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4.05.20. (월)
by Eugene
|
|
|
안녕하세요. 오늘 투자Story에서는 국내 종합 렌탈 기업 'AJ네트웍스'의 1분기 실적과 전망에 대해 다룹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중국 지방정부가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에요.
🔥 강해진 중국 주택 시장 정책
그동안 중국 정부의 주택 시장 정책은 전국 단위가 아닌 도시 단위로 이루어졌고, 대규모 정책도 아니었는데요. 이번 정책의 규모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정책 강도는 분명히 강해지고 있어요. 최근 항저우 등 여러 도시에서도 주택 구매 제한을 해제하는 등, 이제 중국에서 4대 1선 도시들과 톈진을 제외한 거의 모든 2선 도시들의 주택 매매 제한이 사라졌죠. 또한, 30개 이상의 도시가 주택 '이구환신(헌집을 팔고 새집을 매입)' 정책을 지원하고 있어요.
*이구환신: 중고 제품을 가져오면 신규 제품 구매 시 할인 우대를 제공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소비 진작책
👀 예상 시나리오
현재 중국 지방정부의 재정이 충분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1천억 위안 이상의 부동산 안정 펀드를 조성해 미분양 주택을 매입할 가능성이 커요. 이렇게 매입한 주택은 공공 임대로 전환하여 중산층 이하 계층의 저렴한 거주지로 제공할 예정이죠. 또한, 1조 위안 규모의 PSL(담보보완대출)을 통해 공공 주택 건설도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요.
정부 지원이 확대됨에 따라 중국 부동산 시장이 우려보다 빠르게 회복될 수 있겠지만, 부동산 시장 수요가 다시 급증할 가능성은 적어요. 현재와 같이 부동산 시장이 안정을 찾아가는 상황에서는 필수소비재 분야가 더 좋아질 것으로 보여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2,724.62pt ▼28.38
KOSDAQ 855.06pt ▼15.31 |
|
|
KOSPI가 차익실현 매물 출현으로 1% 넘게 하락했어요. KOSDAQ은 표적 항암제 리보세라닙의 미국 FDA 신약 승인 불발 소식에 HLB 관련주 8개가 모두 하한가를 기록했어요. 업종별로는 식품(+4.31%)과 복합유틸리티(+3.44%), 생물공학(+3.03%), 건강관리기술(+2.39%), 식품‧기본식료품소매(+2.15%), 통신장비(+2.06%) 등은 상승했고, 호텔‧레스토랑‧레저(-0.12%)와 부동산(-0.15%), 항공화물운송‧물류(-0.20%), 건강관리장비‧용품(-0.23%) 등은 하락했어요. |
|
|
From Yesterday: 수산(+4.67%) / 페인트(+4.43%) / 음식료(+2.73%) / 사료(+1.51%)
From 5 days ago: 전선(+13.33%) / 수산(+10.81%) / 손해보험(+6.79%) / 페인트(+5.35%)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지난주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던 증시가 주말을 앞두고 숨 고르기에 나서며 혼조세 마감했어요. 시장은 이번 주 공개되는 FOMC 회의록에 주목하고 있어요.
🤨 AMD는 클라우드 컴퓨팅 고객 대상으로 엔비디아가 만든 제품과 경쟁할 AMD AI 칩 플랫폼을 제공하겠다고 밝히며 주가가 +1.14% 상승했고, 레딧은 오픈AI와 파트너십을 맺었다는 소식에 주가가 +10.04% 급등했어요. 한편 게임스탑은 대규모 유상증자 계획과 1분기 순 매출 감소를 예고하면서 주가가 -19.73% 급락했어요. |
|
|
by Park SeJin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SLV(+6.4%), COPX(+4.7%), REMX(+3.8%)
- Losers: TAN(-1.6%), XBI(-1.5%), EWY(-1.4%)
🌕 최근 5일 하위
- Gainers: UNG(+16.0%), SLV(+11.7%), PPLT(+9.0%)
- Losers: DBA(-4.8%), CORN(-2.5%), WEAT(-1.3%)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SILVER, METALS, COPPER, GOLD, CHINA
- 하락 ETF 키워드: KOREA, CORN, WHEAT, BOND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AJ네트웍스, 기대되는 로봇렌탈 및 A/S 사업✨ |
|
|
국내 종합 렌탈 기업 'AJ네트웍스'의 1분기 실적과 전망에 대해 알아볼게요.
🤔 아쉬운 1분기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448억 원, 영업이익 195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어요. 부문별로 살펴보면 창고 및 유통 부문 사업이 경기 부진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7% 감소했지만, 렌탈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9.0% 증가해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어요. 또한, 기타 부문 매출도 15.2% 증가했어요.
👊 수익성 개선 기대
2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해요. 중장기 성장을 위한 로봇 렌탈 사업과 A/S 시장 진출이 예정되어 있으며, 레인보우로보틱스와 두산로보틱스와의 구체적인 사업도 점차 확대될 전망이죠. 또한, 고금리 시대의 종결과 금리 인하가 진행된다면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요.
1분기 실적은 다소 부진했지만, 고금리 시대의 종결 기대감과 로봇 렌탈 사업 진출 등으로 성장세가 기대되니 꾸준히 지켜봐야 할 것 같아요. |
|
|
by Park JongSun
E-mail: jongsun.park@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오늘 주목할 이벤트로는 파월 연준 의장 연설이 있어요.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Market Beat에서는 따끈따끈한 부동산 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오늘 Insight에서 '중국의 미분양 매입'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정부의 지원 확대에도 중국의 부동산 시장 수요가 급증하지 않는 이유를 물어봤어요. |
|
|
-
인구 구조 변화: 중국의 인구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신규 주택 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젊은 인구가 줄어들고 가구 형성이 늦어지면서 주택 수요 증가가 제한될 수밖에 없습니다.
-
경제 성장 둔화: 중국 경제 성장률이 과거에 비해 둔화되고 있습니다. 경제 성장 둔화는 가계 소득 증가율을 제한하고, 이는 주택 구매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경제 불확실성 또한 소비자들이 주택 구매를 주저하게 만듭니다.
-
높은 부채 수준: 많은 가계와 기업들이 이미 높은 부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추가적인 주택 구매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부채 부담이 큰 상황에서는 새로운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매하는 것이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주택 가격 안정화: 정부의 규제와 정책 변화로 인해 주택 가격이 안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주택 가격이 급등하지 않으면 투자 수요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주택 시장에서 빠져나가면 전체적인 수요가 감소하게 됩니다.
-
대체 투자처의 존재: 부동산 외에도 다양한 투자처가 존재합니다. 주식, 채권, 신흥 산업 등 다른 투자 옵션들이 부동산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 수요가 급증하지 않도록 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
심리적 요인: 부동산 시장에 대한 신뢰 회복이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의 정책 변화와 시장 불안정성으로 인해 소비자와 투자자들은 부동산 시장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수요를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부동산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Still Life (1640 – 1649)
Pieter Claesz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16~28도로 일교차가 커요
우리 내일 또 만나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