓어질 때는 랠리가 연장될 가능성이 높죠. 국내 주식시장도 양상은 비슷해요. 10월 말 이후 방어적인 업종을 제외한 경기민감 및 소외되었던 업종들이 강세를 보였는데요. 특히, 10월 말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업종은 소프트웨어 업종이고, 이어 기계, 상사자본재, 철강, 화학, IT하드웨어, 호텔레저 순으로 따라가고 있어요. 반면, 부진한 업종으로는 보험, 통신, 소매, 비철, 화장품의류 업종 등이 있어요.
현재 시점에서의 위험은 높아진 안도감과 낙관론이에요. 연말까지는 후발주자들에 대한 관심이 유리하지 않을까 싶어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614.30pt ▲45.75
KOSDAQ 862.98pt ▲4.68 |
|
|
KOSPI, KOSDAQ 모두 상승했어요. 외국인 선물 순매수가 장중 1조 6000억 원 이상 유입되면서 대형주 중심으로 강세가 나타났어요. 중동 리스크로 인한 홍해, 파나마 운하 해상 물류 차질 여파로 HMM 등 해운주의 상승세가 지속됐고, 현대차와 기아의 러시아 공장 매각 관련 불확실성 해소와 내년 인도와 선진 시장 중심 판매 증가 전망에 자동차주도 강세를 보였어요. 모든 업종이 상승세를 나타낸 가운데, 운수창고(+8.38%), 기계(+3.82%), 운수장비(+3.40%), 의약품(+2.19%), 증권(+1.90%) 등의 순으로 상승 폭이 컸어요.
|
|
|
From Yesterday: 토스(+9.57%) / 해운(+5.51%) / 종합물류(+4.05%) / 줄기세포(+3.39%)
From 5 days ago: 제대혈(+17.49%) / 줄기세포(+13.30%) / 해운(+11.65%) / CXL(+10.88%)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장기간의 오름세에 따른 차익실현에 증시가 일제히 하락했어요. 페덱스(FedEX)가 기존보다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한 것이 연착륙에 대한 기대를 일부 훼손하며 증시 하락의 트리거가 되기도 했어요.
😥 페덱스는 전날 정규장 거래 후 실적을 공개했는데요. 연간 매출액이 전년 대비 한자릿수대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가이던스를 기존보다 하향 조정하면서 주가가 -12% 급락했어요. 테슬라는 부품 결함 사실을 알고도 이를 숨겼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주가가 -3.92% 하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PALL(+10.0%), TAN(+8.1%), QCLN(+7.7%)
- Losers: KIE(-2.0%), DXJ(-1.8%), XLP(-1.5%)
🌕 최근 5일 상승/하위
- Gainers: PALL(+13.6%), QCLN(+12.1%), PBW(+11.1%)
- Losers: UNG(-6.5%), WEAT(-3.6%), TUR(-2.2%)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SEMI, HOME, CLEAN ENERGY, SOLAR, PALLADIUM
- 하락 ETF 키워드: JAPAN, DOLLAR, VIETNAM, CONSUMER
|
|
|
by Barchart
www.barchart.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푸드 수출 효과를 바탕으로 에스앤디의 가파른 실적 성장세가 기대돼요.
👏 최대 실적 달성 전망
2021년 코스닥 시장에 이전 상장한 에스앤디는 자연 친화적인 일반기능식품 소재와 천연물 중심의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 제조업체예요. 국내 조미식품 시장이 연평균(2017~2021년) +9.5% 성장하는 가운데, 에스앤디는 지난해 전년 대비 +19.4% 성장했어요. 특히, 삼양, 농심, 일동후디스, 풀무원 등 국내 주요 고객군을 확보한 데다, 나가사끼짬뽕, 불닭볶음면 등을 기본으로 제품 라인업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는데요. K-푸드 열풍에 따라 수출이 증가하면서 2023년은 일반기능식품 소재 매출이 전년 대비 19.9%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요.
👍 건강기능식품 소재 매출 성장 기대
에스앤디는 식약처로부터 개별인정을 획득한 미강주정추출물 및 감태추출물 등을 기반으로 2022년부터 수면 소재 상품을 출시했으며, 지속해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상품화할 계획이에요. 이에 따라 2024년에는 신규 거래처 확보 및 수출 시장 개척 등을 통해 본격적인 건강기능식품소재 매출 성장에 이바지할 것으로 전망돼요.
K-푸드 열풍 수혜와 더불어 신규 거래처 확보 및 수출 시장 개척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소재 매출 성장이 주가 상승에도 기여할 수 있을지 관심 가져봐야겠어요. |
|
|
by Park JongSun
E-mail: jongsun.park@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美 3분기 GDP 확정치 발표가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지난 10월말 이후 증시 회복세에 대한 내용을 살펴봤는데요. ChatGPT에 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재 상황의 정리를 요청했어요.
|
|
|
10월 말 이후 증시 회복세와 관련하여 강세를 보인 업종과 부진한 업종을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합니다.
강세를 보인 업종 및 관련 기업
-
소프트웨어 업종: Naver, Kakao 등 대형 IT기업들이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기계 업종: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 등이 기계 업종에서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
상사자본재 업종: 포스코인터내셔널, LG상사 등이 상사자본재 분야에서 활약 중입니다.
-
철강 업종: POSCO, 현대제철 등이 철강 업종의 선두주자입니다.
-
화학 업종: LG화학, 롯데케미칼 등이 화학 업종에서 강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
IT 하드웨어 업종: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IT 하드웨어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호텔레저 업종: 호텔신라, 한화호텔앤드리조트 등이 관련 업종에서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부진한 업종 및 관련 기업
- 보험, 통신, 소매, 비철, 화장품의류 업종: 이 업종들은 현재 부진한 상태이므로, 투자 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보험 업종의 삼성생명, 통신 업종의 SK텔레콤, 소매 업종의 롯데쇼핑 등이 해당됩니다.
투자 전 고려사항
- 시장 변동성: 현재 시장의 안도감과 낙관론이 높아진 상태이므로, 변동성에 대비해야 합니다.
- 업종별 분석: 각 업종의 특성과 최근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장기 전략: 단기적인 시장 변동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러한 분석은 시장 상황과 개별 기업의 성과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투자 결정 전에 최신 정보와 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Weg am Kreuzberg bei Bonn (1907)
August Macke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15~-7도로 한파가 계속돼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